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회의 앞두고 최종 결정 저울질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양적완화(QE) 시행을 저울질하는 유럽중앙은행(ECB)이 회원국의 납입 자본 비율에 근거해 국채를 매입하는 형태로 구체안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정책자들이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22일로 예정된 회의에서 ECB가 QE를 본격 시행할 것인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출처:AP/뉴시스] |
독일이 ECB의 자본금 가운데 17.9%를 불입했고, 프랑스의 납입 자본금 비중이 14.2%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키프로스는 0.15%로 미미한 수준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ECB는 이 같은 비율대로 각국의 국채를 매입, 실물경기 회복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우량 국채의 매입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어 QE에 따른 리스크를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책자들이 최종 결정을 아직 내리지 않은 상황이라고 주요 외신은 전했다.
지난해 12월 유로존의 인플레이션이 연율 기준 마이너스 0.2%를 기록,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투자자들은 가운데 22일 열리는 회의에서 ECB 정책자들이 QE를 전격 단행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주 일부 외신이 ECB의 QE가 5000억유로(5930억달러) 규모로 이뤄질 것이라고 보도한 가운데 이에 대한 시장 전문가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월가의 대표적인 비관론자로 통하는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학교 교수는 ECB의 QE가 이미 시기적으로 늦었고, 규모 역시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채권왕으로 불리는 빌 그로스 야누스 캐피탈 펀드매니저를 포함해 상당수의 투자가들이 이 같은 의견에 입을 모으고 있다.
반면 골드만 삭스는 5000억유로의 QE가 작지 않은 규모라고 평가했다. 다만, 시행 시기가 다소 늦다는 지적이다.
얀 하치우스 골드만 삭스 이코노미스트는 “연방준비제도(Fed)의2010년 말 2차 QE의 규모가 6000억달러였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5000억유로의 유로존 QE가 작은 금액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유로존 QE의 효과에 대한 투자자들의 시각은 대체로 회의적이다. ECB가 미국 연준과 같은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일본이 지난 2001년 이후 수차례에 걸친 QE를 단행했지만 여전히 침체 터널을 온전하게 벗어나지 못한 데서 보듯 유동성 공급이 한결 같이 의도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