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세계 노후화된 선박 비중 43%
환경규제 강화로 선박개조 수요도 증가
[세종=뉴스핌] 최온정 수습기자 = 정부가 선박수리·개조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국내 중소조선업체들에게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26일 김관영 의원(바른미래당)은 중소벤처기업부 종합국정감사에서 최근 규모가 커지고 있는 선박수리‧개조사업 참여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전 세계에서 운항중인 선박 중 선령이 20년 이상인 노후화된 선박 비중은 2013년 기준으로 43%이다. 한국의 경우도 2015년 기준 대형 국적선박 225척이 노후화된 선박이었다. 업계는 앞으로 선박수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선박개조 시장도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에 따르면 해운사는 2019년 9월 이후부터는 선박의 정기검사일까지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를 장착해야 한다. 또한 배기가스 규정이 강화돼 저유황유를 사용하거나 스크러버를 장착해야 한다. 대안으로는 LNG 연료추진 시스템으로 개조하는 것이 허용된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은 전세계 선박수리 시장 규모가 2016년 기준 77억달러(약 8조7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배기가스 배출규정강화에 따라 BWTS·스크러버·해양플랜트 개조의 시장규모는 각각 6조원, 1~2조원, 6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울산 조선소 전경 [사진=현대중공업] |
선박수리‧개조산업은 생산유발과 고용효과가 크고, 타산업과 연계가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그러나 국내 80여 개 선박수리 조선소는 규모가 작아 수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 1만~3만톤급 중형선박 수리가 가능한 조선소는 4곳에 불과하며, 더욱이 3만 톤급 이상 대형선박을 수리할 수 있는 업체는 부산‧광양항권의 오리엔트 조선과 신생 업체인 고성의 삼강엠앤티 2곳 뿐이다.
이로 인해 2013년의 국적선박 225척 중에서도 3척만이 국내에서 수리돼 자급률이 1.3%에 불과했다. 매년 약 5000억원의 국부가 유출되고 있다.
정부는 2016년 10월 31일에 개최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 회의에서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국내 수리조선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국내 제조 선박의 수리‧개조 수요를 2015년 1.3%에서 2020년 10%로 유인해 나아가겠다고 밝힌바 있다.
김 의원은 "조선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조선소를 떠난 많은 숙련된 기술자들이 선박수리‧개조산업체에서 일하면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은 수리‧개조산업이 활성화된 중국, 싱가포르 등 경쟁국에 비해 기술력은 뛰어나지만 인건비가 높아 당장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