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쿠데타 다룬 '서울의 봄' 영화 흥행
진보·보수 이념 떠나 '역사적 참회' 계기
장태완·김오랑·정선엽·박윤관 재조명 열기
"진정한 군인정신 무엇인지 깨닫고 성찰
자기 자리 지켰던 참군인들 평가 받아야"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장태완 장군과 김오랑 중령, 정선엽 병장, 박윤관 상병을 통해 진정한 군인정신이 무엇인지 깨닫고 군인들에게 일깨워 주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육군 특전사 예비역 대위 출신으로 '참군인 김오랑 추모사업회'를 이끌고 있는 김준철(56·학군 28기) 사무처장은 12일 이같이 말했다.
1979년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난 지 불과 44년밖에 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역사는 군사반란과 군사독재에 대한 단호한 단죄와 성찰을 요구했다. 진정한 군인정신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묻고 답해야 했다.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 당시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지키다 전사한 김오랑 특전사 중령. 경남 진해 육군대학 교육 받을 당시의 34살의 김 소령. [사진=김오랑 추모사업회] |
◆김준철 사무처장 "진보·보수 달리 해석 가슴 아파"
대한민국 역사 중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집권의 군사정권 32년 간의 잔재와 뿌리, 문화는 아직도 우리 사회 곳곳에 박혀 있다. 군사정권이 아닌 실질적인 문민정권인 김영삼-김대중-이명박-박근혜-문재인 집권 기간은 불과 30년밖에 되지 않는다.
12·12 군사반란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이 지난 11월 22일 개봉됐다. 대한민국 군인들은 왜 존재해야 하며, 어디에 서 있어야 하며,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참군인인지 역사는 다시 한 번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당시 정병주(52·소장·육사 9기) 특전사령관을 지키다 반란군 총탄에 전사한 김오랑(35·육사 25기) 중령(추서 계급)과 반란군에 맞서 육군본부 지하벙커를 지켰던 국방부 50헌병중대 정선엽(23) 병장은 전사했다. 반란군이 동원한 수도경비사령부 33헌병대 박윤관 상병(23·추서 계급)은 순직했다.
진압군 소속이었던 김 중령과 정 병장은 각각 2022년 11월 29일과 12월 7일 국방부 심의에 의해 43년 만에 '전사자'로 정식 분류됐다. 반면 반란군에 의해 동원됐던 박 상병은 신군부 전두환 정권 시절에 '상병'으로 1계급 추서는 됐지만 '전사자'로는 분류되지 않고 아직도 '순직' 상태다. 전두환 정권은 진압군에 동원됐던 정 병장을 끝내 '하사'로 1계급 추서하지 않았다.
김 처장은 "당시 반란군 진압을 주도했던 장태완(48·소장·갑종11기) 수도경비사령관과 김 중령, 정 병장과 박 상병은 자기 자리를 지켰던 참군인들로 조명돼야 하며 역사적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불과 44년밖에 되지 않은 살아 있는 역사"이라면서 "우리 국민들이 '서울의 봄' 영화를 계기로 참군인 정신이 무엇인지에 대해 깨닫고 기억해야 할 역사적 교훈으로 큰 감동을 받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진보와 보수가 영화를 다르게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이 너무 가슴이 아프다"면서 "정통 보수라면 오히려 이 영화를 더 많이 보고, 보수의 폭을 더 넓히고, 군인의 명예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자각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오랑 중령은 지난 2014년 김준철 예비역 특전사 대위와 유승민 국회 국방위원장 노력으로 훈장이 추서돼 유족이 참석한 가운데 특전사령부에서 훈장 추서식이 열렸다. [사진=김오랑 추모사업회] |
◆"군사반란 단죄·참군인들 정신교육 교재 포함"
'참군인 김오랑 추모사업회'는 12일 오전 10시 정 병장의 누나 두 분과 매형, 일반 시민들과 함께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8번 병사 묘역에 있는 정 병장 묘지에서 추도식을 한다. 정 병장 묘역에서 5m 가량 뒤에 있는 박 상병 묘역에서도 추도식을 한다. 이어 29번 묘역에 묻혀 있는 김 중령에 대한 추도식도 시민들과 함께 갖는다.
정 병장이 졸업한 광주광역시 복구 동신고 모교에서는 12일 오후 1시 동생인 정규상 씨가 참석한 가운데 동문회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여는 추도식이 열린다. '서울의 봄'을 계기로 정 병장의 숭고한 군인정신을 제대로 평가하고 기린다.
조선대는 정 병장에게 44년 만에 명예 졸업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조선대는 12일 오후 3시 정 병장의 유족이 참석한 가운데 명예 졸업장 수여를 정식으로 결정하는 절차를 밟는다.
정 병장은 1977년 3월 조선대 전자공학과에 입학한 직후 군에 입대했다. 전역 3개월을 앞두고 후임병 대신 자진해서 육군본부 지하벙커를 지키며 저항하다 반란군 총탄에 전사했다.
배우 정우성이 연기했던 이태신 수경사령관의 실제 인물 고(故) 장태완(1931∼2010) 장군도 조선대 법학과 58학번이다. 경북 칠곡 출신인 장 장군은 대구상고를 나와 6·25전쟁이 터지자 육군종합학교에 갑종 장교로 지원해 소위로 임관했다. 대학을 가지 못했던 장 장군은 당시 조선대가 위관·영관 장교 위탁 교육을 하자 법학과에 입학해 학위를 받았다.
김 처장은 "군사반란 세력을 내란죄로 가혹하게 처벌하고 반란군에 맞선 올바른 참군인을 기리는 일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면서 "군인으로서 본분을 다한 김 중령과 정 병장의 참군인 정신을 후배들이 이어받을 수 있도록 꼭 정신교육 교재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처장은 "12·12 같은 무도한 군사반란이 다시는 이 땅에서 일어나지 못하도록 처벌을 단호히 해야 한다"면서 "군사반란이 일어나면 주동자뿐만 아니라 다시는 군사반란 자체가 일어날 수 없도록 상징적으로 처벌을 굉장히 가혹하게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처장은 "'모든 게 내 책임'이라는 주동자만 처벌하고 밑에 부하들에게 면죄부를 절대로 줘선 안 된다"면서 "무조건 부당한 명령에 출동하는 맹목적인 군대가 아니라 왜 출동해야 하는지 정당한 이유에 부합하게 명령에 따르는 정의로운 군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참군인 김오랑 추모사업회' 김준철(오른쪽) 사무처장과 유승민 전 국회의원이 '서울의 봄' 영화 관람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김오랑 기념사업회] |
◆더 성찰하고 담금질하는 '국민의 강군' 거듭나야
김 중령과 정 병장, 박 상병은 진보나 보수 양쪽에서 정치적 부담을 이유로 모두 외면받아 왔다. 박 상병 가족은 반란군에 의해 동원됐다는 부담 때문에 아직도 외부 접촉조차 꺼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태완 장군은 생전에 "국가가 맡겨준 수경사령관과 비상계엄 아래 수도계엄사무소장의 책무를 완수하지 못했으니 국가와 민족과 역사 앞에 속죄받을 수 없는 죄인"이라면서 "이유야 어떻든 자결해도 모자라겠지만 속죄를 비는 마음으로 생을 이어갈 뿐"이라고 오히려 역사 앞에 더없이 겸손하고 성찰했다.
장태완 장군은 12·12 당시 반란군들에게 "야 이 반란군 놈의 새끼야. 니들 거기 꼼짝 말고 있어. 내 지금 전차를 몰고 가서 네놈들의 머리통을 다 날려버리겠어"라고 군인정신의 결기가 무엇인지를 보여줬다.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난 지 44년이 됐다. 이 시대의 군인정신은 무엇이며, 정의로운 군대는 어떤 군대이며, 진정한 국민의 군대인지, 대한민국 역사는 다시 한 번 우리 군에 진지하게 묻고 있다. 그 답을 국민 앞에 내놓기 위해 더 치열하게 성찰하고 담금질하는 강군이기를 바란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