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라이브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금일 중국증시 포인트(1.14)]실적 기대株 주목, 국유기업 대형주 급등, 기계주 강세

기사입력 : 2021년01월14일 13:00

최종수정 : 2021년01월14일 13:3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편집자] 이 기사는 1월 14일 오전 11시0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어제 하락 마감했던 중국 3대 지수가 14일에도 소폭 하락세로 출발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마감가 대비 0.38% 떨어졌고,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는 전일 마감가 대비 각각 0.53%와 0.91% 하락 출발했다. 섹터별로는 환경 등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선박과 석유, 석탄, 비철금속 등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전문 매체들은 금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볼 만한 소식으로 △ 조정장 속 실적 개선 기대 종목 중심의 주가 상승세 △ 국유 중앙기업 대형주인 중쯔터우(中字頭: 중자로 시작되는 기업) 종목 무더기 급등 △ 기계주 강세 소식에 주목했다.

◆ 中 증시 등락 반복 속, 실적 개선 기대주 '눈길'

전날 상승 마감했던 중국 증시가 13일에는 다시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13일 조정장세 속 A주 2990개 종목이 하락한 가운데, 전날 증시 강세를 견인했던 증권주는 일제히 조정을 받으며 증권섹터 지수가 2.31% 급락했다.

[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이러한 상황에서 어제 중국 증시에서는 예상실적을 발표한 종목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는데, 오늘은 어떠한 흐름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중국 상장사의 잇단 2020년 예상실적 발표에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의 주가가 들썩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중국 대표 TV 제조업체 TCL그룹(TCL科技 000100)이 이틀 연속 신고가를 기록해 이목이 쏠렸다.

12일 사상 최고가 경신 후 13일 7.44% 급등한 9.24위안으로 마감하며 또 다시 신고가를 기록한 것. TCL그룹의 주가는 금주 3거래일(1월 11~13일)에만 24% 가까이 폭등했다.

11일 우수한 예상실적을 공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TCL그룹은 대형 디스플레이 사업 실적 개선으로 2020년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0~70%나 신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밖에도 실적 개선을 예고한 삼전식품(三全食品 002216), 남국부동산(南國置業 002305) 등 7개 종목이 13일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근 중국 증시의 자금 흐름을 보아도,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종목으로 쏠리는 분위기다. 증권일보(證券日報)에 따르면, 1월 13일 기준 이달 순유입세를 보인 종목 중 146개 상장사가 2020년 예상 실적을 발표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중 60%가 넘는 88개 기업이 실적 성장을 예상했다.

저장(浙江)성의 투자자산운용사인 둥퉈(冬拓) 인베스트먼트의 왕춘슈(王春秀) 펀드매니저는 "화학공업, 기계설비, 전자, 자동차 등 경기순환형 업종의 실적이 중국의 내·외수 경기 회복에 힘입어 작년 하반기부터 개선되기 시작했다"며 "올해는 더욱 뚜렷한 경제 회복세가 예상되면서 기업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경기순환형 세부 업종별 선두기업의 투자 가치가 높다"고 판단했다.

◆ 저평가·고배당 쭝쯔터우 종목, 조정장 속 투자 매력 부각

어제 조정장 속에서 국유 중앙기업 대형주인 중쯔터우(中字頭) 종목이 일제히 강세를 보인 것도 주목할 만한 포인트다.

중국화학(中國化學 601117), 중국중차(中國中車 601766), 코스코해운(中遠海控 601919), COSCO개발(中遠海發 601866)이 상한가를 쳤고, 중국핵건(中國核建 601611), XD전기(中國西電 601179), 중국핵전(中國核電 601985)도 주가가 7% 넘게 치솟았다.

안정적인 실적에 비해 저평가된 종목이라는 점이 주가 급등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중쯔터우 종목은 주가가 저평가된 배당률이 높은 종목으로 투자 매력이 부각되면서, 매수세가 지속되는 인기 종목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증권시보(證券時報)는 철도 등 인프라, 원전 건설 등 국유 대형기업이 포진한 19개 중쯔터우 종목 시가총액이 2조 5000억 위안(약 426조 원)에 불과한데, 이는 중국 증시 최고가 종목인 귀주모태(2조 7000억 위안) 한 종목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그렇다고 중쯔터우 종목의 수익성이 귀주모태에 크게 뒤쳐지는 것도 아니다. 2020년 3분기 실적을 기준으로 귀주모태가 338억 위안의 순이익을 달성했는데, 중쯔터우 종목 중 하나인 중국건축공정(中國建築 601668)의 순이익은 311억 위안으로 격차가 그리 크지 않았다.

중국건축공정의 주가수익비율(PER)도 5배로 낮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PER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아 해당 기업이 저평가 되어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건설기계주 강세, 업계 경기 활황에 주가 전망 밝아

이밖에도 중국에서 굴삭기의 폭발적인 판매량에 힘입어 급등세를 보이는 건설기계주가 오늘은 어떤 흐름을 이어갈지 주목된다.

[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13일 중련중과(中聯重科·Zoomlion 000157), 산투이건설기계(山推股份 000680) 등이 장중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14개 건설기계주가 일제히 상승하며 건설기계 섹터 지수가 10000포인트를 돌파했다.

업계 대장주인 삼일중공업(三一重工 600031)도 장중 한때 주가가 7% 넘게 급등하며 48.90위안으로 사상 최고가를 찍기도 했다. 장 막판에 조정을 받으며 3.28% 하락 마감했지만, 삼일중공업은 올해 첫 거래일부터 지금까지 30% 가까운 폭등세를 보였다.

향후 추가 상승도 기대된다. 중국 증권사들은 2021년에도 건설기계 업계가 판매량 증가에 따른 활황을 지속하고 선두기업의 수출도 늘어날 것으로 보며, 업계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둥싱(東興)증권은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시장 수요가 계속 늘어나면서, 건설기계 업계의 활황이 2022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KT, 2만명 'IMEI·폰번호 유출 우려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가 18일 서울 광화문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2차 브리핑을 열고, 불법 초소형 기지국(일명 펨토셀) 신호와 연계한 추가 피해 정황 및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KT는 전수 분석을 통해 불법 기지국 아이디(ID) 4개를 확인했고, 해당 신호를 수신한 고객이 누적 약 2만 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1차 브리핑 당시 KT가 발표한 2개 ID·1만 9,000여 명에서 범위가 더 확대된 수치다. 피해 고객 수도 278명에서 362명으로 늘었고, 누적 피해액도 1억 7,000만 원에서 약 2억 4,000만 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KT는 9월 5일 비정상 소액결제 패턴 차단 조치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전수 분석으로 불법 기지국 ID 4개 확인…2만 명 신호 수신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9월 5일 비정상 소액결제 패턴을 차단한 이후 현재까지 추가 피해는 없다"며 "1차 브리핑 당시 피해 고객 278명(피해액 1.7억 원)으로 파악했으나, 이후 고객 문의(VOC) 기반 추가 분석으로 362명·2억 4,000만원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열린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에 앞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이어 불법 초소형 기지국 추적 과정에 대해 "소액결제 2,267만 건을 전수로 펼쳐놓고 결제 패턴과 기지국 동작 패턴을 이중으로 분석한 결과, 불법 기지국 ID 4개를 검출했다"며 "이는 VOC 고객의 접속 로그에서 확인된 ID와 동일했다"고 덧붙였다. 또 "불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고객은 누적 약 2만 명으로 산출됐다"며 "다만 뒤늦게 확인된 두 개의 ID는 작동 시간이 매우 짧아 신호 수신 고객이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부연했다. 나아가 개인정보 유출 정황에 대해서는 "1차 브리핑에서 국제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MSI)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민관합동조사단과의 확대 분석 결과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번호(IMEI)와 휴대폰 번호도 단말 기종·사용 환경에 따라 전송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다만 유심(USIM)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았고, 고객 성명·생년월일 역시 KT를 통해 유출된 정황이 없어 복제폰 생성 가능성은 낮다"고 선을 그었다. ◆ 피해 고객 전액 보상, 2만 명에 '안전안심보험' 무상 제공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은 추가 피해가 발생한 부분을 고려해 고객 케어 방안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피해 고객 전체에 대한 청구 조정을 진행 중이며, 278명은 조정 완료, 추가 확인된 84명도 금일까지 마무리하겠다"며 "신용카드 결제 시점 차이 등으로 발생한 금액은 즉시 환불 처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이어 "현재 무료 USIM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하고 있다"며 "피해 우려 고객 2만 명 전원에게 'KT 안전안심보험'(가칭)을 3년간 무료 제공해 금융사기 피해를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또 "오후 3시부터 KT 매장·고객센터·홈페이지에서 피해 여부 확인 시스템을 오픈했고, 24시간 전담 고객센터를 지속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T는 현장 대응 강화도 예고했다. 김 본부장은 "전국 2,000개 매장을 '안전안심 전문매장'으로 전환해 후후 앱 기반의 보안 점검, 악성 앱 탐지, 피싱 대응 안내 등을 상시 지원하겠다"며 "매장별 안전안심 담당자를 지정하고 IT 서포터즈를 활용해 피싱 예방 교육을 연말까지, 내년 이후에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2차 인증 확대와 관련해서는 "고위험 업종에 대해 9월 9일부터~12일까지 PASS 생체/핀 인증을 적용했다"며 "정부·유관기관 지침과 별개로 선제적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펨토셀 18.9만 대 현황 공개…미사용 4.3만 대 차단·회수 착수 KT는 이날 브리핑에서 펨토셀 관리 실태도 공개했다. 구 본부장은 "총 설치 18.9만 대 중 시점별 가동 장비는 15~16만 대 수준"이라며 "3개월 미사용 4.3만 대는 연동 해지 조치했고, 2주 이내 전수 점검해 정상 사용 확인, 철거·회수 또는 영구 접속 차단을 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 기지국 추정 방식과 원인에 대해 "합법 장비를 불법 개조하거나, 고출력 앰프를 추가 연결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실내용 이동형 형태로 제작해 광범위한 커버리지를 확보한 정황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로그 분석 기준으로는 ID 4개가 확인됐고, 하드웨어 실물 대수는 수사로 확인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복제폰 가능성 논란에 대해 손정엽 KT 디바이스본부장은 "복제폰에는 IMEI·IMSI·인증키 3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며 "인증키는 유심(HSM 주입)과 서버에만 암호화 저장돼 있으며 통신망을 오가지 않는다. 따라서 IMEI·IMSI만으로는 복제 불가"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KT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보안 관련 투자도 확대하기로 했다.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은 "KT는 수개월 전 향후 5년간 보안 투자 1조 원 계획을 밝힌 바 있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올해·내년 우선순위를 모바일 서비스·단말 보안으로 재배치하고, 보안 거버넌스 강화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용어 설명 펨토셀(Femtocell) :초소형 이동통신 기지국.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 설치해 휴대폰 신호를 보강하는 장치. 불법 개조 시 해킹·소액결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음.VOC (Voice of Customer) :고객 불만·문의 사항. 기업이 문제를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때 쓰는 데이터 소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국제 이동가입자 식별번호) : 유심(USIM)에 저장된 번호.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로, 유출될 경우 특정 가입자의 통신 기록 추적이 가능.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번호) :단말기(휴대폰) 고유 식별번호. 분실·도난 시 기기 차단이나 추적에 활용. USIM 인증키 : 통신사 네트워크에 가입자임을 인증하는 핵심 암호화 키. 유심 칩과 서버에만 저장되며, 유출되면 복제폰 생성 가능성이 생김. 복제폰(Clone Phone) : 정식 단말과 동일한 IMSI, IMEI, 인증키를 복사해 만든 불법 단말기. 원래 가입자처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음. dconnect@newspim.com 2025-09-18 17:18
사진
롯데카드 '297만명' 해킹 당했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롯데카드가 최근 발생한 사이버 해킹 사고로 총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이 가운데 28만명은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CVC(카드 확인 코드)번호까지 함께 노출돼 부정 사용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카드는 전사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고객 피해 차단에 나서고 있으며 피해 발생 시 전액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또 무이자 할부와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카드사용 알림 서비스 등을 연말까지 무료로 제공하고 향후 5년간 1100억원을 투입해 정보보호 예산을 업계 최고 수준인 15%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18일 롯데카드는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사고 경과와 피해 규모, 향후 대책을 발표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 자리에서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로 고객 여러분께 크나큰 불안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대표이사로서 무한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현재까지 고객정보가 악용된 피해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만약 피해가 발생한다면 전액 보상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해킹 피해에 대해 대대적인 사내 인적 쇄신을 예고하며 필요할 경우 사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롯데카드에 따르면 이번에 유출된 정보는 지난 7월 22일부터 8월 27일 사이 온라인 결제 과정에서 생성·수집된 데이터다. 전체 회원(약 960만명)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297만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왼쪽 다섯번째)와 임직원들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2025.09.18 yooksa@newspim.com 이 가운데 269만 명은 연계정보(CI), 가상결제코드 등이 유출돼 카드 부정 사용 가능성은 낮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그러나 28만 명은 카드번호·비밀번호 일부·유효기간·CVC 번호 등이 함께 노출돼 '키인 결제(KEY IN)' 방식 등 특수 결제를 통한 부정 사용 위험이 존재한다. 조 대표는 "현재까지 부정 사용 사례는 없다"며 "해외 온라인 결제는 전화 본인 확인 후 승인되도록 하고, 국내 키인 결제 가맹점도 추가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해 부정 사용 가능성은 낮다"고 강조했다.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고, 부정사용 우려가 큰 28만명에 대해서는 재발급 문자와 안내전화를 병행하고 있다. 해당 고객들에게는 차년도 연회비를 전액 면제하기로 했다. 조 대표는 "17일 기준 28만명 중 약 5만5000명이 재발급·사용정지·탈회 절차를 완료했다"며 "연회비 면제 규모는 최소 56억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앱 메인 화면에 재발급·해외결제 차단·비밀번호 변경 메뉴를 배치하고, 동시 접속 인원을 60만명까지 확대했다. 24시간 전용 상담센터 인력도 보강했다. 조 대표는 "해커가 1.7GB 파일을 압축해 반출한 뒤 흔적을 교묘하게 지워 초기 파악이 어려웠다"며 "200GB의 데이터를 4700여 개 조각으로 나눠 가져갔고, 복구 및 고객별 매칭 과정에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MBK파트너스 인수 이후 정보보호 투자가 소홀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2019년 당시 71억원 수준이던 정보보호 투자가 2021년 137억원으로 늘었고 인력도 19명에서 현재 30명 수준으로 확대됐다"며 일축했다. 롯데카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보안 투자를 대폭 강화한다. 향후 5년간 1100억원을 투입해 서버·운영체제·소프트웨어 환경을 전면 교체하고 전담 레드팀을 신설해 해킹 침투를 가정한 상시 점검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조 대표는 "이번 사태를 단순한 보안사고로 보지 않고 고객 중심의 경영 혁신 계기로 삼겠다"며 "대표이사를 포함한 대대적 인적쇄신과 IT 인프라 전면 개편을 연말까지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yunyun@newspim.com 2025-09-18 17:02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