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0년 국민이전계정 발표
총소비 1081.8조 vs 노동소득 984.3조
1인당 적자 16세 3370만원 가장 높아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2020년 전체 연령별 노동소득에서 총소비를 뺀 생애주기적자액이 97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유년층과 노인층의 경우 소득보다 교육이나 의료비로 지출되는 소비비용이 많아 적자가 발생한 반면, 노동연령층에서는 흑자구조를 나타냈다. 노동연령층이 벌어들이는 소득으로 유년층과 노인층을 부양하는 셈이다.
◆ 2020년 총소비 1081.8조…공공소비 '늘고' 민간소비 '줄고'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재작년 총소비는 1081조8000억원, 노동소득은 984조3000억원으로 나타나 총97조5000억원의 생애주기적자가 발생했다.
소비는 줄고 노동소득은 늘면서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차감한 생애기주적자 규모는 감소했다. 소비는 전년대비 1.9% 감소한 반면, 노동소득은 전년대비 1.5% 증가했다.
2020년 국민이전계정 [자료=통계청] 2022.11.29 jsh@newspim.com |
구체적으로 소비는 전년대비 1.9% 감소한 108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공공소비(국가나 공공단체의 경제활동에 쓰이는 지출행위)는 전년대비 6.5% 증가한 반면, 민간소비는 5.5% 감소했다. 특히 공공교육소비 총량값은 전년대비 7.4% 증가한 71조2000억원을 나타냈다.
노동소득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98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임금소득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반면, 자영자노동소득은 21.4% 감소했다.
연령계층별 생애주기적자 현황을 살펴보면, 노동연령층(15~64세)은 167조2000억원 흑자를 기록한 반면,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41조8000억원과 122조9000억원 적자를 발생했다.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6세 때 3370만원으로 최대 적자를 나타냈다. 이후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에 진입, 43세에 1726만원으로 최대 흑자를 찍고,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했다.
연도별로 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이다. 적자 재진입 연령은 61세로 나타나 2010년의 56세에서 점차 늦춰지는 경향을 보인다.
1인당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는 16세로 3370만원으로 나타났다. 유년층은 교육소비 영향이 크고, 노년층은 보건소비 영향이 컸다.
1인당 노동소득은 16세까지는 0이다가 점차 증가해 42세에 최대(3725만원)를 찍고 점차 감소하는 모양새다.
◆ 생애주기별 발생 적자, 이전·자산재배분 통해 충당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부분은 이전과 자산재배분을 통해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50조5000억원은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41조8000억원, 105조6000억원씩 이전됐다.
2020년 국민이전계정 [자료=통계청] 2022.11.29 jsh@newspim.com |
정부는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160조6000억원)된 세금과 사회부담금 등으로 유년층(77조9000억원)과 노년층(82조7000억원)에 교육·보건서비스, 아동수당, 기초연금, 연금 등으로 배분했다.
또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89조9000억원은 가족부양 등을 위해 유년층과 노년층에 각각 63조9000억원, 22조9000억원을 순유입했다.
자산을 매개로 한 자산재배분은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입이 발생했다. 특히 공공저축 감소로 공공자산재배분이 2020년 처음으로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