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통폐합하고 생산능력 조정해야 성공"
[뉴스핌=한기진 기자] 조선 해운 철강 등 주요 산업의 구조조정 성패가 재무상태 개선보다는 기업 통폐합과 생산능력 조정 등 사업재편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융연구원이 1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산업구조의 변화와 효율적 기업구조조정 체제의 모색'이라는 주제로 연 세미나에서 발표자로 나선 구정한·김석기 연구위원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의 오승욱 파트너 등은 산업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한 목소리를 냈다.
<자료=금융연구원> |
김석기 연구위원은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업성을 면밀히 분석해 경쟁력이 없는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새로운 사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등 사업 구조조정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기업 구조조정의 성과 차이를 분석했을 때 금융위기 이전에 기업 구조조정을 시작한 기업들은 약 50% 정도가 성공한 반면 이후에는 30%대로 떨어진 근본적인 이유도 이 때문으로 분석했다.
데이타 상으로도 재무 측면보다는 사업 측면을 주로 반영하는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구조조정 성패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반면 부채비율, 이자보상비율 등의 재무 환경 변수는 구조조정 성패와 뚜렷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석기 연구위원은 "벤치마크 모형에 글로벌 금융위기 변수를 추가한 결과 같은 조건의 기업이 구조조정을 시작했다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작한 기업들의 성공 확률이 줄었는데, 이는 간접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 프로그램이 효율적이지 못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도 설명했다.
앞으로 경기가 큰 폭으로 반등하더라도 기업 구조조정의 성공 확률이 현저히 높아질지는 불확실하다는 분석도 내놨다.
오승욱 파트너는 "성수기의 실종"이라며 "시장이 반전되면 성과가 개선되리라는 막연한 기대는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산업적 시각에서의 최적 대안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얻고자 하는 지향점을 정의해야 한다"고 했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필요한 지배구조상의 변화는 물론 주주와 채권자 간 커뮤니케이션 방안, 공정거래법 상의 이슈 등 제약 요소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그리고 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개별 기업과 채권단, 정부의 역할 등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장애 요소 극복을 전제 조건으로 제시했다. 가령 철강산업의 경우 생산설비 최적화 과정에서 누가 어떤 생산 능력을 어떻게 축소하느냐에 대한 시각이 개별 사업자간 다르고, 합의를 통해 방향성을 정하더라도 공정거래 이슈 등 제도적·법적 제약을 극복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의 철강산업에 대한 보호무역, 반덤핑, 비관세 정책 등에 있어 다른 산업과의 이해상충, 정부의 역할에 대한 회의적 시각 또한 장애 요소로 꼽았다.
오 파트너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분석하면 조선 3사의 5년 후 필요한 생산시수는 35% 감소할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한기진 기자 (hkj7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