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전국 경북

속보

더보기

'울진산불' 16일 기준 피해 규모 1274억5587만원 잠정 집계

기사입력 : 2022년03월17일 16:32

최종수정 : 2022년03월17일 16:32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입력분...송이산 등 포함하면 크게 증가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9박10일'간 이어진 '울진산불'로 발생한 피해규모가 16일 오후 6시 기준 1274억5587만5000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날의 피해 규모 1274억5500만원에 비해 47억3200만원이 늘어난 규모이다.

이 집계는 16일 오후 6시 기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된 것만을 집계한 것으로 조사가 완료되면 그 규모는 훨씬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송이산지 등 NDMS에 입력할 수 없는 피해 분야를 합하면 피해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9박10일간 이어진 '울진산불'로 폐허로 변한 경북 울진군 북면 나곡리 소재 나곡쓰레기 소각장.2022.03.17 nulcheon@newspim.com

17일 경북도의 '울진 대형산불' 대처 상황 자료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도로, 소하천, 상하수도, 수리시설 등 공공시설 64곳이 피해를 입었다. 피해 규모는 1192억7456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또 사유시설로는 주택 181동이 전소돼 30억4200만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농작물 19만4119㎡가 불에 타고 가축 4049마리가 피해를 입었다.

또 축사 6431동이 화마에 할켜 7억3805만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어망·어구 2596통이 소실돼 5억2301만6000원의 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됐다.

비닐하우스 2만6139㎡가 불에 타 피해규모는 4억294만4000원으로 집계되고 기타 1301개소가 전소되거나 훼손돼 피해규모는 34억7176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울진산불'로 보금자리를 앗긴 이재민은 219세대 335명이며, 지역별로는 북면이 152세대 220명으로 가장 많고, 죽변면이 37세대 67명, 울진읍이 30세대 48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이재민들은 13개소의 마을회관 등에서 35세대 56명이, 7곳의 숙박시설에서 114세대 167명이 임시거주하고 있다. 또 친인척집 등으로 피신해 거주하는 이재민은 70세대 112명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피해 규모를 살펴보면 나곡쓰레기처리장이 전소돼 67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산불로 나곡쓰레기처리장의 소각장, 선별장, 침출수처리장, 매립장 등이 전소됐다.

이번 산불로 생활폐기물 소각과 침출수처리장 소실로 매립장 침출수 처리 등이 전면 중단됐다.

산림분야의 경우 이번 산불로 산림 1만8463ha가 소실되거나 영향을 받았다.

현재 피해조사가 진행된 지역은 울진읍 2개리와 북면 5개리 등 1만46ha규모이며 피해액은 1035억4200만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 임도 1163(5.56km), 사방시설 4333(17개소), 가로수 723(2,313본), 휴양시설 1161(목교, 펜스, 데크 등), 산불감시탑 900(6개소)등 공공시설이 훼손돼 82억8000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현재까지 사유시설의 피해 규모는 정확하게 집계되지 않았다.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9박10일간 이어진 '울진산불'에 잿더미로 변한 경북 울진군 북면 나곡리 태봉마을의 한 양봉농장의 처참한 모습. 2022.03.17 nulcheon@newspim.com

축산분야는 한우 9두가 폐사하고 92두가 화마에 시달려 건강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양봉 2991군(벌통)이 전소되고 개 35마리, 염소 8마리, 가금 578마리, 토끼 120마리 등 가축 741마리가 피해를 입었다.

이와함께 축사 12동이 전파되거나 반파되고 볏짚조사료 2500롤이 불에 탔다.

농업분야는 비닐하우스 99동(2만5451㎡/60호), 버섯재배사 8동(2310㎡/3호), 저온저장고 29동(514㎡), 가공시설 등 31동(2,767㎡)이 소실되고 농기계 1138대가 불에 탔다. 또 과수(매실 외4종) 농가 60호의 20만2244㎡가 피해를 입었다.

에너지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8건이 불에 전소되거나 소멸됐다.

nulche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사진
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내란 특검(특별검사)'이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에 2차 소환조사 일자를 다시 통지했다. 특검팀이 다시 통지한 일자는 오는 5일 오전 9시다. 박지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이 금일 특검 출석에 응하지 않고 불응했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하라고 통지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5일 오전 9시 출석하지 않는 경우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전날 윤 전 대통령 측이 제출한 의견서에서 5일 이후 출석에는 응하겠단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만약 그때도 출석에 응하지 않으면 요건이 다 갖춰진 이상 법원에서도 (체포영장을) 내주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특검보는 특검이 재통보한 일정에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1:2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