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기억 조절 신경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뉴스핌=정광연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하 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김정훈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미래부와 연구재단은 김 교수가 위험에 대응해 뇌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공포행동이 편도체에서 시냅스 가소성으로 인한 공포 기억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이에 대한 반응 및 행동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밝힌 것을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편도체는 감정 기억 및 공포 반응을 제어하는 신경핵 집합체로 감정, 동기, 학습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냅스 가소성은 하나의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할 때 신호의 세기나 전달 효율이 지속적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김정훈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사진=미래창조과학부> |
편도체는 공포에 따른 반응행동과 공포 관련 자극을 학습할때 필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도체 신경회로를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 세포군이 너무 작아 연구가 어렵기 때문에 공포기억을 조절하는 신경 세포군의 역할 및 조절 메커니즘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었다.
김 교수는 분자생물학적, 약리학적, 광유전학적 실험을 통해 시냅스 가소성이 공포기억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으며 도파민 수용체와 공포기억의 관련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는 공포 기억을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망의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공포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시냅스 가소성임을 밝힘으로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신경정신 질환 치료법 개발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과학기술인의 사기 진작과 과학기술 마인드 확산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미래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