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품 이미지 무단 사용, 위조 판별 난제
어린이 완구 유해물질 노출 위험성 대두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초저가로 판매 중인 국내 브랜드 제품을 점검한 결과, 4개 중 3개꼴로 위조 상품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알리익스프레스 등 해외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7개 국내 브랜드의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품목은 의류 6개, 수영복 3개, 잡화 3개, 어린이 완구 8개 등이다. 위조 상품 비중이 높은 품목과 여름철 수요가 많은 제품을 선정했으며, 해당 제품들은 정상가 대비 45%에서 97%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었다.
![]() |
진품(왼)과 위조상품(오) 이미지 [사진=각 브랜드사] |
의류와 수영복은 4개 브랜드사에서 유통되는 9개 제품 모두 위조 판정을 받았으며, 특히 라벨이 중국어로 돼 있고 제조자명과 취급상 주의사항 등이 누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잡화도 2개 브랜드사 3개 제품 모두 위조로 분류됐다. 제품 크기와 로고 위치가 정품과 다르며, 가방류에서는 부자재 형태와 재질이 일치하지 않았다. 해당 브랜드에서 생산하지 않는 매트가 발견돼 브랜드 도용이 확인되기도 했다. 어린이 완구는 3개 브랜드사 8개 제품 중 3개 제품이 빈약한 품질로 인해 유해 물질 노출 위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온라인에서 판매자가 정품 이미지를 무단 사용해 소비자가 위조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소비자들이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찾기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공식 판매처에서 구매하고,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의 제품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특허청 '키프리스(KIPRIS)'를 통해 상표와 로고 디자인을 확인하고, 제품 설명과 후기를 꼼꼼히 비교할 것을 당부했다.
시는 이번 점검 결과를 토대로 해외 플랫폼에 판매 중단 요청을 했으며, 위조 상품 유통 실태 점검과 관련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 소비자 피해를 예방할 방침이다.
점검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과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소비자 피해 발생 시 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 또는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김명선 공정경제과장은 "해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위조 상품 유통은 소비자에게 혼란과 경제적 피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정품 브랜드의 신뢰를 훼손하고 공정한 시장 질서를 심각하게 저해한다"며 "앞으로도 위조 상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신속한 정보 제공과 대응 조치를 지속, 소비자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