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7개 이상의 美 유니콘 기업 정리해고
핀테크·암호화폐·부동산 스타트업 피해
코로나 수혜 업종과 로봇 관련 산업도 타격
[편집자주] '여기는 실밸'은 돈과 인재가 몰리는 실리콘밸리의 벤처투자자(VC)들이 주목하고 있는 유망한 기업들을 소개합니다. 향후 기업공개(IPO) 가능성이 있는 유망한 기업이나 유니콘 기업들을 브리핑 해드립니다. '여기는 실밸'에서 실리콘밸리의 최신 산업 트렌드 및 기업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리콘밸리=뉴스핌]김나래 특파원=최근 실리콘밸리 기업인 애플(APPL), 트위터(TWTR), 페이스북의 모기업 메타(META), 알파벳 자회사인 구글(GOOG) 등이 신규 채용을 줄이거나 정리해고 등을 단행하며 허리띠를 졸라 매고 있다. 빅테크 기업들의 긴축에 스타트업 투자에 대한 우려도 커지며 이들 역시도 신규 채용 중단과 감원을 단행하고 있다.
실리콘밸리는 '스타트업의 성지'로 불리며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도 막대한 투자 바람을 이끌어냈지만, 최근 글로벌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가 계속되면서 스타트업들은 기업가치 하락으로 상장 연기와 구조조정 등 후폭풍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18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는 현재 2분기 벤처캐피털 데이터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스타트업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와 실제 느끼는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고 진단했다. 물론 투입하는 자본은 둔화되고 있지만 적어도 아직까지는 미국 내 숫자가 예상만큼 치명적이지 않다는 것이 테크크런치의 분석이다. 다만 업종별로 확연한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리해고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 채용 플랫폼인 트루업(Trueup)은 2022년 초부터 현재까지 117개 이상의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이 정리해고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해고가 가장 많았던 업종은 핀테크이며 암호화폐와 부동산이 그 뒤를 이었다.
최근 주목할만한 핀테크 기업의 정리해고에는 1년 전 10억 달러 가치 평가를 달성한 이후 직원의 18%를 감원한 핀테크 유니콘 '어마운트'다. 이 기업은 골드만삭스와 웨스트캡(WestCap) 등으로부터 현재까지 총 2억43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또 실리콘밸리 핀테크 스타트업인 메인스트리트는 자본 확충을 추진하기 몇 주 전에 직원의 30%를 감원했다. 이 회사는 세금 환급·자금 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 3월 투자 유치 당시 기업가치 5억 달러를 인정받았지만 현재 가치는 반토막 이상까지 하락했다.
[샌프란시스코=로이터 뉴스핌]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에 입주한 IT 기업 사무실. |
테크크런치는 최근 핀테크 기업들의 급격한 위축은 지난해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고 평가했다. 테크크런치는 "이같이 급격한 정리해고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급격한 자본이 투자된 성장에 베팅해야 하는 업종 특성상 향후 수익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압력이 있을 때 이같은 분야는 그럴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핀테크와 암호화폐는 지난 몇 년 동안 쏟아진 높은 혁신으로 인해 투자를 크게 늘린 만큼 해고의 수가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수혜를 입었던 업종에 대한 타격도 크다. 팬데믹 기간 놀라운 성장을 보였던 가상 이벤트 플랫폼인 호핀은 최근 가치가 77억 5000만 달러로 평가됐으며 전체 직원의 29%, 즉 242명을 해고했다. 이같은 감원은 호핀이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전체 직원의 12%를 해고한 지 불과 4개월 만에 연이은 조치다.
호핀은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현재 거시적인 경제 환경과 수익성 있고 지속 가능한 회사를 위해 비지니스 단순화가 필요하게 됐다"고 밝혔다.
호핀은 코로나가 확산되고 있지만 대면 업무와 오프라인 이벤트 등이 재개되면서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호핀은 지난해 스트림야드의 2억 5000만 달러 인수를 포함 5개의 신생 기업을 인수한 해와 크게 달라진 행보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 수혜주인 식료품배달업체 인스타카트도 기업가치가 추락하고 있다. 인스타카트는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공개로 IPO 서류 통해 지난 3월 기업가치를 기존 390억달러에서 240억달러로 대폭 낮췄다. 코로나팬데믹 기간 배달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파르게 성장했지만 최근 코로나 확산이 완화되면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여기에 팬데믹 기간 호황을 누렸던 로봇 공학과 자동화 스타트업도 위축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음식 배달업체 도어대시의 음식제조 로봇 초보틱스 사업 중단이다. 도어대시는 지난해 초보틱스를 인수하면서 초보틱스의 음식 만들어 주는 로봇인 '샐리'가 자동화된 음식 생산으로 식당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 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외신들은 "불행히도 초보틱스는 인수 거래가 발표된 지 불과 17개월 만에 의사 결정의 희생자가 됐다"고 평가했다.
ticktock032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