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홍콩의 은행간 단기 금리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로 뛰었다.
최대 100만에 이르는 시민들이 연일 범죄인 인도 법안 개정을 저지하기 위한 과격 시위를 벌이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 달러화에 대한 홍콩 달러화의 등락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 홍콩 달러가 가파르게 떨어질 경우 정치권 리스크로 인한 자본 이탈에 대한 우려가 확산,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범죄인 인도 법안’에 반대하는 홍콩의 대규모 시위가 격화되며 경찰이 최루탄을 쏘며 시위를 진압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13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홍콩 은행간 1개월짜리 대출 금리가 2.63%를 기록, 전월 대비 0.21%포인트 뛰었다. 이는 2008년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3개월물 금리 역시 2.56%로 11년래 최고치를 나타냈고, 변동성이 높은 하루짜리 은행간 금리도 2.33%로 치솟았다.
중국에 범죄인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개정 움직임에 홍콩 시민들이 연일 대규모 시위를 벌이면서 부상자가 속출, 사회적 불안감이 높아진 가운데 벌어진 상황이다.
이와 함께 금융권의 현금 수요가 최근 급증, 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제 2의 우산 혁명으로 번질 수 있다는 관측마저 제기된 최근 홍콩 사태는 중국과 무역 전면전 속에 미국이 배후에서 개입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 사태가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는 양상이다.
스코샤 뱅크의 치 가오 외환 전략가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정치적인 리스크와 사회 동요로 인해 자본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 사이에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뜩이나 중국과 미국의 무역 마찰로 인해 홍콩 경제가 한파를 맞은 가운데 자금 조달 비용 상승이 지속될 경우 경제 전반에 파장을 미칠 것이라는 경고다.
모기지 금리가 동반 상승, 주택 시장을 압박하는 한편 민간 기업의 투자 역시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은 홍콩 달러화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홍콩 달러는 미 달러에 대해 7.82 홍콩 달러 내외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문제는 통화 가치가 가파르게 하락, 미 달러화와 페그제 유지가 흔들리는 상황이 벌어질 경우 자본 유출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DBS의 사뮤엘 체 이코노미스트는 WSJ과 인터뷰에서 “홍콩 달러의 급락 가능성과 페그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에 투자자들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며 “필요한 경우 홍콩 금융당국이 외환보유액을 동원해 통화 가치 방어에 나설 전망”이라고 말했다.
펄 프릿지 파트너스의 앤드류 설리반 이사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이 개정되면 상당수의 미국 경영자들이 홍콩 사무소를 싱가포르로 옮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