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 예보의 우리금융 매각 방침 수정 시사
지분 17.25% 현 주가로 매각시 4천억원 손해
공자위 오는 24일 정기회의, 매각 변경 논의 주목
[서울=뉴스핌] 김진호 기자 =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한 우리금융지주의 '완전 민영화' 절차에 난항이 예상된다. 최근 우리금융 주가가 크게 하락해 민영화 절차를 원안대로 진행할 경우 수천억원의 손실이 예상돼 당국의 셈법이 복잡해져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 17.25%를 분산 매각하고자 했던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의 계획에 일부 차질이 예상된다.
우리금융그룹 본사 [사진=우리금융] |
공자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설 필요는 없다"면서도 "시장 상황을 보고 있다. 할 만하면 할 것이고 하지 못할 상황이면 안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해 6월 금융위가 발표한 잔여 지분 매각 계획에 일부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예보가 올 상반기부터 잔여 지분에 대한 매각 절차를 진행할 계획지만 시장 상황이 급변한 만큼 다소 지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금융에 대한 완전 민영화 방침은 그간 금융당국의 대표적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꼽혀왔다.
앞서 정부는 1998년 외환위기 당시 금융사 구조조정을 거치며 총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우리금융에 투입했던 바 있다. 이후 지분매각 등을 통해 82.75%(11조1000억원)을 회수했지만 17.25%(1조7000억원)는 여전히 회수하지 못한 형편이다.
문제는 주가다. 지난해 2월 재상장 당시 우리금융의 주가는 1만5300원, 당국이 민영화 로드맵을 공개했을 때 주가는 1만4000원선을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 경제상황으로 우리금융의 주가는 전 거래일 기준 1만350원을 기록 중이다. 한때 1만원선을 위협할 정도로 주가는 폭락한 상태다.
당국은 우리금융 주가가 1만3800원일때 원금이 100% 회수 가능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현재 주가로 당국의 잔여지분 매각이 진행될 경우 손해는 약 4000억원에 달한다. 이 경우 정치권을 중심으로 '국민혈세를 날려버렸다'는 날선 비판에 직면할 공산이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보가 당초 올 상반기부터 지분 매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상황이 어렵게 흘러가는 것이 사실"이라며 "주가 회복을 기다리자니 매각 시기가 지연될 수 있고 그대로 팔자니 혈세 낭비 지적이 부담돼 당국의 셈법이 복잡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 큰 문제는 우리금융의 주가가 앞으로도 하락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금융의 기업가치 상승을 위해선 비은행 부문 확대를 통한 인수합병(M&A)가 필수적인데 이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한 탓이다.
당초 금융권에선 오는 3월 우리금융에 대한 위험자산 평가방식이 표준등급법에서 내부등급법으로 변경되며 증권사 및 보험사에 대한 적극적 M&A가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M&A를 통한 실적성장으로 주가 역시 반등할 것이란 기대감이다.
하지만 최근 DLF 사태로 지배구조 리스크가 더욱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며 상황은 그리 녹록지 않아 보인다.
위험자산 평가방식 변경과 M&A에서 필수적인 금융당국 승인이 미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김은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DLF 관련 중징계, 라임자산 펀드판매, 개인정보보호법 관련 제재심 가능성 등 이슈화되는 뉴스가 연속되고 있다"며 "뉴스플로어 자체도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공자위는 오는 24일 정기 회의를 개최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예보의 잔여 지분 매각 시기와 관련해 여지를 남겨둔 만큼 이번 회의에서 해당 사안이 논의될지 여부에 금융권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rpl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