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5/25 홍콩증시종합] 투자심리 회복 '상승마감', '스포츠용품∙블록체인' 강세

기사입력 : 2021년05월25일 17:47

최종수정 : 2021년05월25일 18:11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편집자] 이 기사는 5월 25일 오후 5시4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항셍지수 28910.86(+498.60, +1.75%)
국유기업지수 10792.63(+151.23, +1.42%)
항셍테크지수 8004.37(+127.76, +1.62%)

* 금일 특징주

이녕(리닝 2331.HK) : 69.20(+2.70, +4.06%)
팬트로닉스홀딩스(1611.HK) : 16.30(+1.64, +11.19%)
샤오미(1810.HK) : 27.75(+1.10, +4.13%)
콰이서우(1024.HK) : 205.6(-26.60, -11.46%)
신동방(9901.HK) : 83.50(-0.10, -0.12%)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25일 홍콩증시의 3대 지수가 투자심리 회복세에 힘입어 일제히 상승마감 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5% 상승한 28910.86포인트로,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1.42% 오른 10792.63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1.62% 뛴 8004.37포인트를 기록했다.  

섹터별로는 스포츠용품, 블록체인, 중국 자본 기반의 금융주가 강세를 주도했다. 항셍테크지수 구성종목인 중국 대표 과학기술주 또한 대거 상승했다. 반면 해운, 환경보호 섹터가 두드러진 약세 흐름을 연출했다.

스포츠용품 섹터에서는 대표적으로 이녕(리닝 2331.HK)이 4.06%, 안타스포츠(2020.HK)가 3.51%, 361도(1361.HK)가 3.33%, 특보국제(1368.HK)가 1.77%, 탑스포츠 인터내셔널 홀딩스(6110.HK)가 1.52%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족 인권탄압을 문제 삼아 글로벌 의류브랜드들이 신장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에 대한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중국 내에서는 '애국소비' 열풍이 불었고 이는 중국 국산 스포츠용품 소비 확대로 이어지며 관련 상장사의 주가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 중 탑스포츠 인터내셔널 홀딩스의 경우 양호한 2020년 실적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2020년 영업수익은 360억900만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6.88% 증가했다. 이는 시장전망치인 358억2200만 위안을 상회하는 수치다. 같은 기간 순익은 27억7000만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26% 늘었다.

[사진 = 텐센트증권] 25일 홍콩항셍지수 주가 추이.

블록체인 섹터에서는 대표적으로 팬트로닉스홀딩스(1611.HK)가 11.19%, 전진홀딩스(1499.HK)가 8.11%, 웅안기술(1647.HK)이 3.64%, 메이투(1357.HK)가 1.50%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북미지역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이 비트코인 채굴에 수반되는 막대한 에너지 사용량을 표준화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협의기구를 만들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비트코인 가격이 반등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오전장에서 두드러진 낙폭을 기록한 교육 섹터는 대체로 하락한 가운데, 일부 종목은 오후장 들어 낙폭을 크게 축소하며 상승 마감했다.

대표적으로 뉴소프트교육기술(9616.HK)이 13.82%, 풍엽교육(1317.HK)이 0.61%의 상승폭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반면, 다샨에듀케이션홀딩스(9986.HK)가 6.98%, 베스트스터디교육그룹(3978.HK)이 6.97%, 천립교육국제홀딩스(1773.HK)가 4.38%, 희망교육그룹(1765.HK)이 3.67%의 낙폭을 기록했다. 오전장에서 장중 14%까지 급락한 뉴오리엔탈에듀케이션&테크놀로지그룹(신동방 9901.HK)은 오후장 들어 낙폭을 대폭 축소, 0.12% 하락 마감했다.

중국 당국의 사교육 업계에 대한 규제 확대 움직임이 전 거래일에 이어 교육 섹터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 가운데, 이날 베이징하이뎬구교육위원회(北京市海澱區教委)가 여름철 방학기간 사교육 금지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오전장에서 교육 섹터의 대다수 종목이 급락했다. 하지만, 이후 베이징하이뎬구위원회가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즉시 해명에 나서면서 낙폭이 축소됐다. 

항셍테크지수 구성종목들도 대거 상승했다. 텐센트(0700.HK)가 4.18%, 샤오미(1810.HK)가 4.13%, 화훙반도체(1347.HK)가 2.41%, 메이퇀(3690.HK)이 2.07%, 바이두(9888.HK)가 1.85%, 비야디전자(0285.HK)가 1.59%, 제이디닷컴(징둥 9618.HK)이 0.92%, 넷이즈(9999.HK)가 0.61%, 알리바바(9988.HK)가 0.49% 상승 마감했다.

샤오미의 경우 글로벌 벤치마크 주요 지수인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지수에 재편입 됐다는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FTSE러셀은 샤오미와 뤄쾅테크놀로지(籮筐技術·LUOKUNG)를 두 단계로 나눠 FTSE글로벌주가지수시리즈(FTSE GEIS)에 편입한다고 밝혔다. 우선 내달 7일부터 주식의 50%를 지수에 반영시키고, 나머지 50%의 주식은 내달 21일부터 반영시킬 예정이다.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는 샤오미 등 중국기업 9곳을 중국군과 연관 있는 기업으로 판단해 블랙리스트에 추가했고, 이에 FTSE 러셀은 샤오미와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뤄쾅테크놀로지를 주요 지수 구성 종목에서 제외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항셍테크지수 구성종목 중 하나인 콰이서우(1024.HK)는 11.46% 급락했다. 이날 거래에 앞서 공개된 부진한 1분기 실적이 주가 하락세를 이끈 주된 배경이 됐다.

콰이서우는 24일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영업수익은 17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망치인 170억1700만 위안을 소폭 하회하는 수준이다. 순이익은 577억5000만 위안의 손실을, 조정후 순이익은 49억2000만 위안의 손실을 기록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김주애, 아빠 따라 첫 외교무대 데뷔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주애(12)가 중국 방문길에 동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일 밤 김정은의 베이징역 도착 소식을 전하면서 3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일 오후 전용열차 편으로 베이징역에 도착해 중국 측 인사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김정은 뒤편으로 딸 주애(붉은 원)와 최선희 외무상이 보인다. 김주애가 해외 방문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09.02 yjlee@newspim.com 여기에는 환영나온 왕이 외교부장 등 중국 측 인사와 만나는 김정은 바로 뒤에 서있는 딸 주애가 드러난다. 김주애가 해외 방문에 나선 건 지난 2022년 11월 공개석상에 등장한 이후 처음이다. 김주애는 검은색 바지 정장 차림으로 김정은을 따라 전용열차에서 내렸고, 그 뒤는 최선희 외무상이 따랐다. 그러나 붉은 카페트를 걸어가는 의전행사에는 빠져 공식 수행원에 명단을 올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주애가 중국 전승절(3일) 행사참석을 위해 방중한 김정을을 수행함으로써 그의 후계자 지명 관측에는 더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또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와 김정은이 만나는 자리에 주애가 동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알현 행사' 성격을 띠게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yjlee@newspim.com 2025-09-02 22: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