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NH證 연구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대응 전략 필요"
FOMC 의사록 공개…"예상 금리 인하 시점 6월로 연기될 것"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작년 4분기 어닝시즌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개별 기업 실적이 증시에 끼치는 영향력도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AI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는 단기적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되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증시에 미칠 파장력도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엔비디아 실적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대응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한다.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2024.02.16 stpoemseok@newspim.com |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6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26일 기업의 자발적인 가치 제고 노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센티브나 프로그램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초 금융위원회의 업무보고에 담겼던 ▲이사회 책임강화 ▲주주총회 내실화 ▲소액주주 주식매수 청구권 확대 등을 담은 상법 개정안에 대한 발표도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 발표를 앞두고 행동주의 펀드들의 주주환원 확대 요구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얼라인파트너스는 지난달 JB금융지주에 자신들이 작성한 이사 후보 명단을 제시하면서 선임 과정에 개입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시티오브런던 등은 삼성물산에 50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삼성물산이 제안한 배당액 규모의 70% 이상 늘릴 것을 요구했다.
업계에서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주주환원 요구에 대한 기업의 대응이 내달까지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주환원 확대 요구를 받는 기업은 삼성물산·KT&G·삼양그룹·현대엘리베티어·7대 금융지주 등"이라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주주들의 환원 요구, 주총·이사회에서 나오는 기업들의 대응이 2~3월 중에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종목을 중심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이슈에 따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도 국내 증시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오는 21일(현지시간)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데, 실적 업체 팩트셋은 매출액 202억 달러에 주당 4.56 달러의 순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전년도 매출(61억 달러) 대비 231% 급등한 수준이다.
다만 엔비디아를 제외하고는 증시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실적 발표는 없을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김 연구원은 "지난 15일까지 시가총액 기준 83%, 종목 수 기준 64% 기업들이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며 "지금까지 발표된 기업들의 합산 실적은 순이익 기준으로 38.5%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기업 수로 보면 순이익 컨센서스를 상회한 기업은 30%다"고 밝혔다.
이어 "4분기 어닝시즌이 마무리되면서 기업 실적이 주요 주식시장에 뚜렷한 모멘텀을 주진 못하는 공백기에 들어선 것으로 판단한다"며 "엔비디아의 경우 AI 반도체 성장을 주도하는 기업인 만큼 한국 IT 정보통신 기업들 입장에서도 귀추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 FOMC 의사록·금통위…금리 인하 '시기상조'
오는 21일에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공개되며, 그다음 날인 22일에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한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미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물가 하락 속도가 둔화하며 예상 기준금리 시기가 늦춰지고 있고,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는 한국의 금리 인하도 덩달아 연기될 것이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1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대비 3.1%, 전월대비 0.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며 "이는 기존 예상치였던 2.9%와 0.2% 상승을 상회하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주거비와 슈퍼코어 인플레이션이 높게 나타나면서 향후 물가상승률이 계속해서 낮아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금리인하 시점에 대한 시장 전망이 6월로 또 미뤄졌다"고 말했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도 "올해 물가는 에너지 부문 기저효과 감소, 서비스 물가의 하방 경직성으로 물가 하락 속도는 둔화할 전망"이라며 "3월까지는 물가 지표가 발표될 때마다 증시 변동성을 산발적으로 높이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stpoemseok@newspim.com