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현경 기자] 영화가 극장이 아닌, 전시장을 통해 관객과 만났다. 전시장으로 들어온 영화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작가의 세계관을 담고, 역사를 전하고, 우리의 이야기로 가득 채우며 관람객과 공감하고 있다. 관람객에게 한 발 성큼 다가온 영화 전시를 소개한다.
◆임흥순, 우리가 몰랐던 역사의 순간을 전시장으로
영화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 스틸컷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임흥순 작가는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세상에 전하는 일에 관심이 많다. 그는 이 영향이 노동자였던 부모님 아래서 자라면서 노동 현장의 현실, 빈민층의 삶을 자연스럽게 접했다. 그 자신에게도 부모님의 겪은 정서가 고스란히 남아있다. 이와 같은 이야기를 흥미롭게 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미술을 매개체로 삼았다.
그중에서도 미술관, 현장, 일상 공간, 세 곳을 오가며 작업할 수 있는 영화 작업에 신경을 쏟았다. 그의 철학과 만난 전쟁을 겪은 네 할머니의 이야기를 담은 ‘임흥순 전’은 마치 영화의 기획과 만든 과정, 결과물을 모두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전시와 차별점이 있다.
임흥순 작가는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MMCA 현대차 시리즈 임흥순 전: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믿음, 신념, 사랑, 배신, 증오, 공포, 유령’(이하 ‘임흥순 전’)으로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그는 각기 다른 전쟁을 겪은 네 할머니들의 사연과 우리가 몰랐던 역사적인 순간을 기록했다.
일제 강점기에 태어났고, 중국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뒷바라지 일을 도맡았던 정정화(1900~1991) 할머니, 제주 4,3사건으로 가족을 잃고 한라산으로 피신했다가 목포, 서울을 거쳐 일본으로 넘어간 김동일 할머니, 한국전쟁이 발발해 빨치산으로 피난을 갔다가 광주에 정착한 고계연(1932~) 할머니, 유년기에는 한국전쟁을 겪었고, 20대에는 베트남 전쟁, 이란에 정착하면서 이라크 전쟁을 겪은 이정숙(1944~)할머니의 사연이 녹아있다.
'임흥순 전' 5전시실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전시장을 들어서기 전 5전시실 외벽에는 시나리오 그래프를 볼 수 있다. 이는 영화의 기초 시나리오로 볼 수 있다. 할머니들의 개인사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한 공적역사, 자연 환경의 징후를 연표로 구성해 한국사회의 이야기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의 신작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에서 세 할머니의 사연을 자세히 들을 수 있다. 3채널로 상영이 되는 이 작품에서 세 할머니(정정화, 김동일, 고계연)의 삶을 다양한 인터뷰와 연기자들의 연기로 재탄생했다. 정정화 할머니의 손녀와 남북한 출신 여성들이 할머니들의 삶을 재연 해 현재와 과거가 만나는 지점을 만들어냈다. 영화 ‘환생’에는 베트남 전쟁 때 무희로 건너가 현재 이란 테헤란에서 살고 있는 이정숙 할머니의 이야기로 베트남 전쟁과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고통받는 여성들의 슬픔을 애도하고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임흥순 전’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할머니들의 유품을 전시한 공간이다. 할머니들의 옷이 놓인 곳은 마치 영화 현장의 의상실을 떠올리게 한다. 고계연 할머니의 낚시소품, 이정숙 할머니의 자수, 정정화 할머니의 돋보기와 책, 김동일 할머니의 뜨개 소품이 놓인 5-3 전시실은 소품실을 연상시킨다.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한 자리에서 소개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 전시 <사진=이현경 기자> |
30년 동안 전 세계의 애니메이션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일본의 스튜디오 지브리가 한국에 상륙했다. 1985년 설립된 스튜디오 지브리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을 중심으로 꾸려졌다. 대표작으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천공의 성 라퓨타’ ‘이웃집 토토로’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 ‘모노노케 히메’ ‘벼랑 위의 포뇨’ 등 자연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상상의 나래가 펼쳐진 세계를 흥미롭게 그려내 오랫동안 두터운 팬층을 갖고 있다.
지난해 12월5일부터 서울 세종미술관에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 - 나우시카에서 마니까지’가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역사와 대표 캐릭터, 만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모두 담고 있다. 그야말로 30년의 스튜디오 지브리의 역사를 응축해놓은 전시다. 스튜디오 지브리의 아오키 다카유키 프로듀서는 이번 전시에 대해 “일본에서 흥행적인 성공을 해왔지만 어떻게 영화를 만들어왔는지에 대한 부분은 제대로 다룬적이 없었다”면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만화 속에서만 보던 오브제들은 전시장에 들어와 판타지가 현실이 되는 황홀함을 선사한다. 토토로, 하늘을 나는 기계들, 천공의 성 라퓨타가 펼쳐진다. 큰 소리를 내며 비행하는 오브제들을 보며 추억을 하나씩 꺼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아오키 다카유키는 “이곳에 온 것만으로도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튜디오 지브리 전시를 홍보하는 루엔스씨엔에이 박재경 이사는 ‘영화가 전시로 어떻게 표현되는가’에 집중하길 바랐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다양한 문화 이벤트가 일어나길 희망했다. 박재경 이사는 “스튜디오 지브리는 영화에서 전시, 이벤트, 페스티벌 등 다른 미디어로 이동하는 걸 느끼고 있다. 이런 점은 우리나라의 문화계에서 많이 배웠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의 거장 요나스 메카스
요나스 메카스 전시 전경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백남준, 앤디 워홀의 영향을 준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의 거장 요나스 메카스의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전시가 열렸다. 지난해 11월부터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관람객과 만나고 있는 ‘요나스 메카스:찰나, 힐긋, 돌아보다’이다. 전시 제목에서 ‘찰나’와 ‘힐긋’ 그리고 ‘돌아보다’에서 살펴보듯 ‘시간’과 ‘보다’의 의미를 집중해 전시를 보면 좋다.
요나스 메카스는 필름다이어리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그만의 특별한 영화 작업 방식이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대게 영화의 촬영방식은 1초에 24프레임으로 만들어지지만, 요나스 메카스는 1초에 3, 4개 프레임으로 촬영해 마치 이미지가 바람처럼 지나가는 것 같은 효과를 낸다. 그가 생각하길 이미지는 실재이며 그 자체가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이미지는 공부하고 탐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그는 말한다. 이 생각은 변치 않았고, 디지털 시대가 오자 그는 디지털 매체를 연구해 비디오 다이어리 작업을 하며 실시간으로 유저들과 공유할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365 프로젝트’에서 요나스 메카스가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매일 한편의 비디오 다이어리를 재구성한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한순간에 모든 기억들이 돌아오다’에는 꽃, 일몰, 길 잃은 개와 같은 평범한 이미지와 작가 그리고 친구인 바바라 루빈을 비롯하여 고조 요시마스, 살바도르 달리 등의 초상 이미지가 담겨있다. 관람객은 32개의 유리 패널 속 768개의 프레임을 통해 영화감독 요나스 메카스의 인생과 60년에 걸친 긴 작품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요나스 메카스의 폭력에 대한 반응도 작품을 통해 알아갈 수 있다. 리투아니아 출신인 그는 2차세계대전을 겪었고 1944년 나치에 의해 강제노동수용소에 수감됐으나 탈출해 1949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미국에서는 이주민이었기 때문에 부당한 대우를 받은 적도 많았다.
요나스 메카스 전시 전경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그의 굴곡진 삶이 그의 작품 속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관람객과 가장 먼저 마주하는 작품은 ‘영창’이다. 이 작품은 그가 1964년 16mm카메라로 촬영한 두 번째 장편영화로 그해 베니스영화제 다큐멘터리 부문에서도 수상했다. 1957년 일본의 후지캠프에 있는 미해군 영창 생활의 폭력적인 부분을 묘사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강제노동수용소에 감금되었던 메카스 형제의 삶이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한다. 나치에 의해 자행된 폭력은 적국이었던 미국 안에서도 자행된다는 걸 보여주고 있다 .
그러면서도 요나스 메카스는 예술과 관련한 운동을 꾸준히 해왔다. 1955년에 ‘필름 컬처 매거진’ 창간, 1962년 필름메이커 협동조합 결성하고 1964년 ‘힐름메이커스 시네마테크’를 ‘뉴 아메리칸 시네마 그룹’ 운동의 촉매 역할을 했다. 이러한 활동을 이어올 수 있었던 건 영화에 대한 그의 애착이 컸기 때문이다. 그는 영화는 현실에 대한 반응이며 현실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여겼다. 그는 예술 활동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굳게 믿었고, 그 인생도 행복하다고 믿었다. 이는 관람객에게도 전달될 수 있도록 전시는 구성되어 있다.
‘요나스 메카스:찰나, 힐긋, 돌아보다’의 큐레이터 프란체스코 우르바노는 요나스 메카스의 전시에 대해 “영원한 아방가르드, 그의 혼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며 “아티스트이자 시인인 그가 1960~1970년대에는 영화의 언어에 대한 혁신을 일으켯고 현재는 인터넷까지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현재를 이해하는 것에 넘어서서 미래까지 이해하는 사람이란 걸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현경 기자(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