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속보

더보기

아시아 부유층, 자산 축적↑…중국 '급증' - 보고서

기사입력 : 2016년09월29일 17:33

최종수정 : 2016년09월29일 17:40

중국 부호, 자산 증식 속도 전세계 증가율 70% 차지

[뉴스핌= 이홍규 기자] 지난해 아시아 지역 부유층의 자산 축적 속도가 다른 여타 지역을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부호들의 자산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27일 자산컨설팅업체 웰스X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초고액 자산가(ultra high net worth, 순자산 규모 3000만달러 이상)들의 순자산 규모는 일년 전보다 3.9% 불어난 7조8000억달러를 기록했다.

<자료=웰스-X>

이는 지난해 전 세계 슈퍼리치의 평균 자산 증가율 0.8%과 대비되는 결과다. 지역 별로 비교해봐도 미국이 1.5% 증가하고 오히려 유럽,중동,아프리카(EMEA)는 2.4% 감소하는 등 아시아 부호들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아시아 중에서 중국 부호들의 자산 증식 속도는 전 세계 증가율의 70%를 차지하는 등 기록적인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해 중국 최고 부유층이 보유한 순자산은 일년 전보다 11.2% 늘어난 1조7400억달러를 기록했다. 경기 둔화와 주식 시장 변동에도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자료=웰스-X>

웰스엑스는 이에 대해 지난해 하반기 중국 증시가 10% 이상 상승하며 연초 하락분을 상쇄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중국 부유층의 현금 보유 비중은 9% 이하다.

다만 부호 숫자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른 나라보다 뒤쳐졌다. 지난 4년간 부유층 인구 증가율은 미국이 20%인데 반해 중국은 5%에 그쳤다.

이번 보고서에서 눈 여겨볼 점은 자원 부국 지역의 부유층 자산 규모가 줄었다는 점이다. 원유와 원자재 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호주 부유층 숫자는 31% 줄어든 2475명이었으며 이들의 자산은 33% 급감한 2950억달러를 기록했다. 노르웨이는 54% 가량 급감했고 보유 자산은 900억달러로 2014년에 비해 51% 감소했다.

 

[뉴스핌 Newspim] 이홍규 기자 (bernard020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