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임종룡 회장, 내부 소통 '광폭 행보'

기사입력 : 2013년07월25일 12:32

최종수정 : 2013년07월25일 12:32

금융지주 직원은 물론 중앙회 조합장들과도 적극 소통

[뉴스핌=노희준 기자] "여보, 농협 임종룡이라는 분이 아들 생일 케이크를 보내왔는데, 임종룡이라는 분이 누구인가요?" "우리 회장님인데...."

NH농협금융지주의 한 직원은 최근 큰 아들 생일 때 두 개의 생일 케이크를 손에 쥐고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임종룡 농협금융지주 회장 이름으로 생각지도 못한 샴페인 한 병과 케이크가 집 앞으로 배달된 것이다.

임종룡 NH농협금융지주 회장
25일 농협금융에 따르면, 임 회장이 내부 소통에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직원(가족)의 생일 등 경조사를 챙기는 것은 물론이고 업무에서도 내부 직원들과 격의 없는 대화에 적극적이다. 어렵게 보였던 농협중앙회 조합장들과의 접촉면 늘리기에도 잰걸음이다.

우선 직원들과 친밀한 '감성 소통'에 나서고 있다. 직원들(가족) 생일에 작은 선물을 보내는가 하면 지난주에는 지주 전 직원에서 친필 사인이 담긴 책을 한 권씩 선물했다. 책도 똑같은 책이 아니라 몇 가지 범주에서 직원이 스스로 읽고 싶다고 정한 책을 보내줬다.

임 회장은 업무에서도 직원들 목소리 청취에 능동적이다. 지난 19일에는 팀장급 이하 전체 직원들과 조찬 간담회를 한 이후 직원들과의 대화 방식을 팀별 단위로 쪼개서 하자는 지시를 내렸다. 직원들과 좀더 스스럼없이 진솔한 대화를 해보기 위해서다.

이날 자리는 농협금융의 현상 진단과 대응 방향 모색을 위해 대화를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지만, 직원들의 내부 속마음을 들여다보고 싶은 임 회장의 갈증을 해소하기에는 아쉬웠다는 후문이다.

내부적으로도 부서 전체 인원이 좀처럼 한자리에 모이지 않는 상황에서 임 회장과 부서 전체 직원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다 보니 임 회장과 직원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실제 서먹서먹한 분위기의 심리적 거리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임 회장이 앞으로는 좀 더 직원들과 진솔하게 얘기를 하기 위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임 단위를 팀별 미팅으로 바꿨으면 좋겠다고 했다"며 "팀 단위의 티타임 등을 할 때도 팀장을 제외한 차·과장(이하)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업무에서 실무자 목소리를 중시하는 것은 그의 '현장 사랑' 의지에도 묻어 있다. 임 회장은 취임 이후 업무 파악의 바쁜 일정 속에서도 경기영업본부와 홍천군지부를 찾아 현장의 애로사항을 접수했다.

앞으로도 한달에 두번 정도는 정기적으로 현장 방문 일정을 소화한다는 게 임 회장 의지다. 방문 지역도 상대적으로 직원들이 기피하거나 영업 실적이 좋지 않은 곳을 우선 순위로 잡았다. 

임 회장은 농협중앙회와의 소통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100% 대주주로서 농협중앙회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존중을 여러차례 천명했던 그는 지난 23일에는 고향인 전남 보성 조합장들과 오찬을 했다.

농협금융 고위 관계자는 "중앙회 이사회를 할 때도 임 회장은 '내가 새로 왔으니 이사실에 미리 가서 주주인 조합장들에게 먼저 인사를 하겠다'고 한다"며 "밑에서 '그렇지 않아도 된다'고 해도 본인이 '하겠다'고 한다. 스타일 자세가 그렇게 돼 있다"고 말했다.

중앙회 조합장은 중앙회 회장 선출권을 쥐고 있는 막강한 자리로 임 회장도 이들과 원만한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다. 신동규 전 회장의 경우 중앙회 이사회에 참석하는 조합장들과 소원한 관계를 유지했다는 게 중앙회 관계자들의 생각이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내부 분위기는 상당히 고무적"이라며 "리스크 관리나 시너지를 비롯해 업무도 회장이 직접 많이 챙기는 스타일이라 직원들 입장에서도 전반적으로 더 열심히 뛰어야겠다는 마음이 많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