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시장심도 고려 정책 대응'…충격 반응 계수 한국 2.11%, 선진국은 0.41%
"외환시장 개입, 거시건전성 정책으로 환율·금리 낮추면 손실 18.3% 감소 추정"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우리나라의 외환·금융 시장은 '심도'가 낮아 글로벌 리스크의 충격이 발생했을 때 환율과 금리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은행은 22일 '금융·외환시장 심도를 고려한 정책대응'이라는 분석보고서에서 유위험 금리평형 프리미엄(UIP· Uncovered Interest Parity Premium)을 통해 반응계수를 측정한 결과 우리 나라는 2.11% 포인트(p)로 비교 분석 대상 16개 선진국의 평균 0.41%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계수가 높다는 것은 외부 충격이 발생했을 경우 이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외환·금융 시장의 심도(depth)가 그만큼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UIP국내 경제주체가 대외차입시 글로벌 투자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추가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글로벌 평균 금리에 덧붙여주는 가산금리를 의미한다. 한국물에 대한 신용부도스와프(CDP) 프리미엄 등이 대표적이다.
한은은 글로벌 리스크 충격에 따른 자본유출과 국내 금융스프레드 확대간 상관 관계가 높을수록 실물경제에서 경기위축이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한 정책대응으로 외환시장개입 및 거시건전성 정책으로 환율과 금리스프레드를 낮추면 국내총생산(GDP)갭과 인플레이션 갭을 축소시켜, 경제전체의 후생손실을 18.3% 감소시키는 효과과 있다고 추정했다.
한은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외환시장 구조개선 방안'으로 외환시장 일평균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고 내년으로 예정된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은 국내 금융·외환 시장의 '심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대외 충격에 대해 통화정책뿐 아니라 외환시장개입 및 거시건전성 정책의 공조를 통한 정책조합(policy mix)으로 대응할 경우 정책목표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했다고 밝혔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9.22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