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미세공정 기술 경쟁 치열
코로나 사실상 종식된 대만 TSMC, R&D 속도전
삼성·SK, 정부의 거리두기 상향 여부 예의주시
[서울=뉴스핌] 김선엽 기자 = "주 52시간도 버거운데 재택근무까지 하면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경쟁에서 쉽지 않다."(반도체 업계 관계자)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이 3단계 현실화 가능성에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정부 권고안을 흘려들을 수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정부 지침대로 대부분 인원을 재택근무로 전환하는 것도 비현실적이라는 입장이다.
모든 산업계가 마찬가지지만, 특히 현재 K-반도체는 글로벌 기업들과 촌각을 다투는 미세공정 경쟁을 펼치고 있는 탓에 3단계 격상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사진=삼성전자] |
27일 재계에 따르면 8월 중순 코로나19가 재확산되자 SK그룹 계열사들은 일제히 재택근무 모드로 돌입했다. 하지만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 만큼은 재택근무로 전환하지 못 하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정부의 2단계 격상조치 이후 '20인 이상 회의 금지' 등 여러 고강도 방역조치를 발표했지만 재택근무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긋고 있다.
심지어 양사 모두 R&D센터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지만 해당 층을 일시적으로 폐쇄하는 조치만 취했을 뿐 재택근무 돌입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양사 모두 제조업이라는 특수성에 더해 반도체 공장은 24시간 중단 없이 생산라인이 돌아가야 한다는 점 때문에 재택근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공장이 30분만 멈춰도 500억원대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반도체 생산라인인 클린룸은 양압시설로 먼지나 바이러스가 발생해도 공기가 밑으로 내려가 필터로 걸러지기 때문에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이런 이유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에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해도 중단없이 가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검토를 해 봐야 알겠지만 3단계로 격상해도 우리는 업의 특성상 재택근무 돌입이 힘들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전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 캠퍼스를 방문, 포토레지스트 협력 공정을 시찰하고 있다.[사진=청와대 ] 2020.07.09 photo@newspim.com |
더 나아가 반도체 기업의 경우 생산라인 뿐 아니라 R&D 조직과 영업조직 등도 재택근무로의 전환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해외 경쟁사들과 초미세공정 기술 개발 경쟁이 워낙 치열하기 때문이다.
코로나가 사실상 종식된 대만 TSMC는 지난 25일 온라인 기술 심포지엄에서 2024년 양산을 목표로 2나노미터급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파운드리 1위 기업인 TSMC의 질주를 바라보는 국내 반도체 업체들로서는 코로나19를 이유로 R&D 속도를 늦추기 어려운 형편이다.
재택근무로는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해 결국 R&D 조직이나 영업 부서 역시 재택근무에 돌입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또 다른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직원의 절반 정도는 생산라인이므로 당연히 재택근무가 불가능하고 나머지 절반의 인원도 재택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 권고안이 나오면 검토를 하겠지만 말 그대로 권고안이기 때문에 꼭 (필수인원을 제외하고) 재택근무에 돌입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자료=KTB 투자증권> |
sunu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