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원 상무회의, 일주일간 두번이나 통화 완화 시사
전문가, 이번 지준율 인하는 '전면적 인하' 될 것
역대 지준율 인하 뒤 A주 상승 확률 높아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정부가 통화정책 완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지급준비율(지준율) 및 급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대두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조치가 최근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중국 증시의 반등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바이두(百度)] |
◆ 통화 정책 완화 거듭 강조, 일주일 새 두 번
전날인 13일 열린 상무회의에서 리커창 총리는 "최근의 경제 사회 상황 변화에 대응해 대손충당급 적립 수준이 높은 대형 은행이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을 인하하도록 장려할 것"이라며 동시에 "지준율 인하 등의 통화정책 수단을 적절한 시기에 사용해 실물 경제, 특히 전염병 영향을 크게 받은 업종 및 중소기업, 자영업자에 대한 금융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이 같은 통화 정책 완화 발언은 최근 일주일 간 벌써 두 번째 나온 것이다. 앞서 이달 6일 열린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도 "적절한 시기에 다양한 통화정책 수단을 유연하게 운용하여 실물 경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는 점이 강조된 바 있다.
국무원의 잇딴 통화 정책 완화 시그널 방출은 경기 하강 압력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중국 국내외에서는 중국이 연초 제시한 올해 국내총생산(GDP) 목표치 5.5% 내외 달성에 비관적인 목소리고 커지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부동산 시장이 침체돼 있고, 상하이·선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소비가 위축됐으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대외 무역 성장세까지 둔화하는 등 중국 경제 성장을 지탱해 온 주요 동력이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성(民生)은행 원빈(溫彬) 수석 연구원은 "현재 중국 경제는 3중 압력(수요 감소·공급 충격·기대 약화) 압력과 총 수요가 부진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적절한 시기의 지준율 인하는 시장 전망 안정과 시장 주체 자신감 회복, 수요 개선 및 확대에 도움을 주어 거시경제 큰 흐름을 안정시키고 경제를 합리적 구간에서 운영하는 데 긍정적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지준율 인하 '초읽기', 15일 장 마감 후 단행 가능성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가 강한 만큼 전문가들은 통화정책 완화 조치가 빠른 시일 내에 단행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사실 시장에서는 한달 여 전부터 기준금리 혹은 지준율 인하 가능성을 점쳐 왔다. 이달 11일 미중 10년물 국채 금리가 2010년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역전(미국 국채 금리가 중국 보다 높은 것)되면서 중국 통화정책 운용에 상당한 부담을 초래했음에도 그간 위안화 가치가 강세를 이어왔던 만큼 미중 금리 역전에 따른 자본 유출이나 위안화 평가 절하 압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준금리 인하가 실물 경제 부양에 더욱 직접적인 효과를 내긴 하지만 기준금리 인하 보다는 지준율 인하가 선행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특히 이번에는 업종이나 은행 규모 별로 차이를 두는 '맞춤형' 인하 보다 금융기관 전반에 대한 '전면적'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고 중국 유명 경제학자 런쩌핑(任澤平)은 전망했다. 다른 방식의 지준율 인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현재 경기 하방 압력이 상당한 상황에서 정책적으로 강력한 리스크 해징이 필요하다면서 전면적 지준율 인하를 통해 1조 위안의 유동성 공급 효과를 낼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지준율 인하가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예상한다. 그동안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지준율 인하를 언급한 이후 일주일 내에 중앙은행이 인하 결정을 이행했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됐다. 빠르면 금주 마지막 거래일인 15일 증시 거래 마감 이후 인하 결정이 발표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실제로 지난해 7월 7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적절한 시기에 지준율 인하 등 통화정책 수단을 운용할 것"이라고 밝힌 뒤 이틀 만에 중앙은행은 금융기관의 지준율을 0.5%p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2월에도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적절한 시기에 지준율을 인하할 것"이라고 언급한 지 3일 만에 지준율이 인하 됐다.
[사진=차이롄서(財聯社)] 최근 10년 지급준비율 인하 뒤 A주 흐름 |
◆ 증시 '대형 호재', A주 반등할까?
지준율 인하가 기정 사실로 자리잡은 만큼 이것이 A주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준율 인하는 통상 증시에 '대형 호재'로 여겨진다. 유동성이 늘어나 실물 경제가 살아나면 증시 또한 자연히 활기를 띄게 마련이고, 증시가 상승하면 증시로 유입되는 자금이 더욱 늘어나는 선순환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역대 지준율 및 기준금리 인하 뒤 증시 상황 역시 이 같은 논리를 뒷받침한다. 중국은 2020년 이후 5번에 걸쳐 지준율을 인하했는데, 지준율 인하 발표가 나온 다음 날과 이후 5거래일 동안 상하이종합지수가 상승한 확률이 8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증시는 올들어 부진한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상하이종합지수의 경우 연초 대비 현재 12% 가량 하락한 상황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대외적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관망세가 짙어졌고 증시 이탈 자금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에 미중 10년물 국채금리 역전 상황이 나타났던 11일에는 상하이종합지수가 2% 이상, 선전성분지수와 촹예반지수는 각각 3% 이상, 4% 이상 주저앉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A주가 급반등 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펼치고 있다. 중국 증시가 연초부터 하락한 것은 사실이지만 바닥이 어디인지는 알 수 없다는 지적이다.
다만 정부의 완화 기조가 확실한 만큼 시장이 결국 상승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특히 지준율 인하로 경기가 살아나게 되면 기업 실적 개선에도 도움을 주어 결국에는 투심을 자극할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다수 전문가는 그러면서 '안정적 성장' 기조하에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고 인프라 건설이 속도를 낼 것이라며 '안정적 성장' 테마주인 부동산과 인프라·금융 등을 정부 정책 수혜 섹터로 꼽았다.
한편 상하이종합지수는 통화 정책 완화 시그널이 나온 13일 상승 전환하는 듯 했으나 장 마감 직전 또 다시 반락하며 전 거래일 대비 0.83% 하락했고, 선전성분지수와 촹예반지수는 각각 2% 내외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14일 오늘도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는 1% 이상 올랐지만 촹예반지수는 약보합으로 마감하며 혼조세를 나타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2022년 이후 주가 추이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