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사회 교육

속보

더보기

수도권 학교 전면 온라인 수업 전환한 날, 등교 중지 '사상 최대' 2100곳

기사입력 : 2020년08월25일 15:05

최종수정 : 2020년08월25일 15:05

전체 학교 10%가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
광주광역시 580곳으로 가장 많아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등교 수업을 중단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한 학교가 2000곳을 넘어섰다. 순차적 등교 수업을 시작한 지난 5월 이후 사상 최대 수준이다.

25일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으로 전날(1845곳)보다 255곳 많은 2100곳의 학교가 등교 수업을 중단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다. 전국 2만902개 유·초·중·고교 가운데 10%의 학교가 코로나 직격탄을 맞고 등교 수업을 중단한 셈이다.

[서울=뉴스핌] 백인혁 기자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유초중고 원격수업 전환 등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강력조치 방안 발표를 하고 있다. 2020.08.25 dlsgur9757@newspim.com

학생 확진자도 하루 만에 22명이 늘어 누적 기준으로 307명을, 교직원은 4명 늘어 74명을 각각 기록했다. 감염증 검사 중인 학생은 1408명, 교직원은 311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등교 중단 학교는 최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21일 기준으로 등교 중단 학교는 849곳이었지만, 주말을 지나면서 전날 1845곳으로 늘었고, 이날 사상 최대인 2100곳으로 집계됐다.

전반적으로 등교 수업을 중단한 학교 규모가 증가한 가운데 광주광역시가 가장 많은 580곳으로 나타났다. 전날보다 3곳 증가한 수치다.

경기 수원시 영통지구 학교 92곳이 등교 수업 중지 결정을 내리면서 총 524곳으로 나타났다. 전날보다 102곳 증가했다.

충북 학교도 전날보다 14곳 늘어난 294곳이 등교 수업을 중단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다.

서울은 성북구 학교 4곳 등 등교수업 중단 결정을 내리면서 전날보다 9곳 늘어난 157곳이 이날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전남에서는 순천시 학교 116곳이 등교 중지를 결정하면서 총 124곳이 온라인 수업으로 돌입했다.

한편 확진 판정을 받은 학생도 매일 느는 추세다.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는 전날 같은 시간보다 22명 늘어난 307명으로 나타났다. 교직원은 4명 늘어난 74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확진자를 살펴보면 학생 확진자는 서울이 11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 92명, 부산 18명, 광주광역시 15명, 인천과 대전이 각각 14명, 대구 13명, 강원 9명, 경북 5명 등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6일부터 온라인 수업으로 전면 전환되는 수도권 학교 전체를 등교 중단 학교로 봐야 할지 여부를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wideope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환율 한때 1480원대...2009년 3월이후 최고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달러/원 환율이 장중 1480원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23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환전소 전광판에 환율이 나타나고 있다. 2024.12.27 mironj19@newspim.com   2024-12-27 12:56
사진
'모바일 주민증' 27일부터 시범 발급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앞으로 17세 이상 국민 모두가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 담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7일부터 전국민의 신분증인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시범 발급한다고 26일 밝혔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행안부 제공2024.12.26 kboyu@newspim.com 행안부에 따르면,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 먼저 세종특별자치시, 고양시 등 9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 발급을 해 시스템 안정성을 검증한 뒤 내년 1분기 중 전국에서 발급할 계획이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주민등록법령에 따라 개인 스마트폰에 발급되는 법적 신분증으로, 기존 주민등록증을 소지한 모든 국민(최초 발급자 포함)이 신청할 수 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2021년부터 제공된 모바일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재외국민 신원확인증에 이어 네 번째 추가되는 모바일 신분증이다. 행안부는 먼저 세종시, 전남 여수시, 전남 영암군, 강원 홍천군, 경기 고양시, 경남 거창군, 대전 서구, 대구 군위군, 울산 울주군 등 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시범 발급하며, 이후 내년 1분기 중으로 전 국민에게 발급할 계획이다. 시범 발급 기간 동안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해당 지역인 주민들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IC주민등록증'을 휴대폰에 인식시키거나 'QR 발급' 방법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할 수 있다. 전면 발급 시에는 정부24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시 6개월 이내의 사진을 제출해야 한다. QR 발급 방법은 사진 제출이 필요 없지만, 주민등록증 사진이 오래된 경우 모바일 신분증 앱에서 안면 인식이 어려울 수 있어 재발급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가능하다. 한편,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블록체인과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개인정보 유출 및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본인 스마트폰에만 발급되며, 분실 시에는 잠김 처리되어 도용을 막을 수 있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1968년 주민등록증 도입 이후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변화가 이루어졌다"며 "이번 시범 발급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 2024-12-26 13: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