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中 메타버스 투자 열기 재가열...'대형자본+정책'에 성장성 낙관

기사입력 : 2022년06월22일 12:48

최종수정 : 2022년06월22일 12:5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21일 A주 하락 속 '메타버스' 테마주 강세 뚜렷
주가 저점+정부지원+기업투자 활발 등이 호재로 꼽혀
향후 5년 연평균 30% 이상 안정적 성장 예상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증시 메타버스 테마주들이 재조명 되고 있다. 중국 대표 '빅테크'의 메타버스 사업 강화 소식이 그간 주춤했던 테마주들의 상승을 자극하는 모습이다. 대형 자본의 진출이 잇따른 데 더해 중국 정부 차원에서도 산업 육성을 위해 두팔을 걷어붙이면서 업계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중국 증시가 하락했던 21일 메타버스 테마주들은 일제히 상승했다. 바오잉구펀(寶鷹股份·보응건설, 002047) 중커진차이(中科金財·중과금재, 002657)가 각각 10% 내외 상승률을 기록했고 중원자이셴(中文在線·중문재디지털출판, 300364)이 6.4%, 안제커지(安潔科技·안결과기, 002635)는 4.65% 올랐다.

이날 메타버스 섹터 강세는 중국 대형 IT기업 텐센트(騰訊)가 메타버스 시장을 겨냥한 전담 사업팀을 신설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한 결과다. 21세기경제보도(21世紀經濟報道) 등 매체 보도에 따르면 텐센트 그룹은 지난 20일 내부 공개 메일을 통해 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IEG) 사업부 산하에 확장현실(XR) 전담부서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선리(沈黎) 텐센트 게임즈 글로벌 최고기술책임자(CTO)가 해당 부서 책임자로 낙점돼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관련 콘텐츠 생산에서부터 VR 관련 디바이스 개발 등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셔터스톡]

◆ 5년 뒤 시장규모 최소 24조원...'가상인간' 주목할 만  

업계는 텐센트의 이번 결정을 메타버스 시장 공략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한다. XR은 VR과 AR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현실을 확장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 모두를 포함한다. XR 기술력을 확보함으로써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의 토대를 다지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중국 증시가 4월 말 저점을 찍고 반등 움직임을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메타버스 테마주들을 낙관하는 목소리가 최근 다시 커지고 있다. 5월 들어 메타버스 섹터의 회복세가 가시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달 21일까지 최근 한달간 완롄(萬聯)증권, 중진공사(中金公司), 톈펑(天風)증권 등 13개 증권사가 메타버스 업계 연구 보고서를 내놨다.

아직까지 개념이 모호하긴 하지만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성이 크다는 데 이견이 없고 관련 테마주들의 주가가 이미 바닥을 찍었다는 주장이 상당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사람들의 생활 공간이 오프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옮겨진 것 역시 관련 산업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수 증권사는 특히 가상인간을 메타버스 세부 섹터 중 유망 섹터로 평가했다. 민성증권은 "메타버스는 VR과 AR 융합의 중요한 플랫폼이고 가상인간은 전체 산업 중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며 "메타버스 관련 핵심 기술 중 가상인간이 메타버스 시대로 향하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2021년의 460억 달러(59조 6114억 원)에서 2025년 280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산업정보 플랫폼 중상칭바오왕(中商情報網)은 중국 메타버스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32.98%씩 안정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시장 규모가 2027년이면 1263억 5000만 위안(약 24조 3931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궈신(國信)증권은 중국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2025년 3400억~6400억 위안까지도 커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아이리서치는 중국의 가상인간 시장 규모가 2022년 120억 위안에 달하면서 관련 시장 전반 규모를 1866억 위안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시 투자자들에게 있어 메타버스는 낯선 주제가 아니다. 지금은 사명을 '메타'로 바꾼 페이스북과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 기업은 물론, 바이두(百度)·텐센트·빌리빌리 등 중국 기업들까지 메타버스에 뛰어들면서 중국 증시에서도 한바탕 메타버스 테마주 투자 '광풍'이 불었었다. 게임 등 IT 기술 기반 기업들은 너도나도 메타버스 사업 추진을 선언하면서 세계적인 상승세에 올라탔다.

그러나 중국 증권 당국의 경고가 메타버스 테마주 투자 열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난해 9월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 정취안스바오(證券時報)가 "메타버스란 허황된 개념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다가는 결국 돈주머니만 털릴 것"이라면서 메타버스의 실체가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경고한 것이다.

여기에 더해 주가가 단기 내에 급등한 점, 테마주로 분류되지만 관련 사업 실체가 모호하고 성장성 검증이 안 된다는 점 등 리스크가 부각되고 올초 중국 증시 전반이 부진하면서 '(메타버스와)스치기만 해도 오른다'는 메타버스 투자 열풍은 사그라들었다.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2022.06.22 hongwoori84@newspim.com

◆ 中 정부, 리스크 경고했지만 산업 발전은 지원 

중국 정부 역시 메타버스 산업에 주목하고 있다. 자본의 무분별한 확장과 그로 인한 투자 리스크에 주의를 당부하는 경종을 울리면서도 동시에 메타버스를 미래 성장을 견인할 장기 육성 산업 중 하나로 바라보고 있다.

올해 초 가진 정부업무보고에서 "디지털 경제 완비로 데이터 요소의 잠재력을 발산하고 경제 성장 및 인민 복지에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강조된 가운데 디지털 경제가 성숙해지는 만큼 메타버스 산업 역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부처 방침에 호응해 각 지방정부들은 잇따라 메타버스 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 중이다. 가장 최근에는 상하이시 정부가 메타버스를 녹색 저탄소·스마트 디바이스·디지털 경제와 함께 4대 신(新) 투자 업종으로 분류하고 관련 투자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상하이시는 ▲100억 위안 규모의 메타버스산업기금 조성으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선두기업 10개 육성 ▲핵심 기술력 갖춘 전정특신(전정특신(專精特新·전문성∙정밀성∙특수성∙혁신성을 갖춘 강소기업) 100개 육성 등을 목표로 제시하며 2025년까지 시 메타버스 산업 규모를 3500억 위안 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선언했다.

상하이시는 앞서 지난해 말 발표한 '전자정보 제조업 발전 '14.5계획'에서도 "상하이는 메타버스 등 분야의 선두에 서야 한다"고 언급했다. 지방정부의 14차 5개년 계획 중 메타버스가 포함된 것은 상하이시가 처음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저장(浙江), 산둥(山東), 헤이룽장(黑龍江) 등 6개 성과 베이징(北京), 광저우(廣州), 선전(深圳), 충칭(重慶) 등 17개 시에서 메타버스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고 중국 매체 자커(ZAKER)는 전했다.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2022.06.22 hongwoori84@newspim.com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해커에 행정망 뚫렸다...국정원 "피해사실 확인"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해커집단으로 추정되는 세력이 온나라시스템을 비롯한 정부 행정망에 침투해 자료를 열람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정보원은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공부문 및 민간업체의 해킹피해 상황을 전하면서 "지난 7월 온나라시스템 등 공공ㆍ민간분야 해킹 첩보를 사전에 입수, 행안부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정밀 분석을 실시해 해킹 사실을 확인하고 추가피해 방지를 위한 대응에 적극 나섰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국정원이 17일 정부행정망 온나라시스템에 대한 해킹 피해 사실을 공개하면서 설명을 위해 제공한 해커들의 침투 개요도. [사진=국정원] 2025.10.17 yjlee@newspim.com 국정원은 "해커는 먼저 다양한 경로로 공무원들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ㆍ패스워드 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이며, 인증체계를 면밀히 분석한 뒤 합법적 사용자로 위장해 행정망에 접근한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후 인증서(6개) 및 국내외 IP(6개)를 이용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행안부가 재택근무를 위해 사용하는 원격접속시스템(G-VPN)을 통과,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열람했다"고 밝혔다. 점검 결과, 정부 원격접속시스템에 본인확인 등 인증체계가 미흡하고 온나라시스템의 인증 로직이 노출되면서 복수기관에 접속이 가능하였고 각 부처 전용 서버에 대한 접근통제가 미비한 것이 사고원인으로 드러났다. 이에따라 국정원은 해커가 악용한 6개 IP주소를 全 국가ㆍ공공기관에 전파ㆍ차단하는 등 해커의 접근을 막는 긴급 보안조치를 단행했다. 또 △정부 원격접속시스템 접속시 ARS 등 2차 인증 적용 △온나라시스템 접속 인증 로직 변경 △해킹에 악용된 행정업무용 인증서 폐기 △피싱사이트 접속 추정 공직자 이메일 비밀번호 변경 △각 부처 서버 접근통제 강화 △소스코드 취약점 수정 등의 조치를 통해 추가 해킹 가능성을 차단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다른 부처에도 해킹 정황은 드러났다. 국정원은 "A 부처 행정메일 서버 소스코드 노출이 확인되었는데 해킹에 악용될 우려가 있어 개발업체와 함께 소스코드를 분석해 보안이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수정했다"며 "또 일부 패스워드가 노출된 B 부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의 패스워드를 변경했다"고 밝혔다.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 본부 청사와 원훈석 [뉴스핌 자료사진] 해커가 구축한 피싱사이트에 접속한 것으로 보이는 180여개의 공직자 이메일 계정에 대해서도 해킹 가능성에 대비해 전체 비밀번호를 변경했으며 현재까지 이로 인한 별다른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또 민간의 경우 서버인증서 노출, 원격관리시스템(VPN) 접속 페이지 노출 등의 피해가 있어 해당업체에 위험성을 통보, 보안조치를 요청했으며 통신업체에 대해서는 과기정통부가 피해여부를 별도로 확인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의 배후와 관련 국정원은 "미국 해커 잡지인 '프랙'은 이번 해킹을 자행한 배후로 북한 '김수키' 조직을 지목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번 해킹에서 확인된 해커 악용 IP주소 6종의 과거 사고 이력, GPKI 인증서 절취 사례 및 공격방식ㆍ대상의 유사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중이지만 현재까지 해킹소행 주체를 단정할만한 기술적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 "해커가 한글을 중국어로 번역한 기록, 대만 해킹을 시도한 정황 등이 확인 되었지만 국정원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해외 정보협력기관 및 국내외 유수 보안업체와 협력해 공격 배후를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창섭 국정원 3차장은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행정망은 국민의 생활과 행정 서비스의 근간인 만큼, 진행중인 조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범정부 후속대책을 마련해 이행할 계획"이라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yjlee@newspim.com 2025-10-17 13:31
사진
전 프로야구 선수 조용훈, 생방송 중 추락사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국가대표 출신 전직 프로야구 선수 조용훈(37)씨가 경기 부천시의 한 아파트 옥상에서 추락해 숨졌다. 17일 경기 부천 원미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24분께 부천시 원미구 소재 아파트 옥상에서 조씨가 추락했다는 신고가 112에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서 이미 숨진 조씨를 발견해 경찰에 인계했다. 119 구급차.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뉴스핌 DB] 조씨는 사고 당시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던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 중 옥상에서 이상 행동을 보이자 이를 지켜보던 시청자들이 즉각 경찰에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씨는 2006년 투수로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해 넥센 히어로즈 등에서 활약했으며, 2014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유튜버로 활동해왔다. 경찰은 범죄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정확한 사망 경위를 조사 중이다. dconnect@newspim.com 2025-10-17 22:07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