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 이상 수익확보 위한 투자대상 메리트
[뉴스핌=이영기 기자] 회사채 스프레드의 축소가 향후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A+'등급이하 회사채의 경우 스프레드 축소의 여지가 상당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사로 유입된 자금이 국공채 투자 단계를 넘어서 회사채 시장으로 퍼져나가는 등 시장의 유동성이 넘쳐나기 때문이다.
12일 동양증권의 최종원 애널리스트는 "물가상승 이상의 수익률을 누리기 위해 회사채는 피할 수 없는 투자 대상"이라며 "유가상승과 유럽재정위기로 인한 불안감으로 채권의 투자매력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이미 스프레드 축소가 상당히 진전된 상태라 은행채, 공사채, 우량등급의 회사채는 더 이상의 스프레드 축소가 어렵다는 것이 시장의 분위기다.
하지만 그는 기업들의 펀더멘탈 개선과 시중의 풍부한 투자자금은 추가적인 스프레드 축소를 암시한다고 주장하며, 'A+'등급 이하의 회사채는 여전히 스프레드 축소 여력이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분석결과를 보면, 스프레드 추가하락의 여유는 회사채 등급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2/04/12/20120412000110_0.jpg)
우선 우량등급 회사채는 지난 200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익률에 근접해 있어 추가하락의 여유가 별로 없다. 반면 'AA'등급은 +40bp내외의 여지가, 'A+'이하는 54bp이상의 여력이 있어 상대적으로 매력도가 높다.
또 주로 건설업으로 구성됐고 발행물량이 많지 않은 'BBB+'급에서는 평균대비 185bp의 스프레드 개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애널리스트는 "개별적으로 봐서 신용등급의 상향조정이 임박했다고 판단되는 만도 등에 비해 펀드멘탈의 변화가 별로없는 LG하우시스와 대우조선해양 등이 향후 스프레드 축소 가능성에서 더 매력적"이라며 'AA-'등급내에서는 두 회사를 매력적으로 보았다.
한편, 최근 만도와 대우조선해양에 대해서 SK증권의 김용수 애널리스트와 대신증권의 전재천 애널리스트 등이 각각 양호한 수준 전망을 바탕으로 매수의견을 내놓고 있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