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홍콩·일본 등 경쟁 치열...한국도 '안전 제일' 정부 설득해야
디지털자산, 전통금융 대체...3년 내 새로운 변화 예상
인터넷보다 빠른 성장 전망...지금 뛰어들어야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 트럼프 오거니제이션 총괄 부사장이 한국의 디지털 자산 산업에 대해 "아시아에서 손꼽히게 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성장 잠재력을 가진 유력한 경쟁자라는 의미다.
에릭 트럼프 총괄 부사장은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에서 진행된 온라인 화상 대담에서 "디지털 자산과 AI(인공지능) 경쟁에서 한국은 중동, 일본 등과 더불어 적극적인 국가"라며 "전 세계적으로 안전 제일주의인 정부당국을 설득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데 최대한 치열하게 경쟁에 뛰어들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손 놓고 있다면 결국 경쟁에서 뒤처질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에릭 트럼프는 트럼프일가의 가족 기업인 '트럼프 오거니제이션'의 디지털 자산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암호화폐를 발행 유통하는 월드리버티파이낸스(WLFI)를 형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공동 창립했으며 올해 3월에는 비트코인 채굴기업 아메리칸 비트코인을 설립했다. 최근 WLFI코인과 USD1(미국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세계 주요 거래소에 상장했다.
그는 한국의 디지털 자산 시장에 높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는 "유럽은 정책적 문제로 디지털자산(크립토), AI 경쟁에서 뒤쳐질 것이라 본다"며 "반면 한국은 아시아를 대표해 큰 시장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내년 한국 방문도 약속했다. 에릭 트럼프는 "내년에는 한국에 방문하도록 하겠다"며 "조만간 한국의 부동산 시장에서 트럼프 일가의 새로운 계획을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 |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에릭 트럼프 트럼프오가니제이션 총괄부사장(왼쪽)과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CBIO)가 9일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에서 화상 특별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2025.09.09 romeok@newspim.com |
특히 이날 에릭 트럼프는 트럼프 일가가 디지털 자산 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에 대해 전했다. 그는 "우리 집안은 대대로 부동산에 종사해온 하드에셋을 좋아하는 집안"이라며 "그런데 정치적 압력으로 여러 은행, 기업들이 우리를 거부하면서 투명한 코인 생태계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재선 실패 후 트럼프 일가의 금융활동이 쉽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이어 그는 "이제는 JP모건도, UBS도 디지털 자산을 받아들이고 있고, 받아들이지 않으면 결국 업비트와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등에 뒤처질 것이라는 것을 이들도 알고 있다"며 "인생에서 이렇게 확신을 얻은 적이 없을 정도로 앞으로 3년 내 완전히 새로운 변화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자산이 전통적인 금융을 대체할 것으로도 내다봤다. 에릭 트럼프는 "전통적인 은행은 100만달러를 예금해도 10만달러만 보관하고 나머지는 은행이 마음대로 활용해도 된다"며 "저는 이 방식을 원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곳에 자산을 보관, 활용하는 디지털 자산을 통해 진정한 금융의 자유를 이루는데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릭 트럼프는 "전세계 최고의 일가들이 디지털 자산을 구입하고 있고 그 중 비트코인은 2100만개로 한정돼있으며 그 가치가 계속 커지고 있다"며 "주저하는 이들에게 지금이라도 뛰어들어야한다고 권유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에 디지털 자산을 이해하는 대통령이 있고 강력한 리더십이 있어야 제대로 된 규정을 만들 수 있다"여 "우리가 추진하는 것이 새로운 형태 금융이기 때문에 자부심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굉장히 다이나믹하고 똑똑한 인재들이 디지털 자산업계에 모여 있다"며 "디지털 자산의 대중화가 시작되면 과거 인터넷 성장보다 빠른 속도의 성장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자산의 미래는 지금이며, 지금 뛰어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