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문 대통령-김 위원장 첫 만남에 관심 집중
金, 군사분계선 넘어오면 문 대통령 기다려 맞을 듯
냉전 상징 군사분계선서 손맞잡는 역사적 장면 기대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불과 9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어떤 방식으로 첫 만남을 가질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오는 27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은 냉전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열릴 뿐 아니라 북한 최고지도자가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측 땅을 밟게 돼 두 정상의 첫 대면이 갖는 상징성이 매우 크다.
우선 김 위원장이 어떤 방식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남측 지역으로 들어설지가 관심사다. 지난 두번의 정상회담은 모두 우리 대통령이 북한으로 이동해 회담했다.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판문점 평화의집.<사진=뉴시스> |
2000년 정상회담 당시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은 서해 직항로를 통해 평양으로 이동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7년 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경의선 육로를 통해 이동하다 임의적으로 노란 선을 그은 군사분계선을 30m 앞두고 차량에서 내려 권양숙 여사와 함께 이를 넘었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이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는 사진은 상당한 화제가 됐다.
김 위원장 역시 북한 지도자로서 최초의 남측 지역 방문이라는 상징성을 고려해 군사분계선을 가운데에 놓고 지어진 군사정전위원회 회담장 건물 사이로 걸어 내려올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이 경우 문 대통령이 우리측 군사분계선에서 김 위원장을 맞이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남북의 정상이 70여년 동안 남북을 가른 군사분계선 앞에서 손을 맞잡는 역사적인 순간이 탄생하는 것이다.
물론 북한이 최고 지도자인 김 위원장의 경호를 무엇보다 우선한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은 회담 장소인 평화의집까지 차량을 타고 이동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군사분계선 앞에서 남북 정상이 손을 맞잡는 그림보다 다소 감동이 덜한 문제는 있다.
지난달 27일 한미 국방장관이 경기도 파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대북 메시지를 발표한 가운데 북한 병사들이 남측을 바라보고 있다.<사진=뉴시스> |
◆ 역대 남북 정상들의 첫 만남…감동적인 연출 통해 상징성 높여
역대 정상회담에서도 남북 정상들의 첫 만남은 감동 그 자체였다. 지난 2000년 남북의 첫 정상회담 당시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김대중 전 대통령이 탄 특별기가 도착하는 평양 순안공항으로 영접을 나왔다.
고령인 김 전 대통령에 대한 예우라는 명분이었지만, 김 전 대통령과 김 전 대통령이 공항에서 손을 맞잡는 모습은 분단 55년 만의 첫 남북 정상 간 만남이라는 의미를 부각시키기 충분했다. 더욱이 김 위원장은 김 전 대통령의 차량에 올라타 백화원 영빈관까지 함께 이동하는 등 극진한 대접의 모습을 보였다.
노 전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한 2007년에는 김 위원장이 평양 모란봉 구역 4.25 문화회관 광장에 나와 두 손을 맞잡는 장면을 연출했다. 북한 주민들의 대대적인 환영 속에서 손을 잡은 노 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모습을 세계 언론들이 주목했다.
지난 두 번의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의 첫 만남은 모두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의 하나의 상징으로 연출됐다. 오는 27일 열리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 역시 이같은 모습을 연출할 가능성이 크다.
◆ 처음 南 찾는 北 최고 지도자 예우에도 관심, 의장대 사열할까
처음으로 남측 지역을 방문하는 북한 최고 지도자에 대한 우리 측 예우의 수준도 관심사다. 남북 정상회담의 동선 등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 두 번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우리 대통령에 대해 최상의 예우를 한 만큼 우리 역시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최상급 예우를 할 전망이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3월 29일 중국 단둥에서 중국측 인사들과 접견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우선 김 위원장에 대해 의장대 사열을 실시할 것인지 관심사다. 의장대 사열은 대한민국을 찾은 외국 정상에 대한 최상의 예우를 표현하는 것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난 2000년 평양 순안공항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7년 평양 4.25 문화회관에서 의장대를 사열한 바 있다.
다만 남북 정상회담 장소인 판문점 평화의집이 협소하고, 정상회담이 당일에 끝나는 일정이어서 시간이 부족한 것이 관건이다. 판문점은 남북이 아닌 유엔사 관할이어서 정상급 의전이 쉽지 않고 예포 발사 등도 제한적이다.
남북 정상이 함께 오찬 및 만찬을 할지도 관심사다. 지난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에서는 첫날 김영남 상임위원장 주최의 만찬이 이뤄졌고, 다음날은 답례 성격으로 우리 측에서 만찬을 제공했다.
그러나 이번 회담은 판문점에서 행해지며 당일 끝나는 협상이라는 점 때문에 두 정상이 같이 오·만찬을 함께 할 수도 있지만, 따로 식사를 한 뒤 다시 모여 대화를 이어갈 가능성도 적지 않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