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글로벌 유동성 확대 최대수혜국
올해 연초 중국 부동산 개발 업체의 디폴트 뉴스로 상해종합지수는 거의 상승을 멈춘 상태이다. 반면, 한국증시는 올해 코스피 1.8% 상승, 코스닥 10.4%나 상승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지금 중국에서 나오고 있는 부동산 리스크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까? 중국 부동산발 금융위기가 시작되니 한국 주식을 대거 매도해야 하는 것인가? 절대 아니다. 우리는 적극적으로 한국 주식을 매수를 해야 한다.
왜냐? 최근 나온 중국 관련 부동산 업체 디폴트 뉴스에서 "신화망(新華網) 등 일부 중국 매체는 정부가 부동산 대출 규제를 완화하고, 인민은행이 금리를 낮추면서 대형 부동산 업체들은 실적이 개선되고 있지만, 중소 부동산 기업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라고 했듯이 중국 정부는 부동산 시장의 급락은 절대 바라지 않는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엄청난 유동성을 부여할 것이다.
처음으로 금리인하와 지준율 인하까치 포함 시켜 전체적으로 부양 시작된 것이 작년 4/4분기 말이다. 유럽도 올해 처음으로 엄청난 수준의 양적 완화를 하고 있다. 게다가 일본의 유동성 풀기는 멈출 줄을 모른다. 미국을 제외한 모든 큰 경제 국가들이 다 그렇게 하고 있다.
게다가, 미국증시 또한 예전 같지가 않다. 올해만 다우지수는 -4.5%의 하락에 금리인상을 감안하더라도 달러 인덱스는 96선에 고점을 찍는 분위기이다. 최근에 나온 4/4분기 잠정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은 2.6%로 예상치인 3%를 크게 하회하며 미국 증시는 하락했고 미국 달러 인덱스는 최근 고점을 찍고 하락하는 분위기이다.
그렇다면 이런 가정을 한번 해보자. 향후, 미국은 금리인상을 늦출 수밖에 없다. 올해 골드만삭스 보고서에서 "저유가와 강달러로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둔화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근원 인플레이션이 1% 부근으로 하락할 경우 연준이 내년까지 금리인상을 미룰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올해 안에 금리 인상을 하지 못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향후 달러 인덱스가 연말까지 천천히 약세를 보일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전세계 유동성은 크게 상승한다. 달러 약세라는 것은 유가상승이라는 말이고 이머징 시장 상승이라는 연결고리가 있다. 따라서, 크게 상승한 유동성이 신흥국 시장으로 그리고 위험성 자산으로 흘러 들어간다고 예상해 보자. 유가 또한 그때까지 천천히 상승한다고 예상을 해 보자.
그렇다면, 이때 가장 좋아 보이는 나라가 유가하락에 수혜 국가들이라고 하면 중국, 인도, 대만, 한국, 일본 등 이 나온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중국은 지금 부동산 시장의 문제로 유동성은 엄청 풀리지만 적정주가(Valuation)의 부담이 3000이상의 지수 대에선 크게 상존 한다. 게다가, 일본, 대만 또한 한국 보다 적정주가 그리고 환율 상 상대적인 가치는 낮아 보인다. 결국은 한국시장의 매력이 너무나 높아지고 있는 2015년 인 것이다.
그럼 그 많이 풀리는 유럽, 중국, 일본의 유동성은 어디로 갈 것인가? 답은 당연히 한국이다. 그래서 최근에 뉴스를 읽어보면 엄청난 금액의 한국 자산(부동산과 기업)을 일본, 대만과 중국이 한국의 부동산과 기업인수를 그렇게 하고 있는 것이다. 거의 매일 같이 뉴스에 나온다. 최근에 중국계 일본계 자본이 한국의 부동산과 기업인수를 한다는 뉴스는 자주 접하게 된다.
물론, 중국 부동산 시장의 하락으로 한국 건설주를 제외한 중국 관련 업종인 정유/화학, 조선/중공업, 기계, 철강 업종이 지속적으로 공급과잉에 실적이 좋아 질 수 없기 때문에 매력도가 낮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투자전략가들이 있을 수 있다. 충분히 지난 4년간의 주가로 판단한다면 그 말들이 맞다. 하지만, 다시 한번 잘 생각해보자.
중국이 진정 부동산 가격 하락을 가만히 두고 보겠냐는 것이다. 절대적으로 유동성을 풀 것이다. 그리고 금리인하와 지준율 인하는 엄청난 거품을 다시 한번 만들 수 있다. 이미 2011년 고점 대비 작년 말까지 지속적으로 좋지 않았던 것이 중국의 부동산 경기였고 그래서 중국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받는 한국 업종들의 실적이 좋지 않은 것이었다.
개인적으로는 그래서 중국 부동산 주는 적극 매도라고 지난 3년간 추천해 왔다. 그래서, 한국의 관련 기업들의 주가 또한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을 한 것이다. 결론은 중국 정부가 작년 말까지 의도적으로 구조조정을 요구하며 의도적으로 만들어 낸 결과이다.
하지만, 내 개인적인 의견은 이제 중국 정부는 전체적인 유동성 부양으로 중국 경기하락을 최선을 다해 막으려 한다고 생각한다. 아주 큰 흐름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국무원 산하의 싱크탱크 사회과학원은 2015년 중국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이나 작년 대비 점차적인 회복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사회과학원은 올 하반기 1·2선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3·4선 부동산 시장은 2016년 하반기에 살아날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의 위기감이 고조되자 중국 정부는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 올해 상반기에 리츠(REITs,부동산투자신탁)를 7년 만에 다시 시행할 예정이다. 리츠를 통해 부동산 개발기업의 직접금융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만약 이 엄청난 유동성 부여가 중국 경제성장률을 7% 이상으로 유지만 해준다면, 지금까지 잘 버티어 온 한국의 중국 부동산 관련 업종들의 기업들이 중국 대비 상대적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들이라면 향후 1~2년간 엄청난 주가의 반란이 일어 날 것으로 예상한다.
그래도 한국 중국 부동산 경기 관련 시클리컬 (철강, 기계) 주식 매수가 부담스럽다면, 그냥 유가 관련 주로 포함이 되어 지난 4/4분기 엄청나게 하락한 한국 해외 수주 대형 건설주와 중공업/조선, 화학/정유주를 매수하면 된다. 이들은 중국 부동산 경기 하락에 큰 영향은 없고 반면, 유가 상승에는 민감하게 반응을 할 것이고, 국내 부동산 경기와 내수 경기의 상승에 수혜를 받기 때문이다.
내 개인적은 생각은 미국 시장과 중국 시장은 올해 들어 조정을 받고 있지만 한국 시장의 상승은 너무나 기대가 되는 2015년이다.
[프로필]
1993.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 경영·경제학 졸업
2011~2013 우리환아투자자문 북경 리서치센터장
2008~2010 우리엡솔루트파트너스 싱가폴 연구책임자, 자산관리사
2001~2007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상무
2000~2001 Morgan Stanley Dean Witter 애널리스트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