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강원도 원주 KT연수원서 '스카이쉽' 구조 장면 시연
하반기 정부 PS LTE 사업 수주에 '총력' 전망
[서울=뉴스핌] 성상우 기자 = # 하늘을 순찰하던 '스카이쉽' 레이더에 빨간색 신호가 잡혔다. 조난자가 발생했다는 의미다. 내부에 태우고 있던 '스카이쉽 드론'을 사출해 해당 위치로 띄워보냈다. 드론이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자 '스카이십 로봇'이 출동했다.
의약품과 긴급 구호물품을 싣고 조난자에게 접근, 구조대원 도착 전까지 시간을 벌 수 있게 했다. 도착한 구조대원은 AR 글래스를 착용하고 아주대 응급의료센터 의료진과 실시간 교신하며 응급 치료를 했다.
KT(회장 황창규)가 25일 시연한 재난안전망 서비스의 실제 장면이다. KT는 지난해 공개한 바 있는 '스카이쉽(비행선+드론)'에 재난안전 특화 기술을 접목한 '스카이쉽 플랫폼'을 이날 선보였다.
스카이쉽엔 휴대폰 신호로 조난자를 찾아낼 수 있는 '스카이스캔' 기능이 탑재됐다. 롱텀에볼루션(LTE)과 5G 통신 모듈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스카이쉽에 탑재된 소형 LTE 장비를 통해 반경 50미터 내에 있는 조난자의 휴대폰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스카이스캔이 조난자 휴대폰 신호를 탐지하면 스카이쉽 드론이 출동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이뤄진다. 출동한 스카이쉽이 공중에서 조난자의 상세 위치를 파악하면, '스카이쉽 로봇'이 지상 경로로 조난자에게 접근한다. 스카이쉽 로봇은 구조대원들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조난자에게 비상구호물을 전달하고,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구조센터에 현장 중계 및 응급 조치를 한다.
KT는 이같은 재난안전 서비스와 방대한 전국 통신망을 바탕으로 올해 하반기 정부가 발주할 전국 재난망 구축(PS LTE) 및 운영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우위를 선점한다는 복안이다. 전국 재난 안전망 구축 과정에서 회사가 보유한 전국 통신망 인프라 규모가 서비스 질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틈, 이 부문에서 경쟁사 대비 우위를 이미 갖췄다는 자체 평가다.
KT측은 재난망 전국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요인으로 어떠한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자사 '통신망 인프라'를 꼽았다. KT가 전국에 보유한 광케이블망이 폭발, 화재 등 재난 상황에서도 통신 시설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재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68만km의 광케이블 중 약 80% 구간이 지중화된 덕분이다.
아울러, 도서지역 마이크로웨이브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을 갖추고 있어 유사시에도 백업망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전국에 보유한 통신전용국사는 규모 6.5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되어 지진의 위협에도 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오성목 KT 사장이 재난안전망 구축 사업 관련 발표하고 있다. [사진=성상우 기자] |
오성목 네트워크부문장 사장은 "하반기에 있을 정부 사업 수주 제안서에 스카이십 서비스를 포함시킬 지 여부는 아직 논의 중"이라면서 "다만 오늘 공개한 모든 기술을 충분히 활용해서 재난망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기본 개념"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사업은 기업간 비즈니스(B2B) 영역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대기업 및 각 공장에서 니즈가 있는 것으로 파악 중이다. 조만간 사업적 측면을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wse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