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3월 6일 오전 09시2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2월 글로벌 원자재 가격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24개 원자재 가격을 추종하는 스탠다드앤푸어스(S&P) GSCI 지수는 전월말 대비 1.7% 상승했다. 에너지 비중이 낮은 CRB지수는 4.5% 올랐다.
부문별로는 에너지와 산업금속이 각각 8.2%, 2.8% 상승했다. 반면, 농산물은 전월말 대비 3.9% 빠졌다.
품목별로 미국산 휘발유가 가장 큰 상승폭(+19.6%)을 나타냈다. 반대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품목은 소맥(-12.4%)이다.
◆ 유가 약세 기조…상승세 지속 여부 불투명
2월 국제유가는 투자심리 개선으로 2개월 연속 상승했다.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월말 대비 6.4% 상승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적극적 감산 의지 표명과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글로벌 금융시장 안정과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조절 등의 영향으로 3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브렌트유(+6.7%)와 두바이유(+7.0%)도 상승했다.
미 휘발유 가격은 유가상승 및 저가매수 등의 영향으로 큰 폭 상승했다. 천연가스선물가격은 성수기 종료로 약보합(-0.1%)에 그쳤다.
국제금융센터는 유가 상승세 장기화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전망했다. 최근 긍정적인 요인의 부각에도 전반적으로 약세 기조가 여전하고 전 세계 경기둔화 우려도 지속되고 있어서다.
사우디의 감산 의지와 글로벌 금융시장 회복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은 유가 상승 재료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 가능성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난해 연말의 유가 낙폭이 일부 만회되었고 경기 우려 등 하방요인도 상존하고 있어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예측이다. 또,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수요부진 등으로 올해 세계 원유수급이 공급과잉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
[자료=국제금융센터] |
◆ 미·중 무역협상이 곡물 단기 상승 모멘텀…상승세 전환은 '글쎄'
2월 주요 곡물가격은 공급과잉 우려 등으로 하락했다.
시카고거래소(CBOT) 소맥 선물가격은 전월말 대비 12.4% 내렸다. 러시아 등 공급호조와 높은 재고 수준, 미국 수출부진 등 요인이 가격을 끌어 내렸다. 미국의 겨울밀 경작면적 축소 전망과 중서부 한파 등 상승요인의 영향력은 크게 발휘하지 못했다. 대두는 중국의 미국산 수입 재개에도 공급호조로 하락(-1.9%)했다. 옥수수도 수급 안정으로 3.9% 떨어졌다.
런던 ICE선물거래소 원당가격은 브라질 생산 감소 전망에도 불구 차익매물로 보합마감했다. 커피는 세계 공급 호조, 헤알화 약세 등으로 10% 내렸다. 원면도 수요부진 등으로 하락(-3.6%)했다.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단기 상승 모멘텀이 될 순 있겠으나 상승세로 전환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국제금융센터는 진단했다. 세계 수급 및 재고 안정, 남미 농업기상여건 개선 등 하방압력이 여전한 상황이어서다. 북반구 파종(4~6월)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박스권 움직임이 예상된다.
[자료=국제금융센터] |
◆ 비철금속, 상승세 여건 있으나 제한적 범위
2월 비철금속은 2개월 연속 전품목 상승했다.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은 전월말 대비 5.5% 올랐다. 미·중 무역협상 진전과 칠레 홍수에 따른 공급차질 등으로 8개월래 최고치로 상승했다. 니켈 가격도 브라질 발리(Vale) 회사의 생산차질 우려 등으로 강세(+4.6%)를 나타냈다. 알루미늄은 러시아 루살(Rusal) 제재 해제 등으로 공급과잉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저가매수세가 유입돼 강보합세(+0.1%)로 한 달을 마쳤다. 아연과 납가격도 투자심리 개선으로 상승했다.
금가격은 월 중반 10개월래 최고치인 온스 당 1340달러까지 올랐다가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 등으로 약보합(-0.6%) 마감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전반적인 투자심리 개선에도 불구 글로벌 경기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고 차익매물 등 요인이 비철금속 가격 상승을 제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중 무역협상이 3월 내 타결할 가능성은 상승세 요인이지만 품목별로는 수급여건에 따라 상승률이 차별화될 것이고 차익매물이 나올 가능성도 높아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