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수요 감축과 온실가스 저감 목표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제7차 지역에너지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모두가 참여하는 에너지전환, 함께 누리는 녹색미래, 빅 부산'을 비전으로 삼아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에너지 수요 절감, 온실가스 감축 등을 중점 추진한다.
![]() |
지역에너지계획 비전 및 목표 [사진=부산시] 2025.07.29 |
'지역에너지계획'은 에너지법 제7조에 따라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을 지원하고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 중기 계획이다.
이번 제7차 계획은 2020년 수립한 6차 계획에 이어 데이터센터와 신도시·산업단지 조성 등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을 13.5%로 높이기 위해 총 74개 사업을 추진한다.
공급부문에서는 태양광, 해상풍력, 연료전지 중심으로 2023년 대비 약 390%(738→3620GWh) 확대를 목표로 하며, 수요관리부문에서도 산업·수송·건물·공공 부문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설개선, 진단, 시민교육과 참여형 발전사업을 병행한다.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 사업도 강화할 계획이다.
분산형 전원 보급률은 2030년까지 2023년 대비 약 274%(1054→3936GWh) 확대를 목표로 연료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설비 보급에 집중한다.
2030년 부산지역 최종에너지 수요는 735만 TOE 대비 15.3% 감축한 622만 TOE를 목표로 설정했으며, 이를 위해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중점 추진 사업을 선정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마련했다. 2022년 기준 2492만t의 이산화탄소환산량(CO2eq) 대비 13.2%를 줄여 2030년에는 2164만t으로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시민 104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시민공청회, 청년서포터즈 소통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했다. 에너지분야 전문가들은 워킹그룹을 통해 실무 자문과 수소산업 육성 방안 등 심층 의견을 제시했다.
이러한 과정은 지난달 25일 열린 에너지정책위원회에서 최종 검토 및 반영됐다.
박형준 시장은 "첨단산업 발전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며 "계획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에너지 전환을 실현하고, 관련 산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