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마켓

속보

더보기

[22일 중국증시 투자뉴스] 브렉시트헤징 상품출시. 진차오 테슬라 합작부인

기사입력 : 2016년06월22일 09:22

최종수정 : 2016년06월22일 09:41

[뉴스핌=중국본부]

◆ 평안은행, ‘브렉시트 리스크헤징’ 옵션상품 출시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묻는 국민투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며 글로벌 증시가 민감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평안은행은 21일 ‘브렉시트 리스크헤징’ 선물옵션상품을 출시했다.

중국 재신망(財新網) 보도에 따르면, 평안은행 자금운용센터 선물옵션팀은 '브렉시트-1'부터 '브렉시트 -6'까지 총 6개의 상품을 출시했으며, 계약 만기 직후 수익을 현금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의 EU 잔류를 낙관할 경우 각각 50달러, 30달러에 브렉시트-1과 브렉시트-4에 투자할 수 있고, 반대로, EU 탈퇴에 베팅하고 싶은 투자자들은 나머지 4개 상품에 투자 가능하며, 30-50달러의 옵션가격을 지불해 최대 100달러까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6개 상품의 이자기산일은 6월 21일, 만기일은 24일이다.

한편, 업계는 평안은행의 브렉시트 리스크 헤징 상품을 ‘도박’에 비유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해당 상품의 매입과 매도의 거래규모를 동등하게 설정했을 경우 상계 후 은행의 리스크 위험도는 ‘0’이 된다”며 “즉, 매매 쌍방에 진짜 수요가 없다면 그야말로 도박을 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은행만 중개료를 벌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우리 특파원]

◆ 진차오그룹, 美테슬라와 합자공장 건립 부인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와 생산시설 설립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알려진 상하이진차오그룹(上海金橋集團)이 21일 저녁, 테슬라와 관련 MOU나 다른 그 어떤 계약도 체결한 적이 없다고 공시했다.

앞서 21일(현지시각) 블룸버그 통신은 진차오그룹이 테슬라와 생산시설 설립 관련 MOU를 체결했으며, 양사는 중국 생산기지 설립을 위해 45억달러씩 총 9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21일 진차오그룹(浦東金橋 600639.SH) 주가는 9.98% 폭등했고, 진차오B주(金橋B股 900911.SH) 가격 또한 7.34% 올랐다.

테슬라 역시 진차오그룹과의 합자공장 건립 관련 보도를 부인하고 나섰다. 테슬라는 중국 공장 건립 사안은 아직 조사연구 단계이며 그 어떤 기업과도 MOU를 체결하지 않았다고 못 박았다.

지난해 10월 옐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중국시장 내 제품 판매가를 낮추기 위해 중국에 공장을 건립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테슬라 전기차 가격을 30% 가량 낮추기 위해 2018년 이전까지 중국에 전기차 생산시설을 건립하겠다는 것. 중국은 테슬라에게 미국 다음으로 큰 시장이다.

한편 머스크 CEO의 발언 이후 시장에는 테슬라와 상하이자동차그룹(上汽集團)·창안자동차(長安汽車)·베이치푸톈(北汽福田), 장화이자동차(江淮汽車) 등 여러 중국 자동차 기업과 협력 소문이 돌았지만 사실로 확인된 바는 없었다.  [이지연 기자]

 재정부 올해 280억위안 딤섬본드 발행

중국 재정부가 오는 29일 딤섬본드 발행에 나선다.

차이신망(財新網)은 21일 “올해 재정부가 홍콩에서 총 280억위안 규모의 국채를 발행한다”며 “발행규모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딤섬본드는 홍콩 채권시장에서 발행되는 위안화 표시 채권을 말한다.

보도에 따르면 280억위안 규모의 딤섬본드는 140억위안씩 두 차례에 걸쳐 발행될 예정이다. 오는 29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140억위안이 발행될 예정으로 나머지 140억위안은 하반기(미정)에 추가 발행된다. 재정부는 올해 위안화 국채발행 후 홍콩거래소에서 거래를 이어갈 방침이다.

중원췐(鐘汶權) 무디스 이사회 의장이자 중화권 신용연구 애널리스트는 재정부의 이번 딤섬본드 발행에 대해 “자금이 필요한 점도 있겠지만 더 중요한 점은 역외 위안화 채권시장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분석했다. [서양덕 기자]

◆ 앤트파이낸셜, 중화농신과 농촌 금융 서비스 협력

앤트파이낸셜(螞蟻金服, 마이진푸)과 중화농신(中和農信)이 농민 및 빈곤층 대상 금융 서비스 협력을 확대하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20일 알리바바의 금융계열사인 앤트파이낸셜(螞蟻金服, 마이진푸)과 중국 빈곤구제기금회 산하의 중화농신(中和農信)은 전략적 협약을 맺고 향후 3년간 전국 300여개 빈곤지역을 대상으로 ‘인터넷+빈곤구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이용자들은 직접 대면을 통해 대출 심사를 받을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 등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번 협력 모델은 후난핑장현(湖南平江縣) 지역을 기점으로 시행되며 향후 전국 범위로 확대될 전망이다.

앤트파이낸셜의 한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중화농신과 협력점을 모색해왔다”며 “향후 금융 서비스 채널, 리스크 관리, 빅데이터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농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익적 성격의 금융 서비스 제공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앤트파이낸셜은 알리바바 금융자회사로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업체인 알리페이와 인터넷 금융업체인 마의소액대출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마의소액대출의 농촌 지역 대출자는 누적 2000만명에 달하며 이 중 국가급 빈곤 지역 이용자는 300만명이다.

중화농신은 중국 최대 공익적 성격의 소액 대출 금융 전문 기관으로 전국 18개 성에 걸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100만여명의 농촌 지역 중저소득층에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출 규모는 총 153억위안에 육박한다.[황세원 기자]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법,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특별검사)'의 재구속 적법성 여부가 오는 18일 나온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형사9-2부(재판장 류창성)오는 18일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을 진행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중앙지법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인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다음 날 새벽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hyun9@newspim.com 2025-07-16 14:41
사진
'강선우 임명' 딜레마 빠진 대통령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과 해명 번복, 임금 체불 논란 등이 이어지며 여론이 악화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인사 원칙과 여성 내각 구성이라는 정치적 목표 사이에서 셈법이 복잡해진 분위기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5일 마무리됐지만, 논란은 오히려 커졌다.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선 익명 폭로가 이어지고, 여성단체들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담을 토로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결정을 미루고 있다. 남은 청문회 과정을 모두 지켜본 후 종합 판단하겠다는 게 현재까지 대통령실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임명 강행'과 '철회' 사이에서 득실 계산이 한창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4 photo@newspim.com ◆ 여성 인재 중용 기조...정치적 부담 상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여성 인재 중용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내각 여성 비율을 30% 목표로 한다고 공언했으며, 여성가족부를 존치한 배경에도 그 같은 상징성이 깔려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 외에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여성 후보자들이 줄줄이 청문회에 오르면서, 한 명의 낙마가 전체 균형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적 부담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는 현직 국회의원이다. 만약 청문회를 거쳐 낙마할 경우, 이는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현역 의원 낙마' 사례가 된다. 이는 청문회 제도와 야당의 검증력을 키워주는 반면, 여당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의 리스크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시민사회와 보좌진들 사이에 형성된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 자체에 흠이 날 수 있다. 강 후보자는 앞서 '사적 지시는 없었다'는 취지로 부인했으나, 이후 공개된 텔레그램 메시지로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7.14 mironj19@newspim.com ◆ '버티기 인사' 반복시 내각 전체 불신 확산 우려 또한 임명 강행은 향후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에도 불똥을 튀게 할 수 있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버티기 인사'를 반복하면, 결국 전체 내각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게 일부의 우려다. 대통령실은 16일 이후 여론 흐름 등을 토대로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까지 모두 지켜본 뒤, 장관 인선을 '패키지'로 정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권 초반 인사를 둘러싼 시험대에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강 후보자의 임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여성 인재 정책과 인사 기준, 여당 내 권력구도와도 맞물린 상징적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회의원에게 보좌진은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의정활동 전반을 보좌하는 파트너이자 국민과 국회를 잇는 다리"라며 "그런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 2025-07-16 14:3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