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돈 크레머가 쓴 편지 등이 담긴 ‘젊은 예술가에게’ 표지. 사진= PHONO. |
[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 “나 역시 젊은 시절에는 야망에 끌려다녔답니다. 청중이 넘쳐나고 스타의 명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페스티벌에 참가하는 것을 오랫동안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난 아무 생각 없이 ‘사교계’에 도취되었고, 가능한 한 많은 ‘유명인사들’을 모아 최소한의 짧은 리허설을 거친 뒤에 함께 무대에 세우는 기획자의 야망을 따라갔습니다. 이런 식의 페스티벌은 음악이 아닌, 공허함의 놀이마당입니다”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Gidon Kremer)가 미래의 예술가들에게 던진 조언은 자못 신랄하다. 그러나 진심과 통찰이 담겨 있어 귀를 기울이게 된다.
기돈 크레머가 후배 음악인들에게 쓴 편지와 글을 모은 ‘젊은 예술가에게’라는 책이 국내에서 번역 출간(홍은정 이석호 옮김, PHONO 펴냄)됐다. 이 책은 훌륭한 연주자를 꿈꾸는 이들에게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가 들려주는 생생하고도 사려깊은 조언들로 가득차 있다. 게다가 장르를 떠나, 예술가를 지망하는 모든 젊은이들이 새겨들을 만한 내용이어서 주목된다.
‘발트 3국’ 중 하나인 라트비아 출신의 기돈 크레머(1947~)는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네 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켜기 시작했다. 조부와 부친 모두 알아주는 바이올리니스트였다. 그는 차이콥스키 콩쿠르, 파가니니 콩쿠르 등 유수의 콩쿠를 휩쓸었고,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했다. 지난해에는 영국의 음악전문지 ‘BBC 뮤직 매거진’이 100명의 현역 바이올리니스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살아 있는 가장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 1위로 꼽히기도 했다.
‘천재’ 소리를 밥 먹듯 듣고, 정상의 자리를 독점하다시피 했기 때문일까. 정작 이 거장은 타이틀이나 왕관에 그닥 연연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같은 수식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연주자라면 ‘음악’ 자체에 집중하고 헌신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성공할까, 어떻게 해야 더 많은 인기를 얻을까 고민하는 것 보다, 연주자로서 자신이 연주하는 음악과 그 작곡가에 대해 더욱 깊이 파고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돈 크레머는 예술가이면서도 정치나 사회 현안에 대해 소신껏 의견을 밝혀온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그의 조국이 소련에 속해 있던 시절 받았던 영향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는 “내가 만약 소련과 같은 희한한 나라에서 성장하지 않았더라면, 아마 타인의 의견에 덜 민감하게 반응했을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이에 그는 스스로를 끊임없이 돌아보며 살았고, 그 결과 대단한 이력에도 불구하고 ‘겸손’이라는 미덕을 지니게 됐다.
그의 책 ‘젊은 예술가에게’는 이 정상의 연주자가 예술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피력한 책이다. 책은 크게 네 부문으로 이뤄졌다. 1부는 가상의 젊은 피아니스트 아우렐리아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글로 구성됐다. 2부 ‘악몽 교향곡’은 온갖 폐해들로 이뤄진 오케스트라(일명 ‘무능력자 연합 오케스트라’)를 통해 현대 음악계의 문제점을 꼬집은 글이고, 3부 ‘연주자의 십계명’은 미래 연주자들에게 전하는 당부를 성경의 십계명에 빗대 서술한 파트다. 마지막 4부 ‘루트비히를 찾아서’는 크레머가 프랑스 클래식음악 전문잡지 ‘디아파종(Diapason)’의 의뢰로 세계적인 지휘자와 바이올리니스트가 협연한 열 장의 베토벤 바이올린협주곡 음반을 비교 청취한 뒤, 최고의 연주를 꼽은 글이다.
이 중 1부는 피아니스트에게 쓴 편지이지만 ‘예술’의 본질을 묻고 있어 모든 예술가들이 읽어봄직한 글이다. 열 통의 편지에 크레머는 오랜 경험에서 우러난 조언을 담았는데, ‘상업주의에 물드는 예술’을 경계할 것을 가장 강조했다. 이제 막 데뷔한 예술가들은 큰 수익을 안겨주는 계약, 빈번한 무대 출연 같은 수치화된 성공과 출세에 연연하기 마련이나 그런 것에 집착하다 보면 예술가로서 지녀야 할 영혼을 잃을 것이라고 충고하고 있다.
기돈 크레머는 훌륭한 예술가의 첫째 조건으로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것을 꼽았다. 잘 나가는 대가를 본받는 것은 좋지만, 그들과 똑같아지는 것은 위험하다고 조언했다. 진정한 예술가라면 자기 안에서 독창적인 개성을 끄집어내야 한다는 것.
그의 글에는 사진가 카르티에 브레송, 로버트 메이플소프를 비롯해 재즈음악가 마일스 데이비스, 탱고뮤지션 아스토르 피아졸라, 소설가 오스카 와일드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등장한다. 동료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를 비롯해 자신이 진정 위대한 음악가라 여기는 ‘진짜’들, 유능하지만 위태롭고 안타깝게 바라보는 ‘젊은이’들을 실명으로 언급한 대목도 흥미롭다.
이어 세계적 콩쿠르에서 자신의 목소리 없는 연주자들이 수상하고 있는 현실도 따갑게 지적했다. 자신이 꼽은 실력있는 연주자들이 늘 수상권을 벗어나 ‘4위’에 오르고 있며 이들에게 ‘크레머 상’을 주고 싶다는 말도 전한다. 크레머가 꼽은 연주자 중 한국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강주미, 1987-)의 이름도 눈에 띈다.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사진=gidonkremer.net |
3부 ‘연주자의 십계명’에서 저자의 육성은 단호해진다. 연주자에게 있어 신은 곧 ‘음악’이어야 하며 콩쿠르 수상, 훈장, 국내외의 상, 상금으로 대표되는 우상을 섬겨선 안 된다고 강조한다. 또 음악을 연주할 때는 작곡한 이의 심중을 충분히 읽어내 작품을 죽이는 일이 없어야 하고(‘살인하지 말라’), 다른 누구를 모방하기 보다는 자기만의 길을 찾아낼 것(‘도둑질하지 말라’) 등을 조언하고 있다.
베토벤의 바이올린협주곡을 연주한 최고의 음반을 찾아내는 과정을 기술한 4부의 글에는 기돈 크레머의 예술 철학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저자는 파트너십, 템포, 슬라이드, 페르마타, 카덴차, 내용, 개성 등을 심사기준 삼아 꼼꼼하게 청취한 끝에 뜻밖의 음반을 최고로 꼽았다.
마지막으로 기돈 크레머는 “음악과 책, 영화, 일인극 등 장르를 막론한 예술이 지향해야 할 바는 대중성이 아니라, 때로는 모든 규칙을 깨부수고서라도 우리를 심원한 감정과 새로운 발견으로 이끄는 그 무엇이다”라고 강조했다. 평생을 클래식 음악에 헌신해온 거장은 이렇듯 예술의 핵심을 명쾌하게 찌르며 우리를 일깨우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이영란 편집위원 art2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