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광장 ANDA 칼럼

속보

더보기

[현장에서] 금융위기 후 CEO연봉 논란 아직도 진행형

기사입력 : 2017년04월07일 08:06

최종수정 : 2017년04월07일 09:40

[뉴스핌=이영기 기자] 영국이 유럽연합과 브렉시트 협상을 시작했다. 의회와 국민의 지지를 받으면서 브렉시트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좀 다르다. 백악관에 진입한 트럼프는 그의 원대한 계획의 첫 번째가 의회에서 정을 맞았다. 오바마 케어를 대폭 수정하는 트럼프 케어 법안이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서로 다른 상황의 소용돌이 속에 있는 양국이 금융위기 이후 제기된 문제를 아직도 풀지 못했다는 공통점을 가졌다는 점. 바로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고액 연봉 논란이다.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은 영국 FTSE100지수에 포함된 대기업 CEO 연봉이 해당업종 근로자 평균 연봉의 130배, 전체 근로자 평균 연봉의 386배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해당업종 평균으로 보면 영국은 20년 전 45배에서 지난해 130배로 확대됐다.

미국은 좀 더 심하다. 근로자 평균 연봉에 대한 자료는 없지만 미국도 S&P500 기업의 경우 지난해 CEO 연봉은 해당업종 평균의 275배가 넘었다. 회계연도 기준 2014년에는 301.9배였고, 지난해는 275.6배였다.1990년대에는 122.6배였고, 1970년대까지만 해도 30배 미만에 머물러 있었다.

◆ 근로자 평균의 20배(40년전), 120배(20년전), 276배(2015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에는 CEO연봉의 절대액수나 해당업종 평균대비 격차가 최고에 달했다. 2000년과 2007년의 경우 CEO연봉 절대 액수는 2040만달러(228억원)와 1880만달러(210억원)였다. 평균대비 격차도 각각 376.1배와 345.2배로 300배를 훨씬 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연봉 수준이나 격차 배수가 거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해 온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올해 1월 스위스 다보스(Davos) 포럼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됐다. 영국 런던 소재 싱크탱크인 하이페이센터(High Pay Center)의 스테판 스턴(Stefan Stern)의 발제 요지는 역시 영국과 미국의 포퓰리즘 색깔 짙은 정치 상황의 설명이다. "모멸감을 느낀다...CEO들이 엄청난 돈을 벌고 있다"고 도널드 트럼프가 대선 후보 당시 CBS뉴스에서 말한 것을 스턴은 환기했다. 소득불평등을 비판하고, 국민 모두에게 일자리를 제공해서 미국을 더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비전을 내세워 트럼프는 대통령에 당선됐다는 것이 스턴의 해석이다.

◆ CEO연봉과 일반직원 연봉 차이 공개 추진

영국은 최근 대기업 CEO 연봉과 그 기업 직원 평균연봉을 밝혀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규정 마련에 착수했다.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대변인은 "국민 모두를 위한 경제를 구현하기 위해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대해 컨설팅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CEO 연봉 수준 등 여러가지 옵션에 대해 정책보고서(컨설팅결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의 사회운동기관인 이퀄러티트러스트(Equality Trust)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CEO연봉, 직원연봉과 그 차이를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연기금연합회(LAPEF)에서는 CEO보수의 상한선을 제한하자고 주장한다. 협회는 이미 정책제안서를 의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다. LAPEF측은 "주가가 오르기만 하면 엄청난 규모의 CEO보수를 지급하고, 회사 사정을 잘 아는 투자자들조차 그것이 과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도 일부 폐기의 위기에 처해 있는 '도드-프랭크' 법에 반영된 CEO연봉과 직원연봉 비율 공개에 관한 규정이 회계연도 기준 2017년부터 적용된다. 2018년부터 발표하는 기업정보에 이 내용이 담기는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법 전면 개정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되는 상황.

미국 최대의 연기금인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캘퍼스·CalPERS)이 전면에 나서 프랭크-도드 법에 규정된 CEO연봉과 직원연봉 차이(배수)공개를 지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블룸버그통신은 캘퍼스를 포함한 기관투자자 연합이 미 규제당국(SEC)에 보낸 서한을 보도한 바 있다. 이 서한은 "SEC의 연봉비율 공개 규정은 2조5000억달러 투자자금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주주로서 기업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며 "사려깊고 균형잡인 규정으로서 그 시행 지연은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불이익을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여론에 떠밀려 SEC 의장 권한대행인 마이클 피우워는 2월 초에 해당 규정에 대한 내부 심의에 착수했다. 올해 당장 이 규정을 시행하는 것이 기업들에게 부담이 되겠지만 금융위기 이전에 CEO의 과도한 보수가 지나친 리스크를 감수케 했다는 도드-프랭크 법의 취지를 존중하는 첫 걸음이라는 것이다.

노블레스 오블리쥬를 말하듯이, 로얄뱅코오브스코틀랜드(RBS)회장을 역임했고 지금은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회장인 영국의 필립 햄프톤 경은 "대기업은 기업 인프라와 두터운 경영진이 있어 CEO 한 사람의 기여도를 그렇게 높게 평가할 수 없고, 따라서 지나치게 높은 보수를 받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이나 미국에서나 CEO연봉과 직원 연봉의 차이(배율: CEO-to-worker pay ratio)을 공개하는 것은 주주로서의 권익과 관련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는 것이다.

◆ 법으로는 연봉 수준 제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CEO연봉을 억제하는 방안으로 세 가지를 꼽는다. ▲노조가 강력한 목소리를 내는 것 ▲임원보수위원회의 합리적 의사결정 ▲주주 권리로 통제하는 것 등이다. 이중 오늘날 가장 현실성 있는 것은 주주권 행사로 보인다.

법으로 직접 CEO연봉 수준을 제한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 영국의 연기금연합회에서 CEO보수 상한선을 법제화하자는 주장을 내놓자,법제화는 매우 조심해야 한다는 우려도 한꺼번에 나오고 있다. 1990년대 초 미국 빌 클린턴 대통령이 CEO연봉 제한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사례를 염두에 둔 것이다.

1992년 대통령에 당선된 빌 클린턴은 100만달러를 초과하는 CEO 월급 합계는 모든 세제 혜택에서 배제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기업들은 CEO가 가져가는 월급을 줄이는 대신 성과급 보너스르 지급하고 스톡옵션을 도입했다. 그 결과 1995년 122.6배이던 CEO연봉과 직원 연봉 비율은 2011년에 235.5배로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법으로 제한하면 우회로를 만든다는 너무나 뻔한 사실을 클린턴은 몰랐던 것이다. 우회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법에는 법 정신이 있어야 하고 많은 논의를 거쳐야 한다. 주주권이 주총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교수 등 전문가도 이에 대해 한 치의 양보 없이 맞서고 있다. 대기업 CEO연봉이 높은 것을 피할 수 없다는 주장이 한 편에 있다. 세계화와 치열해지는 경쟁, 엄청난 기술변화 속도 등 갈수록 기업 리더의 역할이 커져 한마디로 '능력자 구하기 전쟁(War for Talent)'이 일어난다는 것. 그런 능력이 있어야 CEO가 되는데 그런 능력을 가진 사람은 너무나 귀하기 때문에 보수가 높을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런던비즈니스스쿨(LBS) 금융학과의 알렉스 에드만스 교수가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기고한 글도 이런 맥락이다. 그는 'CEO보수를 문제삼지 말아야 할 이유'라는 기고문에서 CEO는 꼭 기업의 성과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 등 사회에 기여하는 총체적 측면에서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명한 하버드대학의 맨큐 교수도 이런 입장이다.

반대편 논리도 만만찮다. 같은 하버드대학의 마이클 샌더스 교수는 고액 CEO연봉을 능력주의의 파편이라고 비판한다. 능력과 열성을 다해 일하는 것에 대한 보수만을 지지하는 시스템을 믿는 것은 그들의 성공이 오직 자신에게 달렸다는 의기양양함으로 이어진다는 것. 즉 상대적으로 행운이 덜한 사람을 얕보게 된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패배자는 위를 향한 사다리 한 칸 한 칸이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다고 생각하고, 이는 안정된 사회에 도움이 안 된다는 논리다.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10년째인 지금 CEO보수를 두고 옥신각신하는 영국과 미국이 향후 이 숙제를 어떻게 풀어낼지 주목된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대만 관련 발언에 반도체주 '와르르'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반도체 관련주가 급락하고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만 관련 발언이 지정학적 불안을 부추기면서 반도체주에 대한 강한 매도세로 이어졌다. 이날 미국 동부 시간 오후 2시 40분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는 6.4% 급락했으며 퀄컴과 ARM 홀딩스도 각각 8%대의 약세를 보이고 있다. ASML 홀딩은 12%의 급락세를 연출하고 있으며 TSMC 역시 7% 밀렸다. 블룸버그통신은 전날 미국 정부가 동맹국들에 기업들이 계속 중국에 첨단 반도체 기술에 대한 접근권을 허용하면 가장 높은 강도로 규제할 방침임을 알렸다고 보도했다. 미 정부는 이 같은 규제에 해외직접생산품규정(FDPR)을 적용할지를 검토 중이다. FDPR은 미국 외의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이라도 미국의 기술이 적용됐을 경우 미국산 제품으로 간주해 미국 정부의 판매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TSMC 로고 [사진=블룸버그통신] 전날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만 관련 발언도 이날 반도체 약세에 힘을 보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와 인터뷰에서 대만이 미국 반도체 산업의 거의 100%를 가져갔다고 지적하고 대만이 방위비를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AI 도입 확대 등 반도체를 둘러싼 현실 여건이 변하지 않아 이 같은 상황이 오래 지속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평가다. 테크애널리시스 리서치의 밥 오도넬 수석 애널리스트는 "시장을 움직이는 근본적인 요소들이 변하지 않아 시장 반응은 짧을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의 중국에 대한 판매 제한은 미국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어느 정도 강화할 것이지만 그것은 한동안 그렇게 시행돼 왔다"고 지적했다. 반도체 관련 주식이 대체로 약세를 보이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는 오후 장중 6% 이상 급락하며 지난 2022년 10월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내고 있다. 다만 올해 들어 이 지수는 32% 급등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의 같은 기간 17%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시장에서는 미국 내 생산 기지를 갖춘 반도체 기업들이 수혜를 누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날 반도체주의 대체적인 약세 속에서 인텔과 글로벌 파운드리스는 각각 1.09%, 5.65% 올랐으며 텍사스 인스트루먼츠는 0.12% 내려 약세가 제한되고 있다. 인텔의 경우 TSMC에 빼앗긴 점유율을 회복하기 위해 미국에서 막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인텔은 2022년 8월 발효된 미국 반도체법으로 527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아 이 법의 최대 수혜 기업으로 평가된다.    mj72284@newspim.com 2024-07-18 04:06
사진
羅 "보수 후보 맞나" 元 "동지 악역 만들어"…韓 '청탁 폭로' 일제히 비판 [서울 고양 =뉴스핌] 송기욱 신정인 기자 = 원희룡, 나경원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마지막 연설회에서도 한동훈 후보를 향한 비판을 이어나갔다. 두 후보는 이날 오전 한 후보의 '공소 취소 청탁' 폭로 논란과 관련해 "한동훈이 우리 당의 새로운 위협"이라며 날을 세웠다. 나경원 후보는 17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소노아레나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 서울·인천·경기·강원 합동연설회에서 "보수 가치에 대한 책임감도, 보수 공동체에 대한 연대의식도 없는 당대표에게 당을 맡길 수 없다"고 밝혔다. [고양=뉴스핌] 윤창빈 기자 = 나경원·원희룡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17일 오후 경기 고양시 고양소노아레나에서 열린 서울·인천·경기·강원 합동연설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4.07.17 pangbin@newspim.com 그는 이날 오전 한 후보의 '공소취소 청탁' 폭로에 대해서도 전면 반박했다. 나 후보는 "우리는 민주당에 맨몸으로 맞섰다. 투쟁하는 정당으로 바뀌어 조국 전 장관을 끌어내리고, 문재인 정부의 무능과 부도덕, 위선, 위법을 밝혔고 5년 만에 정권을 찾아오는 기초를 만들었다"고 했다. 나 후보는 "그런데 27명의 현역의원과 보좌진이 기소됐다. 반헌법적 기소였다"면서 "그 시절로 간다고 해도 감옥에 간다고 해도 투쟁할 것이지만 문제는 그것이 우리의 의회 투쟁을 위축시킨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당이라면 당연히 공소를 취소했어야 할 사안이다. 그런데 취소는 커녕 헌정 질서를 바로잡아달라는 말씀을 공소 취소 부탁이라고 이야기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야당은 신이 나 수사감이니 공소 취소 청탁이니 (한다)"면서 "우리 당대표 후보 맞나. 보수 정권 후보가 맞나"라고 직격했다. 원희룡 후보 역시 공세에 가세했다. 원 후보는 "나 후보가 법무부 장관에게 공소 취소 청원을 했다고 한다. 자기가 옳다는 주장을 한다고 우리의 소중한 동지를 정치 수사 대상으로 던져버린 결과가 됐다"며 "한 후보의 이 리스크는 우리 당의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했다"고 강조했다. 원 후보는 특검에 대한 비판도 이어나갔다. 그는 "특검은 곧 파멸이다. 특검법은 민주당이 대통령을 탄핵하고 조기 대선으로 몰고가기 위한 카드"라면서 "당대표와 대통령이 이걸 놓고 충돌하면 당은 산산조각난다"고 말했다. 특히 "당무개입이라면서 대통령을 악역으로 만드는 분이 있다. 정치 이전에 신의가 있어야 믿고 소통할 수 있다. 총선 패배가 전적으로 자기 책임이라고 고개를 숙이더니 내 잘못은 아니라며 100일은 너무 짧았다고 전당대회에 출마했다"고 꼬집었다. [고양=뉴스핌] 윤창빈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17일 오후 경기 고양시 고양소노아레나에서 열린 서울·인천·경기·강원 합동연설회에서 정견발표를 하고 있다. 2024.07.17 pangbin@newspim.com 원 후보는 "사법리스크와 동지들을 악역으로 만드는 이 리스크를 안고 어떻게 당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겠나"라고 했다. 그는 연설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서도 "한 후보의 입이 우리 당의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했다"면서 "누가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자기가 옳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말하는 사람을 면박주기 위해서다. 자기도 무슨 말을 하는지 몰랐지 않았을까 싶다"고 비판했다. 한 후보는 이날 연설에서 논란과 관련된 언급을 하지는 않았다. 그는 "모두와 함께 화합하는 정당, 단결하는 정당을 만들어 우리가 반드시 이기는 정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지난 총선에서 낸 후보들을 민주당과 비교해달라. 우리가 더 유능하고 성실하고 청렴한 후보들이었지만, 그런 후보들과 정책을 제대로 알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연설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두 후보의 비판과 관련해 "토론에서 말씀드린 내용 그대로다. 사실을 말씀드렸고 특별하게 덧붙일 말은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나 후보가) 법무부 장관의 임무 범위에 대해 말했고, 잘못 인식하신 부분이 있는 것 같아 사례를 들어 말씀드린 것 뿐이다"라며 "청탁을 들어드리지 않았기 때문에 야당에서 특별히 문제를 삼을만한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oneway@newspim.com 2024-07-17 17:3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