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구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
내달 중 통합 플랫폼 '모두의 재정' 구축
국민참여예산→국민주권예산 개편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정부가 중앙·지방·교육재정 등 모든 재정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인 '모두의 재정' 구축에 나선다.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재정정보 제공과 함께 참여 확대, 맞춤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지원하는 체계적인 재정 포털로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모두의 재정' 플랫폼 추진 계획을 밝혔다.
![]()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월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제공=기획재정부] |
중앙·지방·교육재정 뿐만 아니라 보조금24·중소벤처24 등 다른 재정 관련 공개 시스템의 정보간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기존 중앙재정은 273종, 지방재정은 146종 중 39종이, 교육 재정은 623종 중 185종이 정보를 공개했지만, 앞으로는 지방재정 100여종, 교육재정 400여종으로 연계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교육부 등 관계 부처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예산·집행·결산 정보를 연계하는 등 사전 준비 작업을 한다.
국민제안 확대를 위해 기존 국민참여예산 홈페이지는 '국민주권예산'으로 개편된다. 주민의견 제안은 신규사업, 지출효율화, 자유제안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눠 접수받고, 우수 제안에는 포상금을 지급해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다.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 설명자료를 구체화하고, 중앙·지방 ·교육재정의 정보를 유사한 수준으로 공개하고 특화통계도 제공한다.
또 재정용어사전을 확대하고 재정사 등을 설명하는 온라인 재정박물관을 신설한다. 학습자 흥미를 유발하는 마이크로 러닝 형식의 이러닝 컨텐츠도 개발한다.
대학·연구기관 등 보고서 추가로 AI가 학습할 수 있는 정보를 확대하고, 수요자별 유형에 기반한 질의·응답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관계부처 TF를 통한 부처 협의는 오는 11월, AI 챗봇 시범운영 및 재정용어사전 개편 및 이러닝 콘텐츠 제작은 오는 12월 출시를 목표로 잡았다.
온라인 재정박물관, 중앙·지방·교육재정 정보, 생성형 AI 활용 서비스 등을 담은 '모두의 재정'은 내년 11월 정식 서비스 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부처 및 공공기관 홈페이지 배너 연결·유튜브 활용 등 대국민 홍보 강화하고, 각종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서버를 별도의 장소에 추가로 두는 백업 시스템도 구축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