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등 광역 교통망 구축, 메가시티 발전 전략, 새만금 개발과의 연계성 강화...통합 필요성 뒷받침 핵심 요소"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아 완주·전주 통합이 광역시 부재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대도시권 성장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29일 전북대학교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제기됐다.
이날 발표와 토론에서 KTX 등 광역 교통망 구축과 메가시티 발전 전략, 새만금 개발과의 연계성 강화가 통합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로 강조됐다.
전북대학교에서 열린 '2025년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대회' 전북 지방자치 30년 평가 세션에서 이향수 건국대 교수 사회로 하동현 전북대 교수와 이승모 자치인재개발원 교수가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
![]() |
'2025년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전북 대도시권 구축을 위한 '완주·전주 통합'이 중점 논의됐다.[사진=전북자치도]2025.08.29 lbs0964@newspim.com |
연구진들은 전북이 국가균형성장 전략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광역도시권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완주·전주 통합을 통해 대도시권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새만금 개발과 연계한 미래 지향적 발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동현 교수는 "민선 1기부터 8기까지 새만금 개발이 핵심 과제로 유지됐지만, 특별자치도 출범으로 자치권을 가진 지역 스스로 발전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유현 한양대 겸임교수는 "다른 지역은 광역자치단체장이 중앙정치와 연계성을 갖지만, 전북은 김관영 지사가 처음"이라며 신도시 개발 부족과 지역거점 대도시 부재를 전북의 구조적 문제로 진단했다.
안영훈 (사)생각연구소 대표는 "완주·전주 통합으로 KTX 등 교통 인프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혁신도시특별법 보완 등 전략적 접근으로 통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유현 교수는 정부의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과 관련해 "과거 자원과 인구 분산 전략에서 벗어나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집중화 전략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완주·전주 통합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북에는 광역시가 전혀 없기 때문에 100만 명까지는 아니더라도 인프라 구축과 경제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교통망 통합 발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지방자치학회는 지방자치 연구를 선도하는 국내 대표 학술단체로 전문가와 학계, 정책결정자가 모여 지방자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다.
lbs096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