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코로나19에 김정은 공개활동 축소"
전문가 "의도적 역정보 유출 뒤 잠행 가능성도"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국가정보원은 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올해 공개활동 횟수가 감소했다며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라고 분석했다.
단,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20일 만에 모습을 드러낸 직접적인 원인이 코로나19 때문이라고는 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이 각종 설들이 제기됨에도 즉각적인 대응 대신, 20일 만의 '깜짝 등장'을 택한 이유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는 관측이다.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향과 대외정책 등에 관한 보고 준비를 하고 있다. 2020.05.06 kilroy023@newspim.com |
◆ 국정원 "김정은, 코로나19에 공개활동 축소"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 전체회의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의 보고내용을 전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올해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 횟수는 17차례라며 "예년 동기 평균 50회라는 점과 대비해 약 66%가 감소한 역대 최저"라고 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군 전력과 당정회의를 직접 챙기는 등 내부전열과 재정비에 집중한데다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공개활동을 대폭 축소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국정원은 아울러 김 위원장이 지난 1일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에서 모습을 드러내기 전까지 정상적으로 국정운영을 해왔다고 판단했다. 코로나19 방역, 물가대책 수립, 군기확립, 외국 정상과 내부 구성원들에게 '감사'를 전달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
국정원은 '김정원 측근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따로 얘기나 보고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그건 확인할 수도 없는 얘기"라고 했다.
앞서 미국의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1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김 위원장의 측근 부하가 발열 증세를 보이자 원산으로 피신했던 것으로 한미 당국자들은 파악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조선중앙TV는 지난 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준공식에는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과 김재룡 내각총리, 박봉주 당 부위원장 등 노동당 간부들도 동행했다. 한편 이번 김 위원장의 공개행보는 지난달 11일 노동당 중앙위 본부청사에서 당 정치국 회의를 주재한 뒤 20일만이다. 김 위원장은 같은 달 15일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에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지 않아 건강이상설, 사망설 등 각종 설이 제기됐다.[사진=조선중앙TV 캡처] |
◆ '불가피한 잠행 or 의도적 연출' 어떤 게 맞나…전문가 "의도적 '역정보' 유출해 정보원 색출했을 수도"
20일간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김 위원장의 행보를 두고 확대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잠행이 아닌 통상적인 일정을 소화하고 있었는데, 그것이 내외신을 통해 '불가피한 잠행'으로 비화됐다는 해석이다.
청와대와 정부는 지난달 20일 한 매체의 '심혈관계 시술' 보도로 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불거질 당시에 "북한 내부의 특이동향은 없다"며 각종 설들을 일축한 바 있다.
특히 청와대는 북한 매체가 지난 2일 김 위원장의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 참석 보도를 내놓은 것을 두고 일부에서 '카트를 이용했다', '손목의 점은 스텐트 시술의 증거'라는 주장을 제기한 것도 정면 반박했다.
청와대는 지난 3일 "수술·시술 모두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국정원도 6일 수술·시술설을 불식하며 "아무리 가벼운 수술이라도 북한 지도자가 그 정도가 돼 건강관리를 받아야 한다면 4~5주 정도는 안정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이 20일 간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은 '의도적 연출'이라는 해석도 있다.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 보도가 북한 매체에서 사라진 것은 최장 41일(2014년)이라는 선례도 있기 때문이다.
의도적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이유는 세계의 이목을 끌고 남한과 미국의 대응 행태 등을 살펴봤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역정보'를 의도적으로 흘리고 내부 '정보원'을 색출하려 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대북 전문가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북한에서 혼란을 목적으로 가짜 정보를 유출했을 수도 있다"며 "정보가 새어나가는 과정을 내부적으로 추적해 누가 정보를 흘리는지 테스트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