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주인공, 이자크 디네센

기사입력 : 2017년09월07일 11:15

최종수정 : 2017년09월07일 11:15

예술보다 사랑, 사랑보다 예술(10)

케냐의 나이로비 도심을 벗어나 외곽으로 20㎞ 정도 달리면 카렌 지역이 나타난다. 이곳에는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실제 여주인공이자 작가인 카렌 블릭센이 살던 집을 기념관으로 개조한 ‘카렌 블릭센 기념관’이 있다. 케냐 박물관협회(National Museums of Kenya)의 관리 하에 있는 카렌 블릭센 기념관은 1920년대 초창기의 커피농장과 백인 정착민들의 삶의 흔적을 보여준다, 널따란 뜰에는 당시 사용했던 트랙터와 철제 농기구가 있다. 입구에서 호젓한 길을 따라 조금 들어가면 커피농장에서 사용했던 각종 커피 원두 가공 기계류와 농기구들이 노천에 방치되어 있다.

덴마크의 룽스테드룬에도 카렌 블릭센 박물관이 있다. 이 작은 마을은 그녀가 태어나고 죽은 곳이다. 그리고 박물관에는 뛰어난 이야기꾼이자 소설가였던 카렌 블릭센의 생애와 그녀가 살았던 시절을 알려 주는 기념물들이 비치되어 있다.

황혼에 물든 아프리카의 야생 초원-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한 장면 <사진=이철환>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는 아프리카의 아름다운 자연과 풍광을 한껏 감상할 수 있는 영화이다. 화면 가득 펼쳐지는 아프리카의 광활한 초원과 목초지 풍경, 그리고 무리를 지어 뛰노는 야생동물의 모습을 잊지 못할 것이다. 여기에 영화에 삽입된 음악,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은 영화의 풍미와 감동을 한껏 더해 준다.

이 음악은 모차르트가 죽기 두 달 전에 작곡한 그의 유일한 클라리넷 협주곡이자 마지막 협주곡이기도 하다. 모차르트가 세상에 남긴 마지막 메시지, 그의 음악적 유언이다. 그래서인지 곡에는 이별의 노래와 같은 아련함이 배어있다.

영화의 줄거리는 이렇다. “여주인공인 카렌 블릭센(미국 여배우 메릴 스트립 분)은 결혼한 지 얼마 안 되어 남편을 따라 고국인 덴마크를 떠나 아프리카의 케냐에 정착해 커피농장을 경영하게 된다. 그런데 남편은 방랑벽이 있어 자신에게 무관심할 뿐만 아니라 성병인 매독까지 전염시켜 놓는다. 그래서 그녀는 모험가 데니스 해튼(미국 배우 로버트 레드포드 분)에게서 위안을 구한다.

데니스는 여러모로 남편과는 대조적인 남자이다. 그는 아프리카의 자연과 사람을 사랑한다. 모차르트의 음악을 즐겨 들으며 경비행기를 타고 광활한 아프리카의 초원을 나르며 인생과 사랑에 대해 얘기할 줄 아는 멋진 남자다. 이런 데니스에게 카렌은 깊이 빠져든다. 남편과 이혼한 후, 카렌은 데니스와의 결혼을 원한다. 그러나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인 데니스는 그런 카렌의 생각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한편, 두 사람의 아프리카 원주민에 대한 인식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카렌에게 있어서의 아프리카 원주민들이란 당시 여느 백인들이 가지고 있던 관념과 유사했다, 즉 문화적으로 미개한 흑인들은 선교사적인 열정을 가지고 가르쳐야 할 ‘교화 대상’이었던 것이다. 다만, 카렌은 그들에게 연민의 정을 가지고 있었기에 호의적으로 대해줄 따름이었다.

반면, 데니스는 아프리카 원주민들에게 문명이 없는 것이 아니라 단지 글로 쓰지 않는 것일 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이런 생각을 카렌에게 주입시키려 노력했다. 아프리카의 문화를 그 자체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이후 원주민들과 오랜 동안 함께 생활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카렌의 생각도 조금씩 변해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들의 행복한 시간은 오래 가지 않았다. 얼마 후 카렌에게는 더 이상 아프리카 땅에 남아있을 이유가 사라져 버리게 되었다. 사랑하는 연인 데니스가 농장으로 돌아오는 도중 비행기 사고를 당해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이상기후로 인해 커피 값이 폭락하면서 소유하고 있던 커피농장을 팔아야만 했다. 이에 카렌은 17년간의 아프리카 생활을 청산하고 고향인 덴마크로 귀향하게 된다.

농장을 떠나던 날, 카렌은 하인들에게 자기를 ‘마님’이 아닌 ‘카렌’으로 불러 달라는 마지막 부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것을 원주민에게 나누어주고서 자신은 조그만 가방 하나만 가진 채 아프리카를 떠난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간 그녀는 17년 동안의 아프리카 생활을 회상하며 글을 정리하였다. 그것이 바로 소설 《아웃 오브 아프리카》이다. 비록 결혼과 농장 경영에서는 실패하지만 평생 소중하게 간직할 수 있는 데니스에 대한 추억과 아프리카에 대한 애정, 그리고 역경을 이겨내는 여성의 모습 등을 그린 이 작품은 바로 그녀의 인생이자 문학이었던 것이다.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슬픔은 당신이 그것을 이야기로 만들거나, 혹은 그것들에 관해 이야기를 할 수 있다면 견딜 수가 있다.(All sorrows can be borne if you can put them into a story or tell a story about them.)”

카렌 블릭센(Karen Blixen, 1885~1963)은 1885년 덴마크의 룽스테드룬(Rungstedlund)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 빌헬름 디네센은 군인이자 정치가였으며 문필가이기도 했다. 어머니 잉게보르 베스텐홀츠는 부유한 상인 가문 출신이었다. 그녀가 10살이 되던 1895년 아버지가 자살을 하면서 어머니는 아이들을 데리고 자신의 친정에서 살게 되었다.

전형적인 청교도적 부르주아 가문인 외가에서의 생활은 어린 카렌에게 경건함과 절제력을 키우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후 그녀 작품의 주된 테마가 되는 신과 인간, 운명과 자유의지, 귀족과 부르주아 등의 대립구도는 어린 시절 가졌던 심적 갈등의 흔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결혼 전 이미 그녀는 덴마크의 몇몇 잡지를 통해 단편을 발표했지만, 젊은 시절의 목표는 화가가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덴마크 왕립 미술원을 비롯 파리와 로마에서 잠시 동안 미술공부를 하기도 했다. 1914년 그녀는 스웨덴 출신의 육촌 브로 폰 피네케와 동아프리카 케냐로 가서 결혼식을 올리고 커피농장을 시작한다. 그러나 케냐에서의 생활은 순탄치가 못했다. 남편과의 이혼, 경제 대공황과 고르지 못한 작황으로 인한 커피농장의 파산, 연인 데니스와의 사별 등을 겪은 뒤 1931년 고향인 덴마크로 돌아온다.

이후 3년간 칩거하며 집필한 첫 작품 《7개의 고딕 이야기(Seven Gothic Tales)》를 1934년 미국 랜덤 하우스 출판사에서 ‘이자크 디네센(Isak Dinesen)’이라는 필명으로 출간하였다. 이 작품이 좋은 반응을 보이면서 그녀는 순식간에 주목받는 작가로 떠올랐다. 이후 1937년 케냐에서의 삶을 바탕으로 쓴 소설 《아웃 오브 아프리카》가 또다시 커다란 성공을 거두게 되자, 그녀는 문학계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게 된다. 당시 그녀의 나이 49세였다.

이후 그녀는 본명인 ‘카렌 블릭센’ 대신 ‘이자크 디네센’이라는 필명으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펼치게 된다. 당시 여성의 사회활동이 자유롭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의 이름으로 책을 내면 행여나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하는 걱정 때문이었다. 그래서 남자 이름인 ‘이자크(Isak)’와 귀족적인 어감을 지닌 처녀 때의 성 ‘디네센(Dinesen)’을 붙여 자신의 필명으로 사용했던 것이다.

한편, 또 다른 그녀의 대표작 《바베트의 만찬》은 1987년 영화로 만들어져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BAFTA 필름 어워드 외국어영화상, 런던 비평가협회 외국어영화상 등을 수상하였다.

이 작품은 음식이 얼어붙은 사람의 마음을 녹이고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마법 같은 이야기를 내용으로 담고 있다. 주인공 바베트는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의 이웃들이 서로 반목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는 사실을 안타깝게 여기면서 어떻게 이들을 화해시킬 수 있을 것인지를 고민한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는 복권당첨으로 큰 돈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몽땅 마을 사람들을 위해 쓰기로 마음먹는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을 만찬에 초대하는 계획을 세운다. 그들에게 평생 잊지 못할 멋진 식사를 대접함으로써 강퍅해진 그들의 마음을 누그러뜨려 보려는 생각에서였다.

마침내 만찬행사가 진행되었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마을 사람들이 음식을 먹는 동안 그들 사이에는 따뜻한 사랑의 온기가 퍼져나갔다. 정성이 담긴 맛있고 풍족한 식사는 굳게 얼어 있던 그들의 마음을 녹아내리게 하고 오랫동안 잊고 있던 사랑과 배려의 감정을 되살려 준다. 서로를 축복하는 말도 건네게 된다.“마치 수많은 작은 후광이 하나로 합쳐져 거룩한 광채를 내기라도 한 듯 천상의 빛이 만찬장소를 가득 메웠다. 말수가 적은 노인들은 말문이 트였고, 수년간 거의 듣지 못했던 귀가 열렸다. 시간은 영원 속으로 녹아들었다.”

1963년 수술 후유증으로 인한 영양실조로 77세의 나이로 사망하기 전까지 그녀는 《일곱 개의 고딕 이야기》, 《겨울 이야기》, 《마지막 이야기》, 《바베트의 만찬》, 《카니발》, 《아웃 오브 아프리카》, 《결혼에 대하여》 등 수많은 작품과 산문집을 남겼다. 또한 정규 작품 활동 외에도 덴마크 내에서 라디오 강연, 평론, 에세이 집필 등의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천부적인 이야기꾼인 그녀의 작품들에 대한 문학성이 인정되어 1954년과 1957년, 두 차례에 걸쳐 노벨상 후보에 올랐다. 비록 상은 헤밍웨이와 카뮈에게 돌아갔지만, 헤밍웨이는 그녀가 상을 탔어야 했다는 수상소감을 남김으로써 디네센의 작품세계에 경의를 표하였다.

이철환 객원 편집위원 mofelee@hanmail.net (전 재정경제부 금융정보분석원장,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가 부통령 후보로 택한 J.D.밴스는 누구?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올해 대선 후보로 공식 지명되면서, 자신과 함께 대선에 출마할 러닝메이트(부통령 후보)로 강경 보수파 J.D. 밴스 연방 상원의원(오하이오)을 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표 이후 공화당은 전대에서 구두 투표로 밴스 상원의원을 부통령 후보로 공식 선출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부통령 러닝 메이트로 지명된 J.D. 밴스 상원의원. [사진=로이터 뉴스핌] 그가 공식 선출되자 행사장 안에는 "J.D." 연호가 계속 터져 나왔다. 이때 밴스 의원의 눈시울이 붉어지기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오랜 숙고와 생각"을 거쳐 "가장 부통령직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인물은 오하이오주 상원의원 밴스라고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밴스가 "해병대에서 나라를 위해 명예롭게 복무했고, 2년 만에 오하이오 주립대를 최우등생으로 졸업했으며, 예일 로스쿨을 졸업했고, 예일 법학 저널의 편집자와 예일 법률 재향군인 협회장을 지냈다"면서 영화로도 만들어진 그의 베스트셀러 저서 '힐빌리의 노래'(Hillbilly Elegy), 기술과 금융 분야에서의 사업 성공 등 그의 이력을 간단히 소개했다. ◆ 러스트벨트 출신 불우한 가정환경의 '흙수저' 밴스는 1984년 8월 2일생으로 올해 나이 39세다. 1952년 이래 최연소 부통령 후보 자리에 오른 것이다. 그는 '러스트 벨트'(rust belt) 지역인 오하이오주 남서부의 작은 도시 미들타운에서 태어났다. 러스트 벨트는 오하이오,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시건, 미주리, 뉴욕, 펜실베이니아, 웨스트 버지니아, 위스콘신 등 미 북동부 5대호 주변의 공장지대로, 한때 미국 제조업의 호황을 누리던 중심지였으나 1970년대 이후 제조업 쇠퇴로 인구가 줄고 범죄율이 치솟아 쇠락한 지역을 일컫는다. 아버지 도널드 보우먼과 어머니 베벌리 밴스는 그가 막 걸음마를 떼기 시작한 아기 때 이혼했고 이후 어머니 밴스의 세 번째 남편에게 입양돼 키워졌다. 그의 어린 시절은 굶주림과 가정학대에 노출된 나날이었다. 어머니는 약물 중독자여서 밴스와 그보다 다섯 살 많은 이부누나 린지는 주로 외조부에게서 키워졌다. 어린 시절 밴스의 이름은 제임스 하멜. 하멜은 의붓아버지 성씨였는데 외조부모 밑에서 자라면서 성씨를 밴스로 개명했다. 미들타운 공립 고등학교에 진학했고 이후 해병대에 입대해 군대 기자 특파원 자격으로 이라크에 파병되기도 했다. 그는 2009년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정치학과 철학 전공으로 최우등 성적으로 졸업했다. 대학생 때 그는 오하이오주 공화당 상원의원 밥 슐러 사무실에서 인턴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예일대 로스쿨에 진학한 밴스는 예일 법학 저널 편집장을 지냈고 2013년에 졸업했다. 밴스의 인생 이야기를 들은 한 교수가 회고록을 내는 것이 어떠냐고 추천했는데, 이는 추후 밴스 인생에 터닝포인트가 됐다. ◆ 베스트셀러 자서전 '힐빌리의 노래', 정계 진출의 발판 되다 글로벌 로펌 시들리 오스틴서 근무했다가 실리콘밸리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거주지를 옮겨 IT업계에서 벤처 캐피털리스트 등으로 활동, '개천의 용' '아메리칸 드림'을 이뤘다. 2016년 밴스는 '힐빌리의 노래: 위기의 가족과 문화에 대한 회고록'이란 책을 펴냈다. 여기서 힐빌리(Hillbilly)는 미 동부 북동에서 남서로 뻗은 산맥인 애팔래치아 산맥에 사는 가난한 백인 노동자를 뜻하고, 노래(Elegy)는 정확하게는 비가(悲歌)를 의미한다. 쇠락한 러스트벨트에서 자란 그의 불우한 환경을 있는 그대로 집필했고 자기 경험을 토대로 이 지역의 처참한 상황과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2016년 출간된 J.D. 밴스의 책 '힐 빌리 노래' [사진=아마존 캡처] 이 책은 2016, 2017년 2년 연속 뉴욕타임스(NYT) 베스트셀러, 2017년 데이튼 문학 평화상 최종 후보 작품에 오르는 등 대히트를 쳤다. 이 책이 출간됐을 당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러스트벨트의 백인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지지 돌풍을 일으켰을 때인데 NYT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권을 거머쥔 정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선정했고, 워싱턴포스트(WP)는 "러스트벨트를 대표하는 목소리"라고 평하기도 했다. 작가로서 유명세를 얻은 밴스는 2016년부터 공화당원으로 활동하기 시작, 그해 고향 오하이오주로 복귀했다. 잠시 그곳에서 비영리 단체를 설립해 운영하다가 2017년 1월 CNN 기고자로 활동했으며 그해 4월 '힐빌리의 노래' 영화 제작 계약을 체결해 2020년 넷플릭스에 방영되기도 했다. 2019년 오하이오주 남서부 신시내티에 나르야 캐피털이란 금융 기업을 공동 창업해 그다음 해에 9300만 달러의 수익을 내기도 한 성공한 사업가다. ◆ 정계 입성 1년도 안 된 '햇병아리'...단숨에 부통령 후보로 밴스는 초선 의원이다. 그가 정계에 입문한 것은 1년도 채 안 된다. 그의 초고속 승진 배경에는 트럼프 '안티'에서 열렬한 트럼프 신봉자로 태세 전환한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2016년 유명한 저자가 된 밴스는 자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투표하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그를 '미국의 히틀러' '도덕적 재앙' '바보' '부끄러운 사람'이라고 폄하할 정도로 트럼프 혐오자였다.그가 당시 트럼프를 혐오한 이유는 '힐빌리 노래'에서 알 수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러스트벨트의 상황을 자신의 정치적 이득을 위해 활용해 이 지역을 근본적으로 발전시킬 생각이라기보단 해롭고 헛된 희망만 심어주고 있다고 본 것이다.그러다 그의 태도는 180도 바뀌었다. 2020년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 재선을 공개 지지했고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 이후에는 부정선거 음모론을 지지했다. 2022년 11월 연설하는 J.D. 밴스를 바라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1년 1월 당시 오하이오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이었던 롭 포트먼 의원이 정계 은퇴를 선언했고 그해 2월 밴스는 출마 선언을 했다. 그해 7월 밴스는 플로리다주에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마러라고 별장까지 찾아가 자신의 2016년 행적을 공식으로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다.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다음 해인 2022년 4월 밴스 후보를 지지했으며, 이로써 공천을 받는 데 성공한다. 그해 11월 본선에서 연방 하원출신인 민주당 후보 팀 라이언에 맞서 과반 득표율로 승리, 연방 상원의원으로 당선됐고 지난해 1월 3일부터 연방 상원의원에 재직 중이다. ◆ 트럼프가 그를 택한 이유...경합주·고령 리스크 승부수트럼프 전 대통령이 밴스를 집권 2기 파트너로 고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우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 슬로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MAGA)는 미국 제조업의 상징인 러스트 벨트의 과거 영광 되찾기가 기반이다.밴스는 러스트벨트에서 자수성가한 '아메리칸 드림'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여기에 러스트벨트 지역인 위스콘신, 미시건, 펜실베이니아는 올해 대선 경합주로 꼽힌다.밴스는 30대로 매우 젊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59)보다도 20살이나 어리다. 현재 조 바이든(81) 대통령이 고령 리스크로 후보직 사퇴 압박을 받는 가운데 해리스 부통령이 대안 후보로 부상 중이다.이는 경쟁자 바이든 대통령과 더불어 자신도 피할 수 없는 '고령 리스크'를 정면 돌파하기 위한 승부수로 해석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나이는 78세다. 밴스를 젊은 버전의 트럼프로 앞세워 공화당 지지층이 약한 밀레니얼(M)과 Z세대의 표심도 잡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2022년 4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악수하는 J.D. 밴스. [사진=로이터 뉴스핌[ wonjc6@newspim.com     2024-07-16 10:46
사진
[여론조사] '문자 읽씹' 논란에도 '어대한' 기류…국힘 지지층 63.4% 한동훈 지지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국민의힘 차기 당권주자 여론조사 결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8.2%로 1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지지층으로 한정지으면 63.4%까지 오르는 등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기류를 이어가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뉴스통신사 뉴스핌의 의뢰로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적합도를 물은 결과 한 전 위원장은 38.2%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 조사 대비 2.4%포인트(p) 오른 수치다. 원희룡 전 장관은 10.1%→11.7%로 2위에 올랐다. 뒤이어 나경원 의원(11.0%→8.9%), 윤상현 의원(6.7%→7.2%) 순이다. 없음은 24.9%→28.7%, 잘모름은 3.3%→5.5%다. 연령대별로 보면 한 전 위원장이 만18세~29세(34.7%), 30대(28.3%), 40대(37.6%), 50대(32.7%), 60대(47.7%), 70대 이상(48.8%) 등 전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34.9%), 경기/인천(40.3%), 대전/충청/세종(38.9%), 강원/제주(39.7%), 부산/울산/경남(39.9%), 대구/경북(45.8%), 광주/전남/전북(26.0%) 등 모든 지역에서 한 전 위원장이 우세하다. 국민의힘 지지층으로 범위를 좁히면 한 전 위원장의 지지율은 63.4%까지 올랐다. 뒤이어 원 전 장관 15.5%, 나 의원 10.7%, 윤 의원 2.2% 순이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1월 한 전 위원장에게 보낸 사과 문자에 대해 한 전 위원장이 문자를 '읽씹(읽고 씹음)'했다는 논란이 일자 원 전 장관과 나 의원 등이 일제히 이 문제를 계기로 총공세에 나섰다"며 "한 전 위원장의 지지율은 지난 조사 대비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소폭 하락했으나 전체 국민 여론조사에서는 소폭 상승해 '어대한'지형이 계속 이어져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3.0%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llpass@newspim.com 2024-07-11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