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고령인구 처음으로 20% 넘어서…노년부양비 29.3명
65세 이상 고령자 연금 수급률 90.9%…월 69.5만원 수령
ICT 사용 하루 1시간 39분…스마트폰·태블릿 1시간11분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인구는 1051만4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3%를 차지했다. 우리 사회가 '초고령사회'로 본격 진입한 것이다. 고령인구 비중은 2036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성별로는 여자의 고령인구 비중이 22.6%로 남자(18.0%)보다 4.6%포인트(p) 높았다. 65세 이상 여자 100명당 남자는 79.6명 수준이며, 장기적으로 성비 격차는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지역별로는 전남(27.4%), 경북(26.1%), 강원(25.7%), 전북(25.4%) 등 9개 시도가 이미 고령인구 20%를 초과했다. 대도시 중 부산도 24.5%로 뒤를 이었다.
![]() |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자료=통계청] 2025.09.29 plum@newspim.com |
건강 지표에서는 기대여명이 늘고 진료비 부담도 증가했다. 2023년 기준 65세 기대여명은 21.5년으로 남자 19.2년, 여자 23.6년이다. OECD 평균을 웃도는 수준이다. 고령자 1인당 진료비는 530만6000원, 본인부담금은 125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늘었다. 건강검진 수검률은 69.3%였다.
경제적 기반은 연금이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2023년 기준 65세 이상 연금 수급률은 90.9%였으며, 월평균 수급액은 69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39.8%에 달해 여전히 높았다. 소득 불평등을 보여주는 지니계수는 0.380, 소득 5분위 배율은 7.11배였다. 2024년 기준 65세 이상 가구의 순자산은 평균 4억6594만원이었다.
생활 방식에서도 변화가 뚜렷하다. 통계청이 특별기획으로 공개한 생활시간조사 분석에 따르면 고령자의 하루는 필수시간 11시간59분, 의무시간 4시간58분, 여가시간 7시간03분으로 구성됐다. 5년 전보다 수면시간은 14분 줄었으나, 미디어 이용은 16분 늘었다.
특히 ICT 기기 사용은 하루 1시간 39분으로 약 3배 증가했으며, 여가시간 중 1시간11분을 스마트폰·태블릿 등 기기에 쓴 것으로 조사됐다. 교제활동에서는 대면 비율이 줄고 음성·문자·이메일 등 비대면 소통이 늘었다.
![]() |
연금 월평균 수급 금액 및 수급률. [자료=통계청] 2025.09.29 plum@newspim.com |
세부적으로는 아침·저녁 '혼밥' 비율이 상승했지만, 점심은 하락했다. 미디어 이용은 실시간 방송 중심이지만 동영상 시청이 크게 증가했다. 연령이 높을수록 여가·수면은 늘고, 일·이동 시간은 줄었다. 취업자는 비취업자보다 의무시간이 3시간35분 많았고, 여가시간은 2시간44분 적었다.
안전 문제도 여전히 과제로 꼽힌다. 2024년 고령자의 보행 교통사고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6.2명으로 전년보다 0.4명 늘었다. 부상률은 109.3명으로 소폭 줄었으나,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고령 운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0.2%에 달했다. 부상자 비중도 21.5%로 높았다.
삶의 질은 서서히 개선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35.5%가 현재 삶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사회·경제적 성취에 대한 만족도는 33.2%였다. 여가시간 만족도는 40.2%로 5년 전보다 상승했고, 가사분담 만족도는 37.2%였다. 성평등 의식도 변화해 남녀 고정 성 역할에 반대하는 비율은 57.1%로 높아졌다.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