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동훈 기자 = 홍수에 취약한 지방하천 100곳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한 홍수예보시스템이 설치된다. 강우레이더로 돌발홍수를 예보해내고 오는 2025년까지 수자원위성을 개발한다. 또 내년부터 홍수위험지도를 온라인으로 볼 수 있게 된다.
30일 환경부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첨단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홍수관리'를 본격 추진한다.
이번 대책은 지난 7월∼8월 장마기간에 내린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를 반면교사 삼아 돌발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오는 2025년까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수예보 시스템을 도입한다. 홍수에 취약한 전국 100곳의 지방하천에 홍수정보 수집센서를 설치하고 각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활용해 인공지능을 적용한 홍수예보 체제(플랫폼)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498억원을 투자하고 2023년에서 2024년까지 시범운영 단계를 거쳐 2025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지금은 인력으로 홍수예보를 하고 있다. 이 경우 다년간의 경험이 필요하고 단기간내 결과도출이 어렵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법(기계학습, 딥러닝)은 입력변수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경우 단기간 내 결과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우레이더를 활용해 기습적인 폭우에 따른 돌발홍수를 잡는다. 기존 하천 수위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방식은 도심지의 돌발홍수 예측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강우레이더를 활용해 읍면동 단위까지 1시간 전에 예측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세종=뉴스핌] 이동훈 기자 = 전국 강우레이더 현황도 [자료=환경부]2020.08.30 donglee@newspim.com |
국지적인 기습적 돌발홍수에 대해서는 30분에서 1시간 전에 폭우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나 주민이 미리 대피하거나 사전조치를 할 수 있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전망이다.
기후변화 심화에 따른 극한의 홍수 및 가뭄 등 대응을 위해 수자원·수재해를 감시하는 수자원 위성을 2025년까지 개발한다. 500㎏급 위성으로 시간이나 기상조건과 무관하게 홍수와 가뭄 등 수자원 정보를 관측폭 120㎞, 하루 2회 관측할 수 있다.
위성개발이 활용되면 경우 홍수, 가뭄, 녹조 등에 대한 광역적 감시가 가능하게 돼 북한(접경지역 홍수관리 등) 및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수자원 협력(예보지원, 정보공유 등), 물산업 진출 등이 기대된다.
그동안 도면으로만 열람하던 홍수위험지도를 2021년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구축해 온라인으로 손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한강, 낙동강, 영산강을 비롯한 국가하천에 대해 홍수위험지도 작성을 완료하고 현재 전국 지방하천에 대한 홍수위험지도를 마련 중에 있다.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홍수위험지도가 제공될 경우 개인이 소재하고 있는 인근 하천 주변지역의 침수범위와 깊이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홍수대응 노력과 경각심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이번 장마기간에 발생한 홍수로 인한 피해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홍수관리기법을 선보이겠다"며 "이러한 과학적 홍수관리기법을 댐과 하천의 정비방안과 함께 항구적 홍수관리대책에 포함시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