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nda 중국

[중국기업] (54) M&A로 몸집키운 자원기업 오광(민메탈)

기사입력 : 2014년08월05일 14:36

최종수정 : 2014년08월19일 14:05

금속 비금속 금융 부동산 망라, 4개상장사 보유

[뉴스핌=조윤선 기자] 세계 최대 구리광산 중 하나인 페루의 라스밤바스 광산이 중국 국유기업의 수중에 들어갔다. 이미 밝혀진 구리 매장량만 1000만t이 넘는 라스밤바스 광산을 꿀꺽한 중국 회사는 오광그룹(五礦集團  우쾅그룹  민메탈(Minmetals))이다.

오광그룹은 1950년 베이징(北京)에 설립한 금속, 광산 기업으로 금융업과 부동산, 물류부문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한 대형 국유기업이다.  창립 60여년된 오광그룹의 역사는 인수합병(M&A)의 발전사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000년 이후 오광그룹은  국내외 우량 자산에 대한 공격적 인수 합병을 통해 고강도 사업확장을 추진해옸다.  

아시아와 유럽, 미주, 대양주의 28개 국가와 지역에 대표처를 설립, 글로벌 경영활동에도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는 한중 수교 두해만인 지난 1994년 한국오광주식회사(민메탈 코리아)를 설립해 무역업무를 수행해오고 있다.

오광그룹은 중국 경제력 팽창과 함께  국제적 위상을 급격히 높여가고 있다. 미국 경제 주간지 포춘지가 선정한 2014년 글로벌 500대 기업에서 오광그룹은 133위를 차지, 작년보다 59계단(2013년 192위)이나 순위가 상승하며 8년 연속 이 랭킹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최대 구리생산 기업으로 부상

2014년 8월 1일 오광그룹 산하의 오광자원유한공사(五礦資源 01208.HK)가 국신국제투자유한공사(國新國際投資有限公司), 중신금속유한공사(中信金屬有限公司)와 공동으로 페루의 라스밤바스 구리광산 인수 작업을 완성했다고 중국증권망(中國證券網) 등 중국 매체가 일제히 보도했다.

지분인수에 70억500만 달러(약 7조2450억원)가 투자된 라스밤바스 구리 광산은 2008년 이래 중국 금속·광산업 사상 최대규모의 인수합병(M&A)이라는 역사를 썼다.

2008년 중국 알루미늄 공사가 세계 2위 철광석 업체인 호주의 리오틴토 지분 12%를 140억 달러(약 14조원)에 매입한 것이 중국 금속광산업계 사상 최대 규모 M&A였다.

라스밤바스 구리광산 매입 과정에서 오광자원은 가장 많은 62.5%의 지분을, 국신국제투자유한공사는 22.5% 지분을, 중신금속이 15%의 지분을 나눠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저우중수(周中樞) 오광그룹 회장은 "라스밤바스 구리광산은 오광자원이 전략적으로 획득한 중대 프로젝트 성과로 그룹 자산의 질적 제고와 업계 영향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나아가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라스밤바스는 건설중인 세계 최대 구리광산으로 정식 생산에 돌입한 후 5년간 연평균 45만t의 구리정광을 생산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현재 오광그룹 구리생산량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규모로 라스밤바스 인수를 통해 오광그룹은 세계 최대 구리생산 기업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글로벌 자원시장 영향력 확대

중국 신용평가 기관인 중채신용평가유한책임공사(中債資信評估有限責任公司 China Credit Rating)는 보고서를 통해 라스밤바스 인수가 오광그룹의 경영 및 재무리스크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우선 경영적인 측면에서 라스밤바스에 대량의 금속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인수합병 후 오광그룹의 구리자원 총량과 채굴 가능한 구리자원의 양이 기존(2012년 기준) 1380만t과 510만t에서 2036만t과 940만t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구리정광 생산력도 36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2013년 중국 전체 구리생산량의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오광그룹이 세계적인 구리정광 생산업체가 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과 발언권(영향력)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13년 기준, 세계 10위 구리정광 생산업체의 생산량은 37만5000t이었다고 중국 매체는 소개했다.

다만 전문기관들은 라스밤바스가 소재한 페루는 캐나다, 호주 등 국가보다 관련 법규가 미비한 상황인데다, 정치, 환경, 종교, 사회문화 등 많은 불확실성 요소들이 프로젝트 가동 후 경영활동에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례로 페루 구리광산 프로젝트를 인수한 중국 알루미늄은 과도한 철거비용, 환경기준 미달 등 요인으로 생산활동이 잠정 중단되기도 했다.

중채신용평가유한책임공사는 라스밤바스 인수 후 오광그룹의 이자부 채무가 40억9500만 달러(약 4조원)에 달하는 등 채무부담이 가중될 것이란 분석도 내놨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 60년 성장사는 인수합병의 역사

1950년 창립해 6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오광그룹의 발전사는 '인수합병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창립 초기 수출입 무역을 주력사업으로 했던 오광그룹은 지난 10여년간 자산 인수를 통한 구조전환에 박차를 가해왔다.

국내에서는 자원 및 제련가공업체 여러곳을 인수했고 해외에서는 호주 광산업체 오즈미네랄(OZ Mineral), 캐나다 광산업체 앤빌(ANVIL) 등을 인수해 중국 국유기업 글로벌화의 선두주자로서 에너지 분야 해외진출을 주도했다.

오광그룹 국유자산재편 전문가 류리쥔(劉立軍)은 올해 초 베이징에서 열린 제4회 중국국제재무리더포럼에서 "원래 오광그룹은 수출입 무역회사였지만, 2001년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외국기업이 중국에서 직접 사업을 할 수 있게되고 중국기업도 직접 국외로 나가 경영활동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오광과 같은 국유독점 무역회사의 입지가 점차 좁아져 구조전환이 절실했다"며 해외자산 인수합병에 나선 배경을 소개했다.

그는 2000년부터 오광그룹은 무역과 자원을 기반으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광산기업으로 성장한다는 전략적 목표를 세우고 글로벌 우량자산 매입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무역회사라는 장점을 살려 오광그룹은 호주 광산업체 오즈미네랄을 성공적으로 인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오즈미네랄은 원래 오광그룹의 거래처로 이 업체가 오광그룹에 광물자원을 공급해왔다. 거래처 관계라는 점을 살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자금난으로 도산위기에 몰린 오즈미네랄을 오광그룹이 인수하게 된 것이다.

2004년 북미 산화알루미늄 업체 셔윈(sherwin) 인수를 비롯해, 올해 페루 라스밤바스 구리광산에 이르기까지 오광그룹의 해외자산 인수합병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매출 60조원, 종업원 18만의 공룡기업 

오광그룹은 금속 및 광산자원 개발, 생산과 무역 사업을 하는 기업이지만 금융과 부동산, 물류사업에 까지 발을 담그고 있는 경영 다각화 대기업이다.

아시아와 유럽, 미주, 대양주의 28개 국가와 지역에 해외지사를 설립했고 직원수는 17만7000명에 이른다.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한국, 싱가포르, 인도, 북한에 대표처를 두고 있는데, 한국에는 지난 1994년 2월 한국오광주식회사가 설립됐다.  한국오광주식회사는 망간, 크롬, 철광석 등 원자재 수출입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후판, 선재 등을 수입해 한국 시장에 판매하는 등 활발한 영업활동을 하고 있다.

오광그룹은 산하에 오광자원(五礦資源 01208.HK), 오광희토(五礦稀土 000831.SZ), 오광발전(五礦發展 600058.SH), 오광건설(五礦建設 00230.HK) 등 홍콩과 중국 본토 상하이와 선전에 상장한 자회사 4곳을 거느리고 있다.

중국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에 따르면 2013년 오광그룹은 매출액 4028억1000만 위안(약 67조원), 영업이익은 70억3000만 위안(약 1조170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2012년(3250억 위안)보다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은 3년 연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작년 중국 금속광산업계 생산과잉 문제와 시장침체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오광그룹은 경기둔화를 감안해 올 한해 매출목표를 3600억 위안(약 60조원), 영업이익을 70억 위안으로 설정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법,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특별검사)'의 재구속 적법성 여부가 오는 18일 나온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형사9-2부(재판장 류창성)오는 18일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을 진행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중앙지법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인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다음 날 새벽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hyun9@newspim.com 2025-07-16 14:41
사진
'강선우 임명' 딜레마 빠진 대통령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과 해명 번복, 임금 체불 논란 등이 이어지며 여론이 악화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인사 원칙과 여성 내각 구성이라는 정치적 목표 사이에서 셈법이 복잡해진 분위기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5일 마무리됐지만, 논란은 오히려 커졌다.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선 익명 폭로가 이어지고, 여성단체들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담을 토로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결정을 미루고 있다. 남은 청문회 과정을 모두 지켜본 후 종합 판단하겠다는 게 현재까지 대통령실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임명 강행'과 '철회' 사이에서 득실 계산이 한창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4 photo@newspim.com ◆ 여성 인재 중용 기조...정치적 부담 상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여성 인재 중용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내각 여성 비율을 30% 목표로 한다고 공언했으며, 여성가족부를 존치한 배경에도 그 같은 상징성이 깔려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 외에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여성 후보자들이 줄줄이 청문회에 오르면서, 한 명의 낙마가 전체 균형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적 부담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는 현직 국회의원이다. 만약 청문회를 거쳐 낙마할 경우, 이는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현역 의원 낙마' 사례가 된다. 이는 청문회 제도와 야당의 검증력을 키워주는 반면, 여당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의 리스크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시민사회와 보좌진들 사이에 형성된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 자체에 흠이 날 수 있다. 강 후보자는 앞서 '사적 지시는 없었다'는 취지로 부인했으나, 이후 공개된 텔레그램 메시지로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7.14 mironj19@newspim.com ◆ '버티기 인사' 반복시 내각 전체 불신 확산 우려 또한 임명 강행은 향후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에도 불똥을 튀게 할 수 있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버티기 인사'를 반복하면, 결국 전체 내각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게 일부의 우려다. 대통령실은 16일 이후 여론 흐름 등을 토대로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까지 모두 지켜본 뒤, 장관 인선을 '패키지'로 정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권 초반 인사를 둘러싼 시험대에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강 후보자의 임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여성 인재 정책과 인사 기준, 여당 내 권력구도와도 맞물린 상징적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회의원에게 보좌진은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의정활동 전반을 보좌하는 파트너이자 국민과 국회를 잇는 다리"라며 "그런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 2025-07-16 14:3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