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KT, 카카오, LGU+, 엔씨소프트와 배타적 협력
빅데이타·비대면 활용 등 차세대 금융시장 대처 속도전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금융지주사들이 코로나19로 주요 과제가 된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기 위해 KT, 카카오 등 IT 회사와 협업을 늘리고 있다. 보수적이던 금융사가 빅블러(Big blur)를 적극 추구하면서 기존에 없던 서비스가 대거 출시돼 금융 소비자들의 편의성이 증대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최근 네이버(모바일 번호표 서비스), KT(금융·ICT 융합), 카카오페이(디지털 금융서비스 공동개발·협력) 등과 업무 제휴를 맺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대내외 금융환경 변화에 따라 은행의 상품·서비스 제공 방식은 자체 채널뿐만 아니라 선도 플랫폼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외연을 넓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우리의 상품·서비스를 더 많은 고객에 알릴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시중은행 사옥 [사진=각 사] |
특히 시장의 관심을 끈 건 KT와의 제휴다. 현재 이들은 KT 고객이 우리은행에 통신요금 자동이체시 우대혜택을 주거나, 통신요금 납부내역 등을 활용해 소액대출을 해주는 식으로 협업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비금융정보 활용 범위가 늘어나 수신금리는 높이고 여신금리는 낮추는 등으로 고객에 혜택이 돌아갈 개연성이 커졌다. 양측은 일단 마이데이터 합작사 설립 후 금융·통신 데이터 결합을 통한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 출시, 고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비대면 금융거래시 인증 간소화를 예고한 상태다.
상황은 다른 금융지주도 마찬가지다. 신한금융은 은행을 통해 지난 6월 LGU+, CJ올리브네트웍스와 '서울시 상권별 거주자 소비성향'과 같은 융합 데이터 개발 및 신사업 추진에 협업하기로 했다. 또 SKT와 5G 기반 미래금융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고(은행), 금융·통신 데이터를 결합한 결과물을 내놓기로(카드) 뜻을 모았다. 이렇게 되면 고객 특성별 소비행태에 이동경로, 체류시간 등의 데이터가 부착돼 초개인화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경로에 있는 관심매장 가격할인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식이다.
하나금융은 SKT와 오래 전부터 핀테크 플랫폼인 핀크를 운영해왔다.(하나금융 51%, SKT 49%) 핀크는 SKT과 'T스코어(SKT 고객의 통신신용점수를 대출심사에 반영)'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고, 하나은행, 하나생명 등과는 플랫폼에 상품을 올리는 제휴사로 협업 중이다. KB금융은 최근 엔씨소프트와 AI 투자자문 합작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지난해 LGU+와 협업해 가상이동통신망사업 서비스(알뜰폰) 리브엠도 선보였다. 금융사 최초의 통신 서비스로, 금융거래실적과 연계한 통신요금 할인 혜택 등이 특징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디지털 혁신 속도가 중요한 상황인데 내부 자원만으로 이 속도에 대응하기 어렵다"며 "금융권도 필요에 따라 외부 협업을 강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앞으로 금융 환경은 고객이 원하는 사업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한 후 맞춤 금융 추천 및 자문 서비스를 받는 식으로 달라질 것"이라며 "기존 금융사들도 고객 니즈를 충족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내놓기 위해 협업을 늘리는 등 역량 강화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