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총리,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준공식 참석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 15GW 생산 목표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세계 최초로 추가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은 부생수소 발전소가 충청남도 서산에 들어선다. 이를 통해 16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40만㎿h 전력을 생산해 인근 전기 수요지에 공급할 예정이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는 충남 서산시 대산읍에 위치한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준공식에 참석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정 총리를 비롯해 정승일 산업부 차관, 양승조 충남도지사, 정인섭 한화에너지 대표이사, 박일준 동서발전 사장, 유수경 두산퓨엘셀 대표이사, 김형준 한화토탈 부사장, 김영욱 대산그린에너지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번에 준공된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는 '부생수'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한 세계 최초의 상업용 발전소다. 액화천연가스(LNG)에서 추출한 수소를 사용하던 기존의 연료전지 발전소와 달리 인근 석유화학 공장의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해 공정에서 태워지거나 버려지던 부생수소를 직접 투입, 추가적인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친환경 발전소다.
정세균 국무총리를 비롯한 내빈들이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준공식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동서발전] |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준공은 수소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과도기에 사용되는 추출수소를 넘어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수소를 활용하는 본격적인 수소경제로의 이행 기반이 될 전망이다. 발전소에서는 16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연간 40만㎿h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해 근처의 전기 수요지에 공급해 전기생산지와 수요지를 인접시키는 분산형 전원의 취지에 부합한다.
특히 발전기에 장착된 미세 필터를 통해 공기중의 초미세먼지까지 정화해 성인 약 35만명이 숨쉴수 있는 깨끗한 공기도 발전소 인근지역에 공급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한국은 전 세계 수소연료전지 보급량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오는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 15GW를 생산(내수 8GW 보급)해 수출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정부는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수소경제위원회'를 조기 출범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경제에 큰 기여를 해온 대산 석유화학단지에서 다시 한번 그린뉴딜과 수소산업의 새로운 꽃을 피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 총리는 지난 1일 '제1차 수소경제위원회'에 참석해 민관 위원들과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심의·의결한 이후 3일 완주 수소충전소와 현대차 전주공장 현장 방문을 통해 수소 모빌리티 현황을 점검한 바 있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