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찬걸 군수 "신한울3,4호기 피해보상·건설 재개 동시 이행" 강조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울진군의회원전특별위원회(원특위)와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범대위)가 12일 오전 한울원자력발전소 정문 앞에서 집회를 갖고 "'정부 약속 원전'인 신한울3,4호기 건설 재개와 정부의 일방적 파기에 따른 피해보상"을 촉구했다.
이날 원특위와 범대위는 '신한울3,4호기 건설 재개 촉구 100만 서명 돌파'를 기한 피켓시위를 갖고 "지난 2018년 12월부터 진행한 '탈원전 정책 반대 및 신한울3,4호기 건설 재개 범국민서명운동' 전개해 100만명 서명을 돌파했다"며 "정부는 이제라도 국민의 뜻을 받들어 무조건적인 탈원전정책을 폐기하고 국가와 국민의 약속인 '신한울3,4호기 건설'을 즉각 재개할 것"을 요구했다.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울진군의회원전특별위원회와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가 12일 오전 한울원자력발전소 정문 앞에서 집회를 갖고 " '정부 약속 원전'인 신한울3,4호기 건설 재개와 정부의 일방적 파기에 따른 피해보상"을 촉구하고 있다. 2021.10.12 nulcheon@newspim.com |
이들 범대위는 성명을 통해 " 범국민 서명운동이 100만명 돌파로 정부의 탈원전 정책 허구가 드러났다"고 주장하고 △ 신한울3,4호기 건설 즉각 재개 △국가 탄소중립과 원자력산업 생태계 유지위한 일관성있는 원전정책 수립 △정부의 일방적 신한울3,4호기 건설 파기에 따른 경제적 보상 등 울진지역 특별대책 수립 등으로 촉구했다.
이날 집회장을 찾은 전찬걸 군수는 "울진군민은 신규원전 건설은 반대한다. 신한울3,4호기는 '정부 약속원전'이다. 울진군민의 요구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파기한 약속을 이행하라는 것이다"며 "정부는 즉각 건설재개와 함께 일방적 파기에 따른 피해보상을 선행해야 한다"며 정부의 일방적 탈원전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전찬걸 울진군수가 12일 울진군의회 원전특위와 울진범대위가 한울원전본부 앞에서 가진 '100만서명 돌파 신한울3,4호기 건설 재개 촉구' 집회에서 "신한울3,4호기 피해보상과 건설 동시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2021.10.12 nulcheon@newspim.com |
전 군수는 또 "정부는 신한울3,4호기 일방적 파기에 따라 정부가 앞장서 구성한 '청와대-울진군 협의체'마저 가동을 하지 않고 있다"며 "현재 울진군이 경북도와 함께 진행하고 있는 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따른 지역의 사회경제적 손실 보상을 위한 피해 조사 용역 결과에 따라 울진지역 경제회생을 위한 특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정부의 대책마련을 거듭 요구했다.
손병복 전 한울원자력본부장은 이날 자유발언을 통해 "전 지구적 위기로 대두하고 있는 기후변화 등에 대처하기 위한 탄소 중립은 원자력 에너지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정부와 울진군민 간의 약속인 신한울3,4호기 건설은 즉각 재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집회는 성명서 발표와 서명부 전달, 릴레이 자유발언 순으로 진행됐다.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경북 울진군의회원전특별위원회와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가 12일 오전 한울원자력발전소 정문 앞에서 '100만명 서명 돌파 신한울3,4호기 건설 재개 촉구' 집회를 가진 후 서명부와 성명서를 한수원측에 전달하고 있다. 2021.10.12 nulcheon@newspim.com |
장유덕 원특위원장과 김윤기 범대위 집행위원장은 이날 공동 발표한 성명서를 100만 서명부와 함께 최규은 한수원 신규원전관리실장을 통해 한수원측에 전달했다.
또 원특위와 범대위는 국감 일정을 고려해 빠른 시일 내에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를 항의 방문하고 '100만 서명부' 전달과 함께 '건설 재개' 촉구 운동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100만 서명 돌파' 피켓 시위에는 코로나19 방역수칙을 반영해 전찬걸 군수, 장선용 군의장, 방유봉 경북도의원을 비롯 울진군의회 의원, 울진범대위 소속 사회단체, 주민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