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人民日报看两会】新职业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在中国兴起

기사입력 : 2023년02월27일 10:00

최종수정 : 2023년02월27일 10:00

纽斯频通讯社首尔2月27日电 在北京市朝阳区的秋果酒店亚运村国家会议中心店大堂,正是中午客流量最大的时段,一个方头方脑的机器人吸引了不少目光。

"电梯来啦,我是为您配送的管家,请让一让。"伴着清脆的提示音,机器人不紧不慢地滑进电梯。走出3楼,机器人稳稳停在8303房间门口,并主动拨通了电话:"主人,您的物品已送达,祝您用餐愉快!"

图为"九号方糖"送物机器人在酒店进行配送工作。 【图片=《人民日报》王英弛摄】

说起这款名为"九号方糖"的机器人,酒店总经理刘秀秀赞不绝口。"受疫情影响,酒店的人手比较紧张,幸亏有了小'方糖',24小时忙不停,承包了大部分送物任务,给我们帮了大忙。"

"方糖"聪明靠谱的背后,离不开一个欣欣向荣的新职业群体——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2021年3月,中国人社部等部门发布的一批新职业中,就包括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

什么是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

"通俗地说,我们就是让机器人更好服务于人的人。"今年30岁的杨越是九号公司商用机器人事业部产品负责人,也是一名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

就在几年前,大家对这个职业还很陌生。"我做工业设计出身,看到机器人在商场、餐厅的身影越来越普遍,感觉这应该是今后的一个发展趋势,就主动转型,加入了服务机器人的行业。"杨越说,近几年,他见证了服务机器人在生活照料、安防巡检、疫情防控等应用场景中大显身手,对功能升级、运营维护等人才的需求也越来越旺盛。

图为杨越在分析服务机器人产品结构。【图片=《人民日报》王英弛摄】

作为工程师,杨越需要不断调试、优化服务机器人的各项功能。"作为新事物,服务机器人刚融入人群时,难免'磕磕绊绊'。我们的工作就像搭建服务机器人和人之间的桥梁,尽量实现二者无缝衔接,带给用户最体贴的感受。"

身处高技术行业,杨越最关心的并非技术本身,而是如何让产品更懂人性。他花费大量时间蹲点调研,体验不同岗位和身份,探寻机器人怎样更好地帮助人。

"我希望机器人提供的不是冰冷、生硬的服务,而是真正带给人便利和快乐,为美好生活贡献智慧力量。"杨越说。

疫情防控期间,公司的业务受到一定影响,不过挑战与机遇并存,服务机器人"无接触取物"的特点受到国内外消费者欢迎,帮助企业迅速打开市场。

杨越和同事们的辛苦钻研,正转化为一项项产品新成果。

图为2022年8月27日,北京三里屯太古里商业区,一台智能机器人在行人间巡逻。【图片=罗伟/人民图片】

"比如,我们开发的视觉为主的多传感器室内定位技术,可以让机器人智能识别不同楼层的细微差别,不易走错。"杨越介绍,通过综合使用激光雷达、声学传感器、碰撞传感器等,他们的服务机器人还能实现厘米级避障,更加安全可靠。经过不懈努力,他们已开发出医院送药、酒店送物、餐厅传菜等多种机器人应用场景。

近年来,服务机器人市场规模持续增长。2021年中国服务机器人产量达921.4万台,同比增长48.9%。随着机器人的广泛应用,市场对专业技能人才的需求也越来越大。

北京华航唯实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产品研发部技术总监何智勇告诉记者,培育壮大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这类新职业,折射出中国高质量发展的澎湃活力,同时也表明中国人力资源供给正在向更高水平、更高质量迈进。"加快培养服务机器人应用技术员,既能让机器人代替人去做简单重复的工作,又可以带动大量创造性、高附加值岗位,有利于解决结构性就业矛盾,形成更具竞争力的人才队伍。"

(稿件摘自《人民日报》社)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사진
[단독] 삼성전자 '엑시노스 부활' 이 기사는 5월 21일 오전 10시04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하반기와 내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 플래그십 모델에 자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를 탑재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오는 7월 공개 예정인 폴더블 신제품에는 '엑시노스 2500·2400', 내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 S26 시리즈에는 2나노 공정의 '엑시노스 2600'이 적용될 예정이다. 시장과 제품 포지셔닝에 따라 퀄컴 칩셋과 병행 탑재하는 이원화 전략이 병행된다. 삼성전자 엑시노스 [사진=삼성전자] 21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삼성전자는 오는 7월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공개할 폴더블 스마트폰에 엑시노스 칩셋을 일부 탑재한다. 삼성은 또 내년에 출시하는 갤럭시 S26 시리즈에는 엑시노스 2600을 부분 탑재할 계획이다. 해당 칩셋은 2나노 공정이 처음으로 적용되는 제품이다.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 Z 플립7에 엑시노스 2500, 보급형인 Z 플립7 FE에 2400이 각각 탑재될 예정"이라며 "상위 기종인 Z 폴드7에는 S25와 동일하게 퀄컴의 스냅드래곤8 엘리트가 들어간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 S26 시리즈의 경우 북미·한국·중국·일본 등 주요 시장에는 퀄컴의 새로운 칩(스냅드래곤8 엘리트2)을, 유럽 및 기타 글로벌 시장에는 자체 칩셋인 엑시노스 2600을 교차 탑재하는 것이 현재 계획"이라며 "단, 고성능이 요구되는 울트라 모델은 전량 퀄컴 칩셋을 탑재하는 방향으로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분기보고서를 통해 "상반기에는 3나노, 하반기에는 2나노 모바일향 제품을 양산해 신규 출하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갤럭시 S25 울트라. [사진=삼성전자] Z 폴드7과 S26 시리즈의 칩셋 탑재 방식 차이는 제품 포지셔닝에 따른 것이다. 폴드 시리즈는 플립 보다 상위 라인업으로 분류돼 퀄컴 칩셋을 적용하고, 유럽 등에서는 엑시노스를 투입해 성능을 검증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울트라 모델의 경우 상위 기종인 만큼 지역에 관계없이 퀄컴 칩셋을 탑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이 엑시노스를 자사 제품에 탑재하는 것은 시스템LSI와 파운드리 사업부 실적 정상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올해 1분기 두 사업부는 각각 1조원대 적자를 낸 바 있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SoC(System on Chip)를 공급하지 못했고, 파운드리는 계절적 수요 약세와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인한 가동률 정체로 실적이 부진했다. 하지만 자체 칩셋 적용은 내부 수요를 통한 생산 가동률 확보, 공정 검증 및 설계-제조 일원화 구조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민감도가 낮은 시장을 중심으로 엑시노스 경쟁력을 확보하며 중장기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는 것으로 관측된다"며 "엑시노스의 성공은 사업부 실적은 물론 향후 시장 주도권 확보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삼성 입장에선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측은 엑시노스 탑재와 관련해 "고객사와 관련된 내용은 확인이 어렵다"고 답변했다. aykim@newspim.com 2025-05-21 14: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