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뮤지컬 배우 차지연, 김재범이 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신사동 광림아트센터 BBCH홀에서 열린 뮤지컬 '서편제' 프레스콜에서 열연을 펼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
[뉴스핌=양진영 기자] 뮤지컬 '서편제'가 벗어날 수 없는 굴레를 한으로 승화시키는, 한국인들의 정서를 제대로 자극한다. 우리 모두는 극단적인 송화의 운명 속에서 발버둥치는 스스로를 보고 느끼고 눈물을 터뜨린다.
김문정 음악 수퍼바이저, 윤일상 작곡가 등 내로라하는 제작진들과 이자람, 차지연, 이정열, 서범석, 강필석, 박영수, 김범석 등 최고의 배우들로 이미 명성이 자자한 '서편제'. 실제로 만나본 무대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감정을 쏟아내며 객석의 진을 다 빼놓았다. 단순한 감동이나 공감을 넘어, 우리의 삶을 살아내며 쌓인 해묵은 감정들이 이유없이 터져나오는 눈물에 섞여 구석구석 씻겨 내려가는 듯 했다.
◆ '서편제' 송화와 동호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차지연의 '소리'
세월의 풍파를 겪으며 늙어버린 채로 동호(강필석)와 송화(차지연)가 다시 만난다. 이 장면은 마지막에도 반복되며 객석의 이해를 돕고 여운에 깊이를 더한다. 눈이 멀어버린 송화 앞에서 북을 치는 동호. 마치 소리를 놀이로 즐기던 어린 시절로 돌아간 듯 하다. 매 회 객석을 눈물바다로 만드는 '서편제'의 힘은 아역부터 성인 송화와 동호, 늙어서 다시 만난 둘의 긴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어머니를 잃은 동호에게 '살다보면, 살아진단다'고 노래하는 어린 송화 역의 아역과 차지연의 호흡은 극 초반일 뿐인데도 관객들의 울컥한 감정을 건드린다. 노래 가사 자체에도 현실에 지친 모두에게 와닿는 넓은 의미의 위로가 담겨 있다. 아역과 차지연의 담백한 목소리로 시작된 노래는 클라이막스에서 시원하게 터뜨리는 고음과 감정으로 마음을 뻥 뚫어주는 듯 하다.
차지연의 열연은 매순간 관객의 마음을 송두리째 흔든다. 특히 유봉이 송화의 눈을 멀게 하고, 찢어질 듯 울부짖는 순간에는 그 절망감이 객석으로 고스란히 전해졌다. 그는 모두에게 당장이라도 뛰쳐나가고 싶을 정도로 고통스러운 감정을 전달하는 데 성공했고, 송화의 기구한 운명과 현실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극 후반에는 송화가 무대에서 걷기만 해도 객석에선 눈물이 멎지 않을 지경이었다.
![]() |
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신사동 광림아트센터 BBCH홀에서 열린 뮤지컬 '서편제' 프레스콜에서 출연배우들이 열연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
강필석이 연기한 동호는 '서편제'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겪는 인물이다. 어머니의 죽음과 절망, 누이인 송화를 아끼고 사랑하는 감정, 유봉과 갈등을 겪어내면서도 힘 있게 중심을 잡으며 무리 없이 동호 역을 연기해냈다. 뮤지컬 '서편제'에서 이렇게나 많은 서양음악(?)이 나올거라 기대한 관객은 많지 않을 듯 하나 송화와 동호의 대비되는 인생을 보여주기엔 효과적이었다. 갑작스레 유봉의 죽음을 맞는 신은 한참을 보고 있어도 무슨 장면인지 알 수 없었지만, '서편제'는 판소리극이 아닌 판소리를 소재로 하는 뮤지컬로서 배치와 구성이 잘 이루어진 편이었다.
◆ 형언할 수 없는 감정과 이유없이 터지는 눈물, '서편제'와 유봉의 교훈
극 초반 어린 동호와 동호 어머니의 사연과 넘버부터 객석은 눈물바다가 된다. 자유를 갈망했지만 자식 때문에 묶여버린 어머니의 운명. '서편제'에서 스스로 강력한 의지를 갖고 실천하는 사람은 송화와 동호 어머니가 아니라 송화 아버지 유봉(서범석)과 동호다. 양 측의 대비되는 운명이 어쩌면 여전히 씁쓸한 현실을 곱씹게 한다.
'서편제'의 원작자 故이창준은 별 거부감 없이 현실을 담아냈으나 현재의 관객들은 서편제를 보며 알 수 없는 거부감을 느낀다. 유봉은 불멸의 의지를 가졌고, 송화를 통해 소리의 완성이라는 꿈을 이루려 하지만 그 과정은 한없이 일방적이고 이기적이다. 송화, 동호의 의견과 진심, 고통은 중요하지 않다. 극 중 유봉은 상대의 마음이 어떠할지 전혀 고려하지 않는 인물로 보인다. 자식에게 맹목적으로 원하는 것을 강요하는 전형적인 한국적 어른의 이미지가 오버랩된다.
![]() |
뮤지컬 배우 이정열이 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신사동 광림아트센터 BBCH홀에서 열린 뮤지컬 '서편제' 프레스콜에서 열연을 펼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
심지어 유봉은 소리에 집중하지 못하는 송화의 두 눈을 일부러 멀게 한 비정한 아버지다. 서열 권력을 가진 이의 맹목적인 가치 추구가 주변인을 얼마나 고통으로 몰아넣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개인의 행복보다 더 큰 어떤 가치가 있다 한들, 누군가를 물리적으로, 정신적으로 희생시킬 명분은 어디에도 없다. 소리의 완성을 이루었다 해도, 결국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모든 것을 잃은 송화의 삶이 과연 행복했을까. 송화가 부르짖는 '살다보면, 살아진단다'는 메시지는 교훈일 수 없다. 그저 체념하고 포기한 채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삶을 살아낸 대가로 소리를 얻은 것 뿐이다.
두 눈이 멀고, 의탁할 곳도 없이 정처없이 떠돌며 소리의 완성을 이룬 송화. 명창의 자리에 올랐으나, 그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마지막에 온 몸을 다해 토해내는 심청가에서 절로 느껴지는 한스러움에 관객들은 속수무책으로 눈물이 터진다. 누구도 송화만큼은 아니지만 때로는 끔찍한 운명을 끌어안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유봉과 달리 우리는 송화에게 공감할 수 있고, 조금 더 나아진 현실을 꿈꿀 수 있다는 것이 '서편제'의 교훈이 아닐까. 오는 11월 5일까지 광림아트센터 BBCH홀에서 공연된다.
[뉴스핌 Newspim] 양진영 기자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