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차이나모닝브리핑] A주 사상 최다 IPO, 주중 22개사 신규상장(종합)

기사입력 : 2015년01월12일 10:53

최종수정 : 2015년01월12일 11:26

 

[뉴스핌=중국본부] 



◆ 상하이거래소 2월 주식옵션거래 개시

중국 상하이거래소가 2월 9일 상하이50(SSE50)지수를 대상으로 주식 옵션거래를 시행한다.

신화망(新華網) 등 복수의 중국 매체는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상하이거래소에 상장한 50개 대표 A주로 구성된 SSE50지수를 대상으로 한 주가지수 옵션 거래 방안을 9일 발표했다고 12일 보도했다.

옵션거래란 미래의 특정시기에 특정가격으로 팔거나 살 수 있는 권리(옵션)을 현재시점에서 매매하는 계약이다. 옵션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이라 한다.

상하이증권거래소는 지난해(2014년)  이후 개별주식과 ETF 옵션거래를 위한 준비작업에 돌입했고, ETF 거래를 먼저 시범 개시 하기로 했다. 개별주식의 옵션거래 시행 시기는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

주식옵션거래는 소액 투자가 가능하고 위험수준을 설정할 수 있어 투자자의 주식시장 참여를 확대해 증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증권사 등 기관투자자도 보유주식의 활용도가 높아져 새로운 수익 창출 경로를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중국 증시 전문가들은 증권사, 선물회사, 옵션거래 시스템과 프로그램 개발회사, 상하이50지수 편입 주식이 주식옵션거래의 수혜주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상하이 50지수를 대표하는 종목은 이 지수의 최대 가중치 주식인 중국평안를 비롯,  민생은행 초상은행 중신증권 해통증권 등이다.

 ◆ A주 사상 최다 IPO, 주중 22개사 신규상장

2015년 새해 들어 A주 기업공개(IPO)가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에만 22개 사가 신규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에 나선다.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위)는 20개 기업에 대해 IPO 승인 문서를 하달했고 20개 기업 모두 구체적인 상장 계획을 고시했다.

이들 20개 사에 더해 지난 해 상장 시기를 늦췄던 춘추항공(春秋航空)과 녕파고발(寧波高發)까지 포함하면 이번주 22개 사가 신규 상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A주 사상 주간 최다 IPO 기록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증감위에 따르면, 춘추항공과 닝보가오파를 제외한 20개 사 중 10개 기업은 상하이거래소 상장을 준비 중이며, 3개 사와 7개사는 각각 선전거래소 중소판(中小板)과 창업판(創業板 차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하이거래소 상장 예정 중인 기업은 ▲재승과기(再昇科技) ▲화우고업(華友<金+古>業) ▲서부황금(西部黃金) ▲건성그룹(健盛集團) ▲영예주식(永藝股份) ▲용마환위(龍馬環衛) ▲낙력주식(諾力股份) ▲화거전자(火炬電子) ▲항천공정(航天工程) ▲신광문구(晨光文具) 등이다.

이밖에 ▲완달원선(萬達院線) ▲애적이(愛迪爾) ▲이민주식(利民股份)은 선전거래소 중소판에, ▲호풍과기(浩豊科技) ▲쾌락구(快樂購) ▲곤륜만유(昆侖萬維) ▲중문재선(中文在線) ▲남화의기(南華儀器) ▲소시시험(蘇試試驗) ▲이지밀(伊之密)은 선전거래소 창업판에 상장한다.

한편, 전문가들은 최근 증시 활황에 대한 기대감으로 IPO 물량이 넘쳐나고 있지만 신규 상장 종목에 대한 투자 열기는 식고 있어 투자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총 21개 사가 상장했으나 '상한가'를 5일 이상 기록한 종목은 6개에 불과했고, 화전중공(華電重工, 601126.SH)과 해남광업(海南鑛業, 601969.SH) 등은 최근 연일 하락세를 보이며 상장 직후의 상승분 20%를 모두 내주었다.

이에 관해 한 시장 전문가는 "1월 상장 예정 중인 기업이 20여개 달한 것은 작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라며 "양호한 시장환경으로 인해 IPO에 속도가 붙고 있고, 증감회 역시 지난 해 말 시장 안정을 조건으로 신주 물량을 적당히 늘릴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신규 종목 공급속도가 빨라지는 반면 신규 상장종목에 대한 투자열기는 하락하고 있다"며 "신규 상장 후 예상 수익 또한 그에 따라 낮아지면서 신주에 대한 인기가 더욱 시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부동산 등 전통 우량주 역대 최고점 돌파,  상승세 지속 전망

상하이종합지수가 3300포인트를 돌파하면서 부동산·제조업 등 전통 업종의 대형 우량주 종목의 주가가 역대 최고치에 근접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이들 대형 우량주의 주가가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는 상하이자동차(上汽集团,상해기차, 600104.SH), 바오리부동산(保利地产,보리지산,600048.SH), 거리전기(格力电器, 격력전기,000651.SZ) 등 상당수 전통 업종의 우량주 종목 주가가 A주 지수가 최고점이던 2007년 당시 주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랐다고 11일 보도했다.

중국 증시가 상승세를 타고 있긴 하지만, 부동산 시장과 수출 등에 큰 영향을 받는 전통 업종 종목의 주가 급등은 시장 상식과 벗어난 부분이 많아 이들 종목의 주가 상승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표적인 전통 업종 우량주인 바오리부동산은 상하이종합지수가 6000포인트를 돌파했던 2007년 당시 주가가 11.82위안이었지만, 이후 7년 간의 A주 침체기 동안 주가가 폭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가 2000포인트 수준이었던 2014년 상반기에는 주가가 5위안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A주 상승세와 함께 주가가 다시 두배인 10위안 이상으로 치솟았다.

증시 전문가들은 부동산 기업이 최근 부동산 시장 불황과 투기 억제 정책으로 어느 정도 타격을 받았지만, 2007년 이후 부동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과정에서 상당한 이익을 거뒀기 때문에 기업자산이 크게 늘어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게다가 올해 부동산 구매 제한 철폐 등 부동산 시장 살리기 정책 실시가 예상되고, 통화완화 기조도 확실한 상황이어서 부동산 시장 전반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거리전기, 상하이자동차, 구이저우마오타이 등 우량주의 주가 상승 논리는 바오리부동산과 다르지만, 이들 종목이 향후 고속 성장이 기대되는 소비류에 속한 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한 증권 전문가는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상당수 전통 업종 주식이 2007년의 역대 최고점에 근접했거나 그 이상으로 치솟고 있다. 그러나 주가수익배율(PER)은 2007년도에 비해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이어서 앞으로 주가가 더욱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증권사실적 쑥쑥, 11개사 12월매출 전월비 51%증가

중국 A증시 11개 주요 증권 상장사의 2014년 12월 매출이 전월대비 51%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까지 11개 A주 증권사가 2014년 12월 실적을 공개한 가운데, 이 11개 증권사의 매출액은 116억8500만 위안(약 2조원)으로 그 해 11월대비 51.11% 증가했다. 2014년 12월 순이익도 전월대비 16.14% 증가한 39억1500만 위안(약 6800억원)에 달했다.

그 중 중국 최대 증권사인 중신증권(中信證券 600030.SH) 매출액은 23억6100만 위안(약 4100억원), 순이익은 10억 위안(약 1740억원)에 육박했다. 2014년 11월에 비해 매출과 순이익이 각각 33%, 6.5% 증가했다.

영업실적 개선이 가장 두드러졌던 증권사는 국원증권(國元證券 000728.SZ)이다. 국원증권은 2014년 12월 매출액과 순이익이 모두 100% 넘게 올랐다.매출액은 7억8100만 위안(약 1360억원)으로 전월대비 무려 110.51% 급증했고, 순이익은 3억7200만 위안(약 648억원)으로 전달보다 106.67%나 늘어났다.

2014년 11월 말 인민은행이 금리인하를 단행하면서 증권주 주가가 급등하며 고공행진을 지속, A증시 상승세에 힘을 보탰다.

전문가들은 증권사들이 12월 양호한 실적을 올리면서 증권주 주가 상승에 날개를 달아줄 것으로 전망했다.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90m '고도제한' 양천구 울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고도제한 기준 개정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갑작스러운 고도제한으로 재건축에 큰 제약을 받게 된 서울 양천구 목동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반면 그동안 대부분의 면적이 제한을 받던 강서구 주민들은 이번 조치를 환영하면서 서울시와 정부 모두 곤란한 상황에 처한 모습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공항 고도제한 국제기준 개정안 내용.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이제 재건축 막 올랐는데"… 90m 고도제한에 목동 주민들 뿔났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4일 ICAO 국제기준 개정안이 발효되면서 이에 따른 수혜 및 피해지역 간 온도차가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ICAO는 국제 민간항공 항공기술·운송·시설 등을 관할하는 유엔 산하 전문기구다. 올 4월 ICAO는 2030년 11월 시행을 목표로 고도제한 국제기준 개정안을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현재 일률적으로 제한하고 있는 장애물 표면을 향후에는 침투금지표면과 평가표면으로 이원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공항 주변 지역은 '공항시설법'에 따른 장애물 제한 표면지역으로 설정돼 건축물을 높게 지을 수 없었다. '제한표면'(OLS) 규정에 따라 안전 운항을 위해 항공기 성능이나 비행 절차를 고려하지 않고 건축물 높이를 획일적으로 규제해서다. 활주로 반경 4㎞ 이내 건물은 45m를 초과하지 못해 13층 이상의 아파트를 짓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노후 주거지의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에도 걸림돌로 작용했다. 앞으로는 이를 '금지표면'(OFS)과 '평가표면'(OES)으로 이원화한다. 금지표면은 항공 안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절대적 금지구역이다. 평가표면은 건물 높이를 규제한 금지 표면을 축소하고, 항공학적 검토를 거쳐 건축물 높이를 탄력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곳이다. 공항별 여건에 따라 평가표면을 축소하거나 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정안상 평가표면은 현행 기준보다 확대된다. 국내에 적용되면 김포공항 반경 약 11∼13㎞ 내가 평가표면으로 분류돼 45·60·90m 등으로 고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래는 고도제한 대상에 해당되지 않았던 양천구는 영등포, 마포, 부천 등이 평가표면에 포함된다. 고도제한 요건 수정으로 가장 마음이 급해진 건 목동신시가지 소유주들이다. 현재 1~14단지 모두 재건축을 추진 중이다.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른 6단지는 최고 49층, 7단지는 최고 60층을 목표로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최고 층수가 49층이면 높이로는 약 180m이므로 90m 고도제한이 설정되면 설정 범위내 모든 건축물은 30층 이하로만 지어야 한다.   목동 14개 단지 재건축 조합 등으로 구성된 '목동 재건축 연합회'(목재련)은 이달 28일 ICAO 개정안에 대한 반대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상용 목재련 회장은 "항공기술 발전에 따라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개정안은 주민들의 오랜 염원을 짓밟는 퇴행적 조치"라며 "이는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 기회와 재산권을 사실상 봉쇄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개정안이 현실화되면 목동 재건축 사업의 동력이 상실되고 수도권 전체 도시 재생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드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국토부에 김포공항 이전 재검토나 ICAO 개정안에 대한 공식 반대 입장 표명을 요청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개정안 국내 도입 시 항공기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도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계획"이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고, 국내공항 여건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 "재산권 행사 좀 하자"는 강서구… 중간에 낀 서울시 '난감' 양천구와 반대로 강서구는 ICAO 개정안에 대한 환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강서구는 현재 전체 면적의 97.3%가 고도제한 구역으로 설정돼 있다. 관련 규정이 개정되면 절대적 금지표면 대비 조건부 평가에 따라 건물을 높이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금보다는 높은 층수로 정비사업이 가능하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지난달 고도제한 완화 관련 세미나를 열고 "1958년 김포국제공항 개항 이후 강서구는 도시 발전과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제약을 받아왔다"며 이번 국제기준 개정이 강서구 56만 주민의 염원을 담아 합리적이고 조속하게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서울 내 자치구가 상반된 처지에 놓이면서 서울시도 향후 정책 방향을 고심하는 모습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30일 목동6단지를 방문해 재건축 속도를 높인다면 ICAO 개정안 적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목동 재건축 단지가 개정안 시행이 예정된 2030년 안에 사업시행계획인가 단계까지 모두 마친다면 제도 변경 사정권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다. 오 시장은 "아직 고도제한 개정 관련 세부 내용이 완전히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며 "8월부터 ICAO와 국토부 사이 소통을 통해 최종 규정안 협상까지 1년 정도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토부가 재건축이 진행되는 지역의 재산적 피해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서울시 또한 재건축 추진 단지가 손해 보는 일이 없도록 강력히 건의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전문가 사이에선 고도제한 관련 규정 개정과 재건축 사업 사이 균형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정비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주택 공급량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지역 전체의 자산 가치와 지방세수 증가, 인구유입 등에 효과가 있으나 그 과정에서 비행 안전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해선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김영록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제한된 면적 하에서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저하는 해당 지역 개발의 결정적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장애물제한표면 하에서의 법규상 각종 제한까지 더해지면 지역 노후화의 대표 원인이 될 수 있다"며 "고도완화가 없이 특정 지역 전체의 경제적 이익이 상실된다면 항공항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 고도제한 규정을 손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성환 한국항공우주법연구소 대표는 "일본과 대만은 도심에 있는 비행장 주변의 공역을 재설계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비행안전을 추구하고 있다"며 "항공기와 관제 기술의 급속한 발달을 따라잡지 못하는 구식 정책을 업그레이드해야 할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2025-08-01 06:30
사진
'내란 공모' 이상민 前 장관 구속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특정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를 지시한 혐의 등을 받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정재욱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전날 이 전 장관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죄를 범했다고 인정할 상당한 이유가 있고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며 1일 영장을 발부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뉴스핌DB] 특검은 지난달 28일 내란중요임무종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위증 등 혐의로 이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특검은 이 전 장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적인 계엄 선포를 사실상 방조하고, 특정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 지시를 전달해 국민의 생명·안전권을 침해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특검은 이 전 장관이 행안부 장관으로서 외청 기관장인 소방청장 등에게 의무 없는 단전·단수를 지시한 행위가 직권남용에 해당한다고도 봤다. 특히 이와 관련해 특검은 그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사건 변론기일에 나와 단전·단수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발언한 것을 위증이라고 판단해 이 혐의도 적용했다. 그동안 이 전 장관은 혐의를 전면 부인해 왔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단전·단수 등 지시를 받은 적이 없으며, 행안부에는 소방청에 대한 지휘 권한이 없다는 것이 이 전 장관의 주장이었다. 특검은 이 전 장관의 주장을 반박하고 구속 수사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160장의 파워포인트(PPT)를 준비하고, 앞서선 300여쪽의 의견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특검이 이 전 장관의 신병을 확보하면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다른 국무위원들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 전 장관 구속은 이른바 '안가(안전 가옥) 회동 의혹' 관련자 중 첫 신병 확보인 만큼, 일각에선 특검이 근시일 내 나머지 안가 회동 멤버에 대해서도 소환조사를 진행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안가 회동 멤버는 이 전 장관과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완규 전 법제처장이다. 이들은 윤 전 대통령의 법률가 출신 최측근으로, 계엄 해제 이후 안가에 모여 계엄 직후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hyun9@newspim.com 2025-08-01 06:2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