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로 간다...차별화된 품목 개발해 해외 공략
[뉴스핌=함지현 이진성 기자] "국내는 좁다. 해외로 나가자."
최근 국내 주요 유통채널·식품·제약 업체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하다. 내수시장은 시장이 한정돼 있고 성장이 정체돼 있는 만큼 새로운 활로 개척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먼저 이마트는 지난해말 베트남 호치민시에 2개 층 총 3200평 규모로 그랜드오픈한 베트남 1호 '고밥점'을 교두보로 삼아 라오스·인도네시아·미얀마 등 동남아 신흥국 진출을 꾀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시장은 국내총생산 증가율이 6.5%에 이를 만큼 성장속도가 빠른데다 아세안 국가와 중국 및 인도를 연결하는 거대 경제권의 한복판에 위치한 요충지이기도 하다.
국내 베이커리 최초로 글로벌 200호점을 개점한 파리바게뜨는 올해 해외매장 100여개를 추가로 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2004년 해외 진출을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프랑스, 중국, 미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 해외 5개국에서 사업을 꾸려나가고 있다. 향후 본격적인 가맹사업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G2 시장인 중국과 미국에만 2000개 이상의 매장을 연다는 방침이다.
중국 내 패션브랜드로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는 이랜드의 경우 올 상반기 내로 패션 SPA브랜드 매장 50여 개를 추가로 오픈할 계획이다. 이랜드는 지난해 총 38개의 점포를 확장, 현재 중국 각지에 스파오 17개, 미쏘 12개, 후아유 76개, 슈펜 2개 점을 운영하고 있다.
식품업체 중에는 전 세계 17억 무슬림을 위한 '할랄 시장'을 겨냥해 '할랄 인증'을 받은 곳도 있다. 할랄(Halal)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이라는 의미하는데 할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할랄 인증'이 꼭 필요하다.
할랄 인증은 이슬람법을 기준으로 무슬림이 먹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 가공된 식품 및 공산품에 부여된다. 할랄 시장 규모(세계할랄포럼 기준)는 2013년 1조 달러(약 1170조원)를 넘어섰고, 2019년에는 2조5000억달러(약 2932조50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큰 시장이다.
인도네시아 할랄인증 기관인 MUI로부터 조제분유, 멸균유, 주스블랜드 3종 6개 제품에 대해 할랄(Halal) 인증을 받은 바 있는 매일유업은 올해 자킴(JAKIM) 말레이시아 할랄인증을 추가로 받을 계획이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국내 유일의 할랄인증기관인 한국이슬람교중앙회(KMF)를 통해 밀키스·알로에주스에 대한 할랄 인증을 받았다. 해당 인증은 세계적으로 공신력이 높은 할랄인증기관인 말레이시아(자킴, JAKIM), 싱가포르(무이스, MUIS) 등과 상호 동등하게 인정된다.
롯데칠성음료는 말레이시아에 대한 할랄 인증 제품 수출을 시작으로 향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중동 지역 등으로 수출을 확대할 예정이다.
국내 제약사들도 신약 연구개발(R&D) 역량이 강화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가는 모양새다. 특히 올해부터는 국내 제약사들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낼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기술수출로만 7조원을 기록한 한미약품이 꼽힌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6건의 기술수출로 계약금으로만 7000억원 이상 확보했다. 6건 모두 상업화에 성공할 경우 개발 단계가 진전될 때마다 단계별 기술수출료(마일스톤)을 받게된다. 순조롭게 개발이 진행된다면 올해부터 수천억원대의 수출료 유입이 가능하다.
녹십자는 간판 품목인 혈액제제의 미국 진출을 노리고 있다. 녹십자는 지난해 북미 생산거점으로 캐나다에 약 1870억원을 투입해 혈액분획제제 생산시설을 건설하는 등 미국시장 진출을 고대해왔다. 이를 위해 현지법인을 통해 원료혈장을 공급받을 수 있는 혈액원도 총 8곳 설립했다. 올해에는 녹십자가 세계 4번째로 개발한 ‘4가 독감백신’의 세계보건기구(WHO) 산하기관 입찰을 통한 해외무대 데뷔가 예상되고 있다.
올해 본격적으로 해외 매출이 잡히는 LG생명과학도 눈에 들어온다. 자체 개발한 당뇨신약 '제미글로'가 올해부터 인도와 중남미 시장 등에서 판매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국산신약 19호로 허가받은 제미글로는 지난해까지 사노피 등을 통해 105개국과 수출 계약을 맺은 상태다.
아울러 지난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동아에스티의 수퍼박테리아 항생제 '시벡스트로'의 시장 안착 여부도 관심이 모아진다. 시벡스트로는 지난 2007년 1월 미국 트리어스 테라퓨틱스에 기술수출됐다. 현재 미국과 유럽 판권은 머크가 보유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머크로 부터 시벡스트로 매출의 3~5%를 판매로열티로 받게된다.
이처럼 국내 주요 업체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는 이유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유통 및 제약업종들은 최근 내수시장 포화로 인해 출혈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며 "이제는 국내만의 차별화된 품목을 개발해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함지현 기자 (jihyun03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