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사테크놀로지 촬영, 남포에 유조선 정박시설 완공
"석탄 수출로 외화 벌지 못해 유류 구입 못하는 듯"
[서울=뉴스핌] 이영섭 기자 = 북한 남포에 건설된 새 유류 탱크 지대 앞으로 유조선 정박 시설이 완공됐다. 다만 이 같은 유류 저장시설 확충 움직임과 대조적으로 최근 이곳을 드나드는 유조선의 숫자가 급감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북한이 외화 부족 상황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2일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지난달 5일 '맥사테크놀로지'가 촬영해 '구글어스'에 공개된 위성사진에 따르면, 이 시설은 육지로부터 약 120m 떨어진 연결부위 끝으로 양 옆에 각각 길이 약 40m의 선박 접안용 구조물이 설치된 형태를 하고 있다.
기존 유류 저장시설이 밀집한 지역에서 서쪽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 완공된 접안시설. Maxar Technologies / Google Earth [사진=미국의소리(VOA)] |
이 시설의 육지 부분에는 최근 완공된 약 10m높이의 유류 탱크 3개가 서 있다.
앞서 북한은 2019년 말부터 기존 유류 저장시설이 밀집한 지역에서 서쪽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저장시설, 즉 유류 탱크 3개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올해 초부턴 이 탱크 바로 앞바다에 유류를 하역할 수 있는 접안시설 공사를 시작한 바 있다.
VOA는 "이처럼 유류 탱크와 접안시설까지 완공되면서, 북한은 기존 유류 저장시설이 아닌 새로운 지역에서도 유류를 하역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북한은 3개의 신규 유류 탱크와는 별도로 최근 새로운 유류 저장시설 확충에 나서는 모습을 보인 바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엔 지름 약 32m의 원형 부지 4개와 지름 25m의 부지 1개가 조성된 것으로 나타났고, 지난달 촬영된 위성사진을 통해 이들 부지에 자재가 놓이고 주변에 덤프 트럭이 발견되는 등 공사가 한창인 정황이 확인됐다.
다만 이 같은 유류 저장시설 확충 움직임과 대조적으로 최근 이곳을 드나드는 유조선의 숫자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VOA가 일일 단위 위성사진 서비스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자료를 확인한 결과, 올해 3월부터 약 3개월 동안 남포 유류 하역시설 일대를 드나든 유조선은 2척에 불과했다.
특히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해상 유류 하역시설이라고 지목한 지점에는 3월 이후 단 한 척도 발견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북한이 외화 부족 상황을 겪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북한 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 미 조지타운대 교수는 1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남포를 통해 유입되는 유류인 휘발유와 경유, 등유 등은 (중국 사업체 등에게) 현금을 주고 사야만 하는 품목이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수출을 하지 못하면서 현금이 없는 상태일 수 있다는 것.
브라운 교수는 또 북한이 최근 석탄 밀수출을 중단했다는 최근 VOA 기사를 언급하면서, "석탄을 통해 외화를 벌지 못해 유류를 구입하지 못하고, 또 외화 대신 석탄을 지급했더라도 결과적으로 유류를 들여올 수 없게 됐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브라운 교수는 "지금 북한은 농업분야에서 트랙터 운용을 위해 많은 양의 경유가 필요하고, 군사적으로도 훈련을 위한 유류 소비가 많을 때"라고 말했다.
북한 엘리트 출신으로 중국 등에서 석탄무역업에 종사했던 탈북민 이현승 씨도 같은 분석을 내놨다.
이현승 씨는 "지금 북한의 상황을 보게 되면 코비드 때문에 국경도 다 닫고 제재 때문에 경제 활동이 많이 위축된 것을 우리가 볼 수 있다"며 "그래서 경제 쪽으로 그리고 수출이 적어지게 되니까 북한 내에 돈이 모자라게 되고, 돈으로 연유로 사올 수 있는 능력이 안 되는 거죠"라고 말했다.
nevermi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