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및 6대 광역시에 1500여개 측정기 설치
사물인터넷·빅데이터 활용, 미세먼지 저감 유도
정부 대신 나서 인프라 구축, 정책 지원 ‘시급’
[뉴스핌=정광연 기자] KT(회장 황창규)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계획을 공개했다. ‘국민기업’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한 공익사업이지만 정작 정부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KT는 20일 서울 광화문KT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ICT 인프라 개방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민들이 미세먼지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지원하는 ‘에어 맵 코리아(Air Map Korea)’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 건강 위협이 사회적인 문제로 떠올랐지만, 현재 전국에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관측소는 300여개에 불과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을 내세울만큼 중대한 사안이지만 이를 해결한 인프라 자체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KT는 100억원을 투자,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공기질 측정망을 구축하고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는 내년 1분기에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거점에 1500개에 달하는 측정기를 설치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해 정부에 제공할 방침이다.
KT는 ICT 인프라 개방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민들이 미세먼지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지원하는 ‘에어 맵 코리아(Air Map Korea)’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프로젝트를 설명하는 김형욱 플랫폼사업기획실장. <사진=정광연 기자> |
김형욱 플랫폼사업기획실장(전무)는 “통신주, 기지국 등 KT가 보유한 500여만개 ICT 인프라 중 빅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장소 1500여곳을 선정,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한다는 방침”이라며 “OECD 국가 중 최악이라는 국내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국민 기업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KT는 개방형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구축, 운영하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 지원 등도 추진한다.
IoT 플랫폼에 축적된 데이터는 정부에 우선 제공하며 국가 측정망에서 수집한 공기질 데이터의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 요청을 있을 경우에는 일반 국민에게도 공개, 누구나 공기질 측정기나 관련 플랫폼을 KT의 플랫폼과 연동할 수 있도록 개방할 계획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KT의 통화량 기반의 유동인구 정보(성별, 연령, 시간대 등)와 공공·민간기관의 정보(기상, 유해시설 위치 등)와 결합해 미세먼지의 발생원인, 확산예측 등에 활용된다. 지자체의 살수청소차 운행, 천연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 활용 중인 이끼 설치장소 선정, 미세먼지 확산 예측 알림 등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 대책 마련이라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KT가 발 벗고 나선 모습이지만, 실효성 있는 결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무엇보다 미세먼지 대책 마련에 적극적이어야 할 정부가 미온적인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사기업이 KT 우선적으로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정부 협의 및 관련 정책수립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서 KT가 ICT 기술을 활용, 미세먼지 빅데이터를 수집해도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눈에 띄지 않는다. 정부가 미세먼지에 대해 너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 실장은 “미세먼지에 대한 정부 입장이나 방침을 KT가 거론하는 건 무리가 있다”며 “정부와 충분한 협의를 하고 있다. 일단 KT가 먼저 나서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면 정부가 지자체가 이를 활용해 충분한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세먼지 피해 방지의 ‘마중물’을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