[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 가평군이 이번 집중호우로 가장 큰 재산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 확인됐다.
26일 도에 따르면 7월 25일 기준 가평군의 피해신고액은 1344억 원으로 도내 피해액(1678억 원)의 80%에 달하며, 이미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상태다. 이에 따라 도와 군부대, 소방·경찰 등 전방위 지원이 집중되고 있다.
![]() |
21일 오후 경기 가평군 상면 대보교가 지난 밤 쏟아진 집중호우에 파손되어 복구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경기도 통합지원본부는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도내 인명피해는 사망 7명, 실종 2명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가평군에서만 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재민은 도 전체 133세대 196명 중 가평이 91세대 127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시설 피해도 심각하다. 가평지역에서는 도로, 교량, 하천, 통신, 전력, 산사태, 축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응급복구율은 전력 90.8%, 도로 91.7%, 무선통신 77.5%, 유선통신 71.4% 등으로 복구가 상당 부분 진행됐으나, 일부 지역은 여전히 통제 중이다.
가장 피해가 컸던 조종면, 상면, 북면(백둔리) 등에는 중장비 176대를 자체 투입한 데 이어, 경기도 건설국과 강원도에서 굴착기·덤프트럭 등 19대가 추가 지원됐다. 또한 수기사, 공군부대, 66사단 등 군부대 병력 1143명이 투입돼 침수가옥 토사 제거와 도로 응급복구 작업을 실시했다.
산사태 피해는 도 전체 316개소 중 가평이 258개소에 달해 가장 많았으며, 현재 대부분이 조사를 거쳐 복구 대상에 포함돼 있다. 가축 60두와 꿀벌 275군을 보유한 36개 축사 농가도 피해를 입었으며, 7개 양식장에서도 피해가 확인돼 복구가 진행 중이다.
응급복구 지원도 병행됐다. 경기도는 재난관리기금 30억 원을 투입하고, 얼음물 2만4000개, 이동식 에어컨 20대, 발전기 2대 등 물자지원을 완료했다. 또한 시군 간 응원으로 취사·응급 구호세트와 생수, 담요 등이 배포됐다. 자원봉사자 1084명도 복구 현장에서 활동 중이다.
특히 도는 전국 최초로 일상회복지원금을 시행 중이다. 피해 주민에게는 최대 600만 원, 축산·양식 농가에 최대 1000만 원, 사망·실종자 유가족에게는 장례비와 함께 최대 3000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수색과 구조, 이재민 지원, 시설 응급복구를 위해 전 행정력을 동원하고 있다"며 "중앙합동조사단과 함께 본격적인 공공시설 복구와 지원 규모 산정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