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마이크론 등 감산 결정에도...효과는 제한적
"예상보다 수요감소폭 커...회복시점 불투명"
2023년. 내년도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높다. 국내 산업계는 속속 비상경영에 돌입하고 있다. 미국의 고금리 기조는 여전하고 미·중 간 무역분쟁도 시름을 깊게 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도 그 끝을 알 수 없는 진행형이다. 산업계의 기업들에게는 악재의 연속이다. 내년 비상경영으로 위기를 돌파하려는 산업계의 위기 속 기회 찾기는 어떻게 될 것인지 전망해본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올해 하반기 반도체 업계에 예상보다 더 강한 한파가 불어 닥쳤다. 스마트폰·PC 등 IT 완제품 소비 위축으로 주요 반도체 구매처들이 재고 소진에 나섰고 이에 반도체 가격은 크게 하락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와 SK하이닉스의 실적 악화가 이어지는 상황에 전문가들은 반도체 시장 불황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에선 하반기 업황이 개선되길 기대하고 있지만, 이 역시도 업황이 회복되는 시점을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이닉스 4Q 영업손실 1.5조 전망까지...D램 가격 '뚝뚝'
1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신증권은 SK하이닉스가 4분기 영업손실 1조5390억원, 순손실 9560억원을 기록할 것을 전망하는 보고서를 냈다.
위민복 대신증권 연구원은 "10월 PC 디램 가격 하락에 이어 11월부터 서버 D램 가격 하락폭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전방위 IT 수요는 소비자 구매력 감소로 여전히 부진하고, 급격한 수요 개선과 공급업체의 재고 감소 등은 내년 상반기 중에도 발생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SK하이닉스 이천 M16공장 전경 [제공=SK하이닉스] |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악화되면서 삼성전자 D램 매출 역시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계 D램 매출은 175억4800만 달러로, 전분기 249억8400만 달러에 비해 30% 줄었다.
삼성전자 3분기 매출은 71억33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34% 감소했고, D램 시장 점유율 역시 43%에서 41%로 낮아졌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과 고객사 재고 조정에 가격 하락까지 더해지며 반도체 업황이 본격적인 혹한기에 접어든 것이다.
◆"내년 반도체 업황 개선 시점 불투명"
본격적인 반도체 업황 다운텀에 진입한 반도체 기업들은 감산을 통해 위기 대응에 나서고 있다. SK하이닉스의 노종원 사장은 지난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내년엔 올해 연말까지 투자할 투자액 대비 50% 이상 '캐펙스(CAPEX·자본적 지출)' 감소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면서 "D램과 낸드플래시 영역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투자 감소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컴퓨터 회로판에 부착된 반도체. 2022.02.25 [사진=로이터 뉴스핌] |
미국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인 마이크론 역시 감산을 결정했다. 마이크론은 지난달 당분간 D램, 낸드플래시 등 자사 메모리 반도체 생산량을 줄이겠다며, 생산 공정에 투입하는 웨이퍼 수량을 지난 6~8월 대비 약 20% 축소한다고 밝혔다.
반면 삼성전자의 경우 "인위적 감산은 없다"고 밝혔지만, 업계에선 이 말이 아예 감산하지 않겠다는 말과 같진 않는다고 보고 있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인위적 감산이 없다고 얘기하긴 했지만, 최신 테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장비를 새롭게 세팅하게 되면 생산량이 주는 자연감소분이 있을 수밖에 없다"면서 "인위적 감산은 없다고는 해도 완전히 감산하지 않겠다고 얘기할 순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반도체 기업들의 감산 움직임에도 내년 반도체 업황 반등을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스포스는 "미국 상무부가 중국에 대한 반도체 규제를 확대하고 마이크론이 감산 계획을 발표했음에도 4분기 D램 생산량 감소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내년 1분기 전체 D램 평균판매단가(ASP)는 10% 이상 하락할 전망"이라고 예측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최근 반도체 단가하락이나 수요 감소가 예측보다 폭이 크고, 내년에도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서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이 그나마 개선 여지가 있지만, 업황이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5~6개월은 걸리고 현재로선 내년 개선 시점을 전망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